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상 불가능한 타자의 현전과 비표상적 글쓰기의 가능성 : 한강의 『소년이 온다』를 중심으로
초록
이 글은 한강의 『소년이 온다』에서 비표상적 글쓰기를 향한 작가의 지향과 그 자의식에 주목한다. 이런 지향은 언어의 표상 작용이 지닌 한계와 ‘말하는 주체’의 폭력성에 대한 민감한 자각에서 비롯되며, 이 소설의 ‘증언불가능성’ 문제와도 관련된다. 『소년이 온다』에서 한강은 폭력의 잔혹함을 재현하거나 타인의 고통을 증언하는 대신에, 그 고통을 함께 느끼기를 선택한다. 표상하는 주체가 되기보다 글쓰기 속에서 ‘바깥’으로 내몰리고 자신을 타자로 경험하는 한강의 글쓰기는 독서 과정에서 강한 정동을 유발하고, ‘말해진 것’의 의미를 넘어서는 급진적 소통을 가능케 한다. 그 속에서 독자는 동호의 혼, 또는 수많은 사람들의 넋이 스며든 ‘한 몸’으로 나타나는 표상 불가능한 타자의 현전과 마주치고, 유한성과 탈존을 공유하는 인간 ‘공동의 몸’과 순간적으로 접촉한다. 또한 인물과 독자와 작가의 탈존을 서로에게 기울어진 ‘외존’으로 변형하는 ‘목소리’의 부름에 응답하게 된다. 의식 너머의 정념으로 이어진 이 관계는 우리 각자가 일부를 이루는 ‘공동-내-존재’ 안에서 ‘함께 있음’ 그 자체를 나누는 윤리적 공동체를 향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소년이 온다』에서 이 같은 글쓰기-독서의 과정과 그것을 자기반영적으로 무대화하는 한강의 자의식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비표상적 글쓰기의 가능성과 그 윤리적 함의에 대해 생각해본다.
Abstract
This essay pays attention to Han, Gang's self-conscious pursuit of the nonrepresentational writing in A Boy is coming. That arises in sensitivity of the limits of language and the violence of speaking subjects, which relates to ‘impossibility of testimony’. A Boy is coming shows us the nonrepresentational writing about the experiences of ‘the outside’ caused by inexplicable deaths and pains. This essay aims to analyse detailed features and significance of the nonrepresentational writing in this novel. It emerges as the event encountering ‘presence of the other’ which is impossible to represent, through the flow of affect in reading process. This experiences lead the readers to our ‘common body’ that sharing weakness and finitude in all human. The nonrepresentational writing appears in ‘the partage of voice’ which exceeds the speech of a particular narrator or even writer. That voice opens up the possibility of invisible community between a writer and readers. The nonrepresentational writing is the literary practice of the ethical community sharing ‘being-with’ itself and forming part of the human's common body.
Keywords:
Representation, Presence of the Other, Self-Consciousness of Writing, The Outside, Common Body, Voice, Affect, Reading Process키워드:
표상, 타자의 현전, 글쓰기의 자의식, 바깥, 공동의 몸, 목소리, 정동, 독서 과정References
1. 단행본
- 박준상, 『바깥에서―모리스 블랑쇼와 ‘그 누구’인가의 목소리』, 그린비, 2014.
- 서동욱, 『차이와 타자』, 문학과지성사, 2000.
- 모리스 블랑쇼·장-뤽 낭시, 박준상 옮김, 『밝힐 수 없는 공동체/마주한 공동체』, 문학과지성사, 2005.
- 슬라보예 지젝, 이현우·김희진·정일권 옮김, 『폭력이란 무엇인가』, 난장이, 2011.
- 장-뤽 낭시, 박준상 옮김, 『무위의 공동체』, 인간사랑, 2010.
- Blanchot, M., The Work of Fire, trans. C. Mandell, Standford: Standford Univ. Press, 1995.
- Blanchot, M., The Writing of the Disaster, trans. Ann Smock, Lincoln and London: Univ. of Nebraska Press, 1995.
- Blanchot, M., L'espace littéraire, Paris: Gallimard ‘Folio-Esssais', 1955.
- Blanchot, M., L'Entretien infini, Paris: Gallimard, 1969.
- Nancy, J-L., Le Partage des voix, Paris: Galilée, 1982.
2. 논문 및 기타
- 강소희, 「오월을 호명하는 문학의 윤리―임철우의 『백년여관』과 한강의 『소년이 온다』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제62집,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5-27면.
- 강지희, 「작가 인터뷰: 고통으로 ‘빛의 지문’을 찍는 작가」, 『작가세계』 2011년 봄호, 작가세계, 2011, 43-58면.
- 강진호, 「5·18과 현대소설」, 『현대소설연구』 제64집, 한국현대소설학회, 2016, 5-33면.
- 김미정, 「‘기억-정동’ 전쟁의 시대와 문학적 항쟁―한강의 『소년이 온다』(2014)가 놓인 자리」, 『인문학연구』 제54집,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249-278면.
- 김연수, 「사랑이 아닌 다른 말로는 설명할 수 없는―한강과의 대화」, 『창작과 비평』 2014년 가을호, 창비, 2014, 312-332면.
- 김영찬, 「고통과 문학, 고통의 문학―한강의 『소년이 온다』와 「눈 한송이가 녹는 동안」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제72집, 우리말글학회, 2017, 291-314면.
- 김은하, 「유령의 귀환과 비통한 마음의 서사」, 『한국문화』 제69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5, 109-129면.
- 김형중, 「우리가 감당할 수 있을까?―트라우마와 문학」, 『문학과사회』 2014년 가을호, 문학과지성사, 2014, 256-281면.
- 박진, 「한강 소설에 나타난 주체화의 양상과 타자 윤리 문제―『바람이 분다, 가라』와 『희랍어 시간』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 제59집, 한국언어문화학회, 2016, 287-309면.
- 서영채, 「문학의 윤리와 미학의 정치」, 『문학동네』 2014년 가을호, 문학동네, 2014, 530-551면.
- 서지형, 「Jouissance의 독서 윤리―모리스 블랑쇼의 ‘서술하는 목소리’를 중심으로」, 『용봉인문논총』 제42집, 2013, 81-119면.
- 손정수, 「식물이 자라는 속도로 글쓰기―한강론」, 『작가세계』 2011년 봄호, 작가세계, 2011, 59-80면.
- 신승환, 「근대성의 내재적 원리에 대한 존재해석학적 연구―실체와 재현의 사고를 중심으로」, 『존재론 연구』 제9집, 한국하이데거학회, 2004, 93-117면.
- 우찬제, 「진실의 숨결과 서사의 파동」, 『문학과사회』 2010년 봄호, 문학과지성사, 2010, 349-363면.
- 이선우, 『인간이 무엇이지 않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실천문학』 2014년 겨울호, 실천문학사, 2014, 451-463면.
- 정미숙, 「기억과 정동의 관계 시학」, 『현대소설연구』 제64집, 한국현대소설학회, 2016, 105-138면.
- 조연정, 「‘광주’를 현재화하는 일―권여선의 『레가토』(2012)와 한강의 『소년이온다』(2014)를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제20권 3호, 대중서사학회, 2015, 101-13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