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0, pp.395-425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8
Received 15 Apr 2018 Reviewed 28 May 2018 Accepted 15 Jun 2018 Revised 26 Jun 2018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8.06.70.395

정세봉 소설 연구

최병우*
*강릉원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A Study on Jeong Se-bong’s Novel
Choi, Byeong-Woo*


Copyright Ⓒ 2018

초록

정세봉은 농민으로서 밑바닥 인생을 살면서 개혁개방을 전후한 시기 중국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인식하여 치밀하게 소설로 창작해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되어 왔다. 본고는 정세봉 소설에 대한 기존 연구의 성과를 바탕으로 작품의 주제를 좀 더 다양한 시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정세봉의 소설에서 다루어진 대표적인 주제는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사회에 만연해 있는 절대적 권위에 대한 부정적 시각, 둘째 공산주의 국가 건설 시기에 중국사회에 만연했던 출신성분론에 대한 비판, 그리고 개혁개방 이후의 자본주의화에 대한 현실인식 등이 그것이다.

정세봉은 소설의 소재, 등장인물, 사건 등 모든 것을 직접 본 사실을 기반으로 하였음을 밝힌 바 있다. 이러한 창작방식은 체험이 누적된 농촌을 제재로 한 소설에서는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으나 그의 문학 세계가 보다 광범위한 영역으로 확장하지 못하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

Abstract

Jeong Se-bong has been highly regarded in that he managed to write a fine novel and that he critically recognized the reality of China as he lived his life as a farmer i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hemes of his works with a more diverse perspective based on the accomplishment of previous research on Jeong Se-bong’s novel.

Major themes appearing in Jeong Se-bong's novel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major themes. They include firstly, negative views on the absolute authority that was prevalent in society, secondly, criticism of the family background theory that was prevalent in Chinese society during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communist state, and thirdly, the recognition of the reality of capitalism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Regarding all his works, such as novels, characters, events, etc., Jeong Se-bong stated that he was based on the facts himself. This method of creation positively influenced novels based on accumulated experiences of farmland, but resulted in the inability of his literary world to expand into a wider area.

Keywords:

Reform and openness, capitalism, reality criticism, denial of authority, family background, selfishness, writer’s limit

키워드:

개혁개방, 자본주의화, 현실비판, 권위부정, 출신성분, 이기심, 작가적 한계

참고문헌

  • 정세봉, 『하고 싶던 말』, 민족출판사, 1985.
  • 정세봉, 『볼세위크의 이미지』,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98.
  • 정세봉, 『볼세비키의 이미지』, 신세림출판사, 2003.
  • 정세봉의 네이버 블로그 https://muzhu221.blog.me/90131808899.
  • 김봉웅, 「우리 시대의 인간성격에 대한 탐구」, 『20세기중국조선족문학선집 4』, 연변인민출판사, 1999, 113-132면.
  • 김호웅 외, 『중국조선족문학통사 하』, 연변인민출판사, 2012.
  • 아인 랜드, 정명진 역, 『이기심의 미덕』, 부글, 2017.
  • 오상순, 『개혁개방과 중국조선족 소설문학』,월인, 2001.
  • 오상순 주필, 『중국조선족문학사』, 민족출판사, 2007.
  • 이광일, 『해방 후 조선족 소설문학 연구』, 경인문화사, 2003.
  • 전병칠, 『20세기 중국조선족 10대 사건』, 환경공업출판사, 1999.
  • 전성호, 「작가와 정감과 작품」, 『중국 조선족 문학 예술사 연구』, 이회, 1997, 127-139면.
  • 정세봉 편저, 『문학, 그 숙명의 길에서–정세봉과 그의 문학』, 신세림출판사, 2017.
  • 최병우, 『조선족 소설의 틀과 결』, 국학자료원, 2012.
  • 프랑크 디쾨터, 고기탁 역, 『해방의 비극』, 열린책들,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