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청준 소설의 원체험 탐색구조와 주체화의 문제 : 1960년대 초기단편소설 「퇴원」과 「병신과 머저리」를 중심으로
초록
이청준의 1960년대 초기 단편소설인 「퇴원」과 「병신과 머저리」를 살펴보았다. 두 가지 사항에 초점을 맞추어 두 작품을 검토하였다. 첫 번째는 트라우마의 원체험을 추적하는 서사구조이다. 두 번째는 사회적 현실과 개인의 삶이 서로 교섭해 들어가는 주체화의 문제이다. 그것들이 개인적인 차원(「퇴원」)으로 펼쳐지든 사회역사적 차원(「병신과 머저리」)을 포함하든 인물들은 언제나 ‘어떻게 살 것인가’의 질문을 품고 있는 것, 그리고 언제나 개인은 무력하다는 것이 두 소설을 관통하는 화두이다. 그 과정에서 인물들이 겪는 고통과 방황은 그 자체가 소설적 의미를 지닌다. 그것은 해결되거나 치유되어야 할 것이 아니라 실존적 질문을 날카롭게 유지하며 자기 삶을 더 나은 방향으로 정향 짓는 가능성으로 정해져 있다.
「퇴원」과 「병신과 머저리」 두 작품은, 대타자의 호명을 강하게 의식하는 등장인물을 설정해놓고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라는 자기 삶의 문제에 맞닥뜨린 방황과 고뇌를 보여준다. 그것은 조직적 권력과 폭력 앞에 무력한 개인이 자기 책임으로 어떻게 삶을 살아갈 것인가의 질문과 유관하다. 여기에 내포된 개인적 주체성의 원리는 자신을 현실의 일부로 간주하는 실존적 성찰의 치열함과 깊이를 함축하고 있다. 이는 이청준 소설의 밑바탕을 이루는 중심 테마인 것인데, 두 소설은 이를 전경에 배치하고 있는 초기작이라는 점에서 더욱 각별해진다.
Abstract
Lee Cheong-jun’s short stories in the early 1960s, “Discharge from the Hospital”(「퇴원」) and “Idiot and Nerd”(「병신과 머저리」), were examined. In the analysis of the two works, attention of study was paid to two points. The first is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traces the primal scene of trauma. The second is the issue of subjectification in which social reality and individual lives negotiate with each other. Regardless of whether they unfold on a personal level (“Discharge from the Hospital”) or a social and historical level (“Idiot and Nerd”), the characters always have the question of ‘how to live’, and that the individual is always powerless. It is a topic that runs through the two novels. The pain and wanderings that the characters suffer in the process have their own fictional meaning. It doesn’t have to be resolved or healed, it’s dictated by the possibility of keeping existential questions sharp and orienting one's life for the better.
The two works of “Discharge from the Hospital” and “Idiot and Nerd” show wandering and anguish faced with the problem of one’s life, ‘how to live’, with a character strongly conscious of calling of the Other. It has to do with the question of how helpless individuals live their lives at their own risk. The principle of individual subjectivity implied here implies the fierceness and depth of existential reflection that regards oneself as a part of reality. This is the central theme that forms the basis of Lee Cheong-jun’s novel, and the two novels are even more special in that they are early works that place them in the foreground.
Keywords:
“Discharge from the Hospital”(「퇴원」), “Idiot and Nerd”(「병신과 머저리」), Subjectification, search structure of original experience, serialization, calling of The Other, helpless individual, recognition of aggression키워드:
「퇴원」, 「병신과 머저리」, 주체화, 원체험의 탐색구조, 계열화, 대타자의 호명, 무력한 개인, 공격성의 인식References
- 이청준, 『병신과 머저리』(이청준전집1), 문학과지성사, 2010, 7-36면과 170-212면.
- 권오룡, 「이카루스의 꿈」, 이청준, 『병신과 머저리』해설, 문학과지성사, 2010, 338-373면.
- 김동현, 「이청준 소설 <퇴원>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32, 2006, 325-352면.
- 김은정, 「질병의 의미를 중심으로 이청준의 <퇴원> 읽기」, 『우리말글』77, 2018, 245-271면.
- 김지혜,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징후적 ‘배앓이’와 타자의 시선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48, 2010, 117-135면.
- 김지혜, 「한국전쟁의 원체험과 재구의 변주」, 『어문연구』88, 2016, 218-222면.
- 박숙자, 「해방 이후 고통의 재현과 병리성」, 『어문논총』75, 2018, 233-258면.
- 박은태, 「이청준의 1960년대 소설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28, 2008, 256면.
- 박인성, 「이청준 초기 소설에서 나타나는 남성 동성사회성 연구」, 『현대소설연구』75, 2019, 5-38면.
- 박진영, 「1960년대 문학주체의 형성과 문체의 변화」, 『열린정신 인문학연구』15(1), 2014, 180-181면.
- 서영채, 「가해자의 자리를 향한 열망과 죄책감」, 『한국현대문학연구』50, 2016, 417-452면.
- 선민서. 「6.25 참전자 혹은 타락자와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의 고통」, 『현대소설연구』 79, 2020, 339-367면.
- 송기섭, 「<병신과머저리>의 내면성과 아이러니」, 『현대소설연구』41, 2009, 159-186면.
- 오윤호, 「이청준 소설의 직업 윤리와 소설 쓰기 연구」, 『우리말글』, 2005, 295-318면.
- 우찬제,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불안의식 연구」, 『어문연구』33(2), 2005, 193-196면.
- 이광호,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시선과 광기의 정치학」, 『인문학연구』43, 2012, 210면.
- 이현석, 「이청준 소설에 나타나는 성적 모티프의 담론화 방식 연구」, 『현대소설연구』 38, 2008, 293-319면.
- 장영우, 「경험적 사실과 허구적 진실」, 『동악어문학』52, 2009, 267-291면.
- 정혜경,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액자소설의 변이형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14, 2000, 325-348면.
- 한순미, 「한 소설자의 심리적 기원에 관한 고찰」, 『어문논총』16, 2005, 289-308면.
- 홍웅기, 「소설 주체의 탐색방식 연구」, 『인문학연구』76, 2009, 137-154면.
- 홍준기, 「폭력에 대한 정신분석적 성찰:개인과 사회 속의 트라우마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지식의 비평』18권, 2015, 83-103면.
- 이정우, 『사건의 철학』, 그린비, 2011.
- Kristeva, Julia, 박선영 역, 『정신병, 모친살해, 그리고 창조성: 멜라니 클라인』, 아난케, 2006.
- Laplanche, Jean·Pontalis, Jean-Bertrand, 임진수 역, 『정신분석사전』, 열린책들, 2005.
- Segal, Hanna, 이재훈 역, 『멜라니 클라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9.
- Stumpf, Samuel Enoch·Fieser, James, 이광래 역, 『소크라테스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 열린책들,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