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9, pp.339-367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0
Received 20 Aug 2020 Revised 10 Sep 2020 Accepted 12 Sep 2020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0.09.79.339

6‧25 참전자 혹은 타락자와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의 고통 : 이청준, 「병신과 머저리」론

선민서*
*고려대학교 교양교육원 강사
The suffering of the people who live with the Korean war veterans, or the corruptor : A study of Yi Cheong-Joon's novel A Fool and a Stupid
Seon, Min-Seo*

초록

프로이트는 대상의 죽음만이 아니라 대상의 타락 역시 ‘대상상실’을 초래한다고 말했다. 다수의 6·25 참전자들은 누군가를 살해했고, 그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은 타락자의 곁에서, 타락 이전의 그를 상실한 채로 살아가게 되었다. 분단문학은 지난한 대상상실의 서사로도 독해될 수 있다.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는 친형이 살인행위에 가담했을지도 모를 타락자로 변모해버린 동생의 이야기다. 동생의 병리적 고통에서 6·25와 분단이 야기한 고통의 보편적인 형태가 드러난다. 모든 전쟁은 가까운 지인을 타락자로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이기 때문이다.

「병신과 머저리」에서 동생인 ‘나’는 형의 타락으로 인해 고통 받는다. 온순한 성품의 소유자였던 형이 살인자가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나’는 우울증을 앓기 시작한다. 상실된 대상인 형을 마음으로부터 떠나보내지 못한 채, 형에 대한 애증 병존의 양가감정을 느끼고, 일상생활의 차질을 겪으며, 비정상적 행동을 일삼는다. ‘나’는 자신의 고통에 환부가 없다고 말하지만, ‘나’의 고통에는 대상상실이라는 명백한 이유가 있다. 그러나 혜인은 6·25전상자인 형과 ‘나’를 비교하며 ‘나’에게는 고통의 이유가 없다고 한다. 이는 6·25 참전자를 영웅화하며 그들의 타락상에 대한 증언을 은폐시켰던 당대 담론과 다르지 않다.

‘나’의 멜랑콜리의 근원에는 참전자를 타락자로 인정하지 않은 채 영웅시하는 사회 담론이 있었다. 참전자를 영웅화하는 분위기는 1964년의 베트남전쟁 파병 이후 가속화되었다. 1966년작 「병신과 머저리」는 1960년대 중반의 군사주의 분위기 속에서 태동했다. 무수한 타락자들과 함께 살아가야 했던 이들의 고통은 징후와 증상으로 드러난다. 전쟁 트라우마는 참전자들만이 아니라 그들의 타락을 묵인하며 살아가야 했던 이들에게도 엄연히 존재했다. 군사주의가 초래한 참전자 영웅화를 경계하며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는 참전자와 함께 살아가야 하는 사람들의 고통을 가시화했다.

Abstract

Freud said that not only the subject's death, but also the subject's depravity, results in object loss. Many of the Korean War veterans killed someone, and many people lived alongside the corruptor, losing him before the corruption. Polarized literature can also be read as a narrative of a past loss of object. Yi Cheong-Joon's A Fool and a Stupid is the story of a younger brother who has transformed into a corrupt brother who may have been involved in murder. In his brother's pathological pain, the universal form of pain caused by the Korean War and division is revealed. This is because all wars are a possibility to make a close acquaintance a corrupter.

In A Fool and a Stupid, ‘I’ suffers from his brother's corruption. When he hears that his older brother, who had a meek personality, became a murderer, ‘I’ began to suffer from depression. Without letting the lost elder brother away from his heart, he feels the ambivalence of love and hatred toward his elder brother, suffers a setback in daily life, and makes abnormal behaviors. ‘I’ said that there was no disease in his pain, but there was an obvious reason for the pain of ‘I’. However, Hye-In compares ‘I’ with his brother, who was in the Korean War, and says that ‘I’ have no reason for pain. This is no different from the discourse of the time that made the Korean War veterans a hero and concealed their testimony about their corruption.

At the root of the melancholy of ‘I’, there was a social discourse that regarded the veterans as heroic without recognizing them as corruptors. The atmosphere of heroizing veterans accelerated after the dispatch of the Vietnam War in 1964. Published in 1966, A Fool and a Stupid was born in the mid-1960s militarism. The suffering of those who had to live with countless corrupters is manifested by signs and symptoms. The trauma of war existed not only for the veterans but also for those who had to tolerate their corruption. Being wary of the heroization of veterans caused by militarism, Yi Cheong-Joon's A Fool and a Stupid visualized the suffering of those who had to live with the veterans.

Keywords:

이청준, 「병신과 머저리」, 「슬픔과 우울증」, 전쟁 트라우마, 6‧25, 참전자 영웅화, 군사주의, 분단문학

키워드:

Yi Cheong-Joon, A Fool and a Stupid, Trauer und Melancholie, War trauma, the Korean war, heroization of veteran, militarism, Polarized Literatu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