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Current Issue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 No. 94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93, pp. 93-121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Mar 2024
Received 24 Feb 2024 Revised 12 Mar 2024 Accepted 12 Mar 2024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4.03.93.93

조중환의 번안소설과 열병의 상상력 : 장티푸스의 변주와 형상화를 중심으로
박성호*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Jo Jung-hwan's Adapted Novels and the Imagination of Fever : Focusing on the Variation and Shape of Typhoid
Park, Sungho*
Funding Information ▼

초록

장티푸스는 20세기 중반까지 맹위를 떨쳤던 감염병으로 한국에서도 여러 차례 유행한 바 있다. 이미 19세기 말부터 위생과 방역을 중심으로 한 대응이 이루어졌으며, 대중들에게도 주요한 감염병 가운데 하나로 폭넓게 인식되고 있었다

하지만 문학 작품에서는 장티푸스가 직접적으로 등장하는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신경쇠약이 결핵, 천연두 등과 달리 장티푸스는 1910년대 초반까지도 거의 소설에서 거론되지 않았다. 조중환의 번안소설인 「쌍옥루」나 「비봉담」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등장하게 되는데, 이 역시 장티푸스를 병명을 직접적으로 채택하지는 않았다.

조중환의 번안소설에서 장티푸스는 감염병의 측면보다는 불명열(不明熱)의 일환으로 등장한다. 감염병임을 추론할 수 있는 서술이 작중에서 등장하기는 해도 발병의 중심에는 작중인물의 죄책감과 같은 심리적 요인이 강하게 작동한다. 이는 19세기 영미소설이 채택한 neural fever와도 연결된 것으로, 열이라는 요소를 중심으로 작중의 갈등을 설명하거나 이를 해소하는 계기를 제시하였다.

다른 한편으로는 열병을 중심으로 하여 근대의료를 소설 속에 본격적으로 도입하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했다. 혈액검사와 혈청주사, 체온 측정을 중심으로 한 진단과 치료는 모두 의사와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작중인물의 병을 치료하는 것 역시 의사의 역할로 분리된다. 같은 시기 소설에서 나타나는 신경쇠약이 의료와는 무관하게 작중인물 간의 갈등 해소를 통해 치유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장티푸스를 중심으로 한 열병의 상상력은 소설에서의 근대의료를 구체화하는 데 적잖은 역할을 수행하였다고 볼 수 있다.

나아가서는 열병을 중심으로 결핵이나 신경쇠약과 같은 여타의 질병과도 연결될 수 있는 지점을 마련한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20세기 초 문학에서 질병을 인식하고 형상화하는 양상을 살펴보는 데 또 다른 시각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yphoid fever was a rampant infectious disease until the mid-20th century, experiencing several outbreaks in Korea. Since the late 19th century, responses centered around hygiene and quarantine were implemented, and it was widely recognized as one of the major infectious diseases among the public.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cases where typhoid fever directly appears in literary works. Unlike neurasthenia, tuberculosis, or smallpox, typhoid fever was almost never mentioned in novels until the early 1910s. It was not until Jo Jung-hwan's adapted novels, such as "Ssangokru" and "Bibongdam," that typhoid fever finally made an appearance, albeit not adopting the disease name directly.

In Jo Jung-hwan's adapted novels, typhoid fever appears more as a part of an unknown fever than from the aspect of an infectious disease. Although there are descriptions that allow readers to infer it as an infectious disease, psychological factors like the characters' guilt play a strong role at the outbreak's center. This is connected to the neural fever adopted in 19th-century English and American novels, where fever is central to explaining conflicts within the story or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resolution.

On the other hand, these novels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to formally introduce modern medicine into the story, centered around fever. Diagnosis and treatment focused on blood tests, serum injections, and temperature measurements are all conducted by doctors and medical institutions, separating the act of curing the characters' diseases as the doctors' role. Considering that neurasthenia, appearing in novels from the same period, is healed through the resolution of conflicts between characters independently of medical intervention, the imagination of fever centered around typhoid fever plays a significant role in concretizing modern medicine in literature.

Furthermore, it is worth noting that fever, centered around typhoid, creates connections with other diseases such as tuberculosis and neurasthenia. This offers another perspective in examining how diseases were recognized and visualized in early 20th-century literature.


Keywords: Typhoid, Fever, Jo Jung-hwan, Adapted Novels, Modern Medicine, Infectious Disease, Neurasthenia, Ssangokru, Bibongdam
키워드: 장티푸스, 열병, 조중환, 번안소설, 근대의료, 감염병, 쌍옥루, 비봉담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S1A6A3A04058286)


참고문헌 1. 기초자료
1. 『대한매일신보』, 『매일신보』, 『부산일보』
2. 박진영 편, 『쌍옥루』, 현실문화연구, 2007.
3. 전광용·백순재·송민호 편, 『한국신소설전집』, 을유문화사, 1969.
4. 최원식 편, 『이해조 작품집』, 범우, 2022.
5. 菊池幽芳. 『己が罪 後編』, 春陽堂, 1901.
6. 瀬戸義直, 『ドストエーフスキイ(近代評伝叢書 ; 第2巻)』, 中興館書店, 1914.
7. 品川卯一 編, 『英和会話作文活法』, 昇栄堂, 1899.

2. 논저
8. 공혜정 외, 『환자란 무엇인가』, 모시는사람들, 2023.
9. 권보드래, 「신소설의 성(性), 계급, 국가 – 여성 주인공에 있어 젠더와 정치성의 문제」, 『여성문학연구』 20, 한국여성문학학회, 2008.12, 7-42면.
10. 김상진·장석현·정희재 외 2명, 「長感病으로 진단된 불명열 환자 치험 1례」,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8-6, 한의병리학회, 2014.12, 683-688면.
11. 박성호, 「신소설 속 여성인물의 정신질환 연구 – 화병(火病)을 중심으로」, 『Journal of Korean Culture』 49,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0.5, 169-199면.
12. 박성호, 「번안소설 속 정신질환 양상의 변화와 그 의미 – 조중환의 「비봉담」과 신경열병을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60,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20.9, 127-156면.
13. 박진영, 「1910년대 번안소설과 ‘실패한 연애’의 시대 – 일재 조중환의 쌍옥루와 장한몽」, 『상허학보』 15, 상허학회, 2005.8, 273-302면.
14. 배대호, 「19세기 전후 사대부가의 감염병 양상과 대처 – 정원용의 『경산일록』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보』 95, 조선시대사학회, 2020.12, 279-311면.
15. 백선례, 「식민지 시기 장티푸스 예방접종에 관한 의학적 논의의 전개」, 『연세의사학』 23-2, 연세대학교 의학사연구소, 2020.12, 63-83면.
16. 서연주, 「신소설에 나타난 여성인물의 광기」, 『여성문학연구』 34, 한국여성문학학회, 2015.4, 40-60면.
17. 송명진, 「이식된 ‘광기’와 소설적 형상화 – 191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22-4, 대중서사학회, 2016.11, 87-114면.
18. 이지훈, 「조중환의 『비봉담』 번안과 여행의 서사 형식」, 『한국근대문학연구』 18-1, 한국근대문학회, 2017.4, 37-71면.
19. 장근호·최규진, 「신소설에 비친 개화기 의료의 모습」, 『역사연구』 35, 역사학연구소, 2018.12, 109-143면.
20. 정희영, 「장티푸스의 몇 가지 문제」, 『인제의학』 5-2, 백중앙의료원, 1984.6. 133-142면.
21. 최규진, 『이 약 한번 잡숴 봐 – 식민지 약 광고와 신체정치』, 서해문집, 2021.
22. 최태원, 「번안이라는 난제 – 조중환의 번안소설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51, 한국현대문학회, 2017.4, 143-164면.
23. 安井広, 「E・ベノレヅと発疹チフス」, 『日本医史学雜誌』 28-3, 日本医史学会, 1982.7, 307-316面.
24. Perry, Sarah, A Strange Fever of the Nerves and Blood, Master’s thesis, Victoria University of Wellington, 2014.1.
25. Sontag, Susan, 『은유로서의 질병』, 이재원 역, 도서출판 이후,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