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1, pp.321-357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Mar 2021
Received 29 Jan 2021 Revised 02 Mar 2021 Accepted 11 Mar 2021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1.03.81.321

프리랜서 선언이라는 말의 함정 : 90년대 신문과 소설에 나타난 프리랜서의 존재와 의미

조윤정*
*카이스트 인문사회과학부 초빙교수
Trap in the terminology of freelancer declaration: Existence and meaning of freelancer shown in newspapers and fictions of the 1990s
Jo, Yun-Jeong*

초록

이 논문은 1990년대 한국의 신문 기사에 급격히 증가한 프리랜서 담론을 살피고, 소설에 자주 등장한 프리랜서 인물 표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프리랜서는 법적으로 공식화된 고용 범주가 아니라 산업 현장에서 자연 발생하여 관행적으로 통용되어 온 개념이다. 이 때문에 사회적 논의의 대상에서 소외되어 왔다. 그러므로 90년대 생존을 위한 필수 조건처럼 선언된 자유, 자기계발의 논리가 주체의 삶을 어떻게 이끌었는지, 당시 프리랜서 담론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고찰하는 작업은 프리랜서의 발생과 증가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또한, 자본주의적 문화생산의 조건들 속에서 자신이 누구인가를 증명해야 하는 곤혹스러움을 당시 작가들이 일군의 프리랜서 재현의 방식으로 문제 제기했다는 점은 주목할 부분이다.

1990년대 신문에 실린 광고와 성공 미담은 프리랜서 선언을 자본주의 사회 안에서 자기 경쟁력 마련, 경제적 독립, 자기애 실현의 방법으로 미화한다. 그러나 한국 경제의 위기 속에서 프리랜서는 ‘속물’과 ‘잉여’라는 두 개의 낙인을 떠안게 된다. 프리랜서 관련 기사는 1997년을 기점으로 줄어들기 시작하며, 자유로운 전문직으로 급부상했던 프리랜서는 노동 주체의 자발성과 무관하게 계약직이나 비정규직을 지칭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흐름 안에서 90년대의 작가들 역시 소설에 프리랜서를 내세워 당시에 자신이 경험한 불안과 긴장, 예술가로서의 신념과 태도 등을 문제 삼는다. 이는 프리랜서 시대에 작가들이 스스로에게 던진 ‘진정성’의 문제와 결부된다. 또한, 소설 속 프리랜서 표상은 프리랜서를 동경의 대상으로 재현하는 ‘경제적 가상’이 은폐해온 불안정성을 폭로했다는 점에서도 의미를 지닌다.

Abstract

Based on the 1990s, this paper aims to inspect rapidly increased Korean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the freelancer discussion and to analyze fictions in which the main character is a freelancer. A freelancer is not a legal or official category of employment but a conventional concept arisen spontaneously in the industrial fields. So, it was out of scope in social argument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consider how the logic of freedom and self-development, which were announced as necessary conditions for living in the 1990s, led the life of the subject and how the freelancer discussion was conducted in those days if we want to understand the occurrence of freelancer concept and the increase in freelancers. In addition, we need to focus on that novelists raised an issue by reproducing images of the freelancer when they were requested to prove themselves under the capitalistic culture production conditions.

The advertisements and success stories in newspapers in the 1990s glamorized freelancer declaration as a method of preparing self-competitiveness, attaining economic independence, and realizing self-love in a capitalistic society. But the two stigmas, ‘snobbery’ and ‘surplus’, were given to freelancers under the economic crisis in Korea. Freelancer-related newspaper articles started to decrease from 1997 and freelancer, which had been abruptly emerged as a kind of professional, became a terminology referring to a contract worker or a temporary employee regardless of the volition of a subject of labor.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writers of the 1990s took seriously their anxiety and strain and their principle and attitude as a novelist through the freelancer characters in their fictions. This was related with their own problem about sincerity in the age of freelancers. And the images of the freelancers in the fictions are also meaningful because they revealed the instability of freelancer concealed by ‘economical imagination’ which had expressed freelancer as an object of admiration.

Keywords:

freelancer, declaration, newspaper article, fiction, self-development, writer, sincerity

키워드:

프리랜서, 선언, 신문 기사, 소설, 자기계발, 작가, 진정성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