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9, pp.35-68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0
Received 20 Aug 2020 Revised 10 Sep 2020 Accepted 12 Sep 2020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0.09.79.035

채만식 해방기 소설의 아나크로니즘 연구

박인성*
*부산가톨릭대학교 인성교양학부 조교수
A Study on Anachronism in Chae Man-sik's Liberation Period Novels
Park, In-Seong*

초록

본고는 채만식의 식민지 후기에서 해방기에 이르는 일련의 작품들을 통해서 그의 후기 소설들의 역사의식을 살핀다. 채만식의 소설은 과거의 시대성과 교감하면서 자신만의 동시대 재현과 역사의식을 구성하고 있다. 채만식은 단순히 역사적 허무주의나 전망의 부재에 빠진 개인이 아니라, 해방기라고 하는 문제적 시기를 통해서 다시금 역사화되지 않는 시간들을 ‘현재화’한다. 그 현재화의 가능성은 단순히 역사나 세대의 ‘단절’ 및 ‘신생’이라는 단층선만으로 환원되지 않는다. 아나크로니즘은 제3의 대안적 시간성이 될 수 있다.

식민지 시기 소설의 아나크로니즘의 핵심은 동시대 현실 속에 억압되어있는 ‘비동시성의 동시성’을 제한적이나마 암시하는 과정에 있으며 폐쇄적 현실을 직시하는 것에 있다. 이 과정은 작가의 의도적 기획보다 선행하는 억압적인 현실에 잠재되어 있는 피지배적인 목소리들에 대한 현재화다. 본고는 『태평천하』와 『탁류』를 통해서 우선적으로 식민지 시기 채만식의 소설적 전략을 우선적으로 살피고 해방기 소설의 아나크로니즘의 특수성에 주목한다.

친일 경력에 대한 반성적 태도로 인해 채만식은 미래에 대한 주도적인 역사의식이나 건국의 상상력에서 이탈하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채만식의 해방기 소설들에서의 아나크로니즘은 억압적 현실에 대한 대안적 상상력이라기보다는 오히려 건국을 향해 가속하는 시대성으로부터 의도적으로 이탈하거나 불협화음을 내는 쪽에 방점이 찍힌다. 『옥랑사』에서는 미래의 시간성을 주목하는 와중에 역사적 퇴행을 그려내고 있으며, 「소년은 자란다」에서는 건국의 상상력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여 예측할 수 없는 ‘다른 시간’을 현재화한다.

본고는 아나크로니즘이라는 개념어를 통해 채만식 후기의 작품들이 단순히 역사적 낙관주의 혹은 비관주의의 양립적인 구도에 빠져있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역사적 태도를 불완전하게나마 시도하고 있음을 밝힌다. 이것은 채만식이 해방기의 복잡성을 시간과 역사라는 가장 소설적인 수법으로 정확하게 묘사해낸 작가임을 강조하는 것이기도 하다. 해방과 건국은 결코 단일한 시공간적 토대 위에서 완성된 것이 아니다. 오히려 다양한 개별적ㆍ집단적 전환이 역동적인 ‘다른 시간들’ 사이에서 임시적이나마 겹쳐진 상태에 가깝다. 그리고 채만식은 해방기의 동시대인으로서 그러한 시간성을 그려낸 작가다.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his later novels through a series of works from the late colonial period to the liberation period of Chae Man-sik. Chae Man-sik's novels compose their own contemporary representation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while communing with the times of the past. Chae Man-sik is not simply an individual who has fallen into historical nihilism and the absence of prospects, but “presents” the times that do not become historical again through a problematic period of liberation. The possibility of currentization is not reduced to simply the fault lines of “breaks” and “new generations” of history or generations. Anachronism can be a third alternative temporality.

The core of anachronism in the novels during the colonial period is in the process of implying the “contemporaneity of the uncontemporary” suppressed in contemporary reality in a limited way and to face the closed reality. This process is the presentization of the dominant voices latent in the oppressive reality that precedes the artist's intentional planning.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novel strategy of Chae Man-sik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rough 『Taepyeong Cheonha』 and 『Takryu』, and focuses on peculiarity of anachronism in novel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Due to his reflective attitude toward his pro-Japanese career, Chae Man-sik seems to deviate from the leading historical consciousness for the future or the imagination of the founding country. Therefore, the anachronism in Chae Man-sik's liberation period novels is not an alternative imagination to the repressive reality, but rather is focused on deliberately deviating from the accelerating period toward the founding of the country or creating a dissonance. In 『Okrangsa』, a historical regression is drawn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future temporality, and in "Boys Grown Up", the unpredictable "different time" is made present by completely deviating from the imagination of the founding country.

Through the concept term of anachronism, this paper reveals that Chae Man-sik's later works are not simply immersed in the compatible composition of historical optimism or pessimism, but incompletely attempting a new historical attitude. This also emphasizes that Chae Man-sik is a writer who accurately portrayed the complexity of the liberation period with the most novel techniques of time and history. Liberation and founding have never been completed on a single spatio-temporal basis. Rather, it is close to a state in which various individual and collective transformations are temporarily overlapped between dynamic 'different times'. And Chae Man-sik is an artist who portrayed such temporality as a contemporary perso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Keywords:

Chae Man-sik, liberation period, anachronism, synchronism, historical novel

키워드:

채만식, 해방기, 아나크로니즘, 동시대성, 역사소설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