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69, pp.35-70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Mar 2018
Received 25 Feb 2018 Reviewed 07 Mar 2018 Accepted 09 Mar 2018 Revised 18 Mar 2018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8.03.69.35

신식의 강박, 고백과 풍자 사이 : 『무정』의 양식적 특성과 서술적 거리

이상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The Obsession with New(Western)-style, Between Confession and Satire : The Genre Characteristics and the Narrative Distance in Mujeong(Heartlessness,『무정』)
Lee, Sang-Jin*

초록

본고는 인물과 서술자의 거리 및 태도를 중심으로 이광수의 『무정』을 분석하여 개화지식인의 부정성에 대한 자기 고백에서 비판적인 풍자에 이르는 양식적 특성을 확인하고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술자의 간섭 없이 인물 내면의 생각이나 지각 내용을 직접 제시하는 내적독백은 주로 형식에 대한 형상화에서 많이 나타난다. 이를 시간구조로 인한 착오, 욕망의 은폐와 서술전략에 중점을 두고 해석하였다. 지루하게 반복되는 내면묘사와 독백은 이야기 시간을 지연시키고, 시간 체감에서 착오를 일으켜 사건의 졸속적 진행을 마치 신중한 고려 결과인 것처럼 포장한다. 고민과 갈등에 대한 솔직한 고백은 오히려 형식의 부정적 욕망을 은폐하고 정당화시키는 효과를 준다. 근대적 주체의 발견과 자유에 대한 주장을 담은 논설도 형식의 세속적 욕망을 합리화시키는 근거로 작용한다. 이것은 수차례의 깨달음과 성찰이 형식의 몫이지만 끝까지 긍정적인 자리에서지 못하고 서술자가 냉정한 거리를 두고 형상화한 이유라 할 수 있다. 『무정』에는 김종렬이나 배학감, 김장로와 이형식 등 개화기 지식인의 부정성에 대한 비판과 풍자가 나타난다. 주로 서구의 신지식에 대한 허세와 과시, 무조건적 추종을 보여주어 신식에 대한 강박증이 희화화되고 있다. 또 신문물, 신지식과 교양에 대한 당대의 욕망과 현실의 격차가 풍자를 통해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형식이 과도기의 유치함을 거쳐 스스로 각성에 이르는 과정이 나타나지만, 마지막까지 나약하고 실천력 없고 무지한 이상주의자임이 거리를 두고 그려진다. 그는 춘원의 열등한 자아, 신식과 사회적 당위에 매몰된 개화지식인의 그림자였던 것이다. 이 논의를 통해 『무정』에는 비록 균열된 상태이나 다양한 서사장르가 맹아적 형태로 혼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역시 신식의 강박이 낳은 이 작품의 새로움이라 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to investigate that 『무정』 is a kind of mixture in which various forms are incoherently combined. Second, it is to analyze and interpret 『무정』, focusing on confession and anatomy.

The form of confession is mainly revealed through the figure Hyung-sik. Through a boring psychological description and an inner monologue, his hasty decision is shown as if it were a carefully-drawn conclusion. And his improper desire is concealed. His thought about the discovery of the modern subject become grounds for rationalizing his worldly desires.

The form of anatomy is mainly revealed through the criticism and satire on the negative side of Hyung-sik, Jong-ryul Kim, and Bae, who is the dean of Kyongsung school and the ruling elder Kim. The caricature of their pretension for ‘New(western)-knowledge’ shows the obsession with the new style. To the end, Hyong-sik is depicted as a weak, impractical and ignorant idealist. Although he conveys the contents of the awakening that represents the artist's thoughts, it can be said that he is the inferior self and the shadow of the author.

Through this discussion, it is confirmed that 『무정』 is a mixture of various western epic genres in a germinal stage form. This is also the newness of 『무정』 generated by the author's obsession with the new style.

Keywords:

Lee Kwang-soo, Mujeong(Heartlessness, 『무정』), obsession with the ‘New(Western)-style’, confession, anatomy, anisochronies, satire, narrative distance

키워드:

이광수, 『무정』, 신식의 강박, 고백, 해부, 시간모순, 풍자, 서술적 거리

참고문헌

  • 이광수, 김철 교주, 『바로잡은 『무정』』, 문학동네, 2003.
  • 권영민, 『서사양식과 담론의 근대성』,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96-109면.
  • _____, 『풍자 우화 그리고 계몽담론』, 서울대출판부, 2008, 27면.
  • 김동인, 『春園硏究』, 신구문화사, 1956, 28, 29면.
  • 김우종, 『한국현대소설사』, 성문각, 1982, 90-91면.
  • 김지원, 『해학과 풍자의 문학』, 문장, 1983, 117-120면.
  • 박상준, 『소설의 숲에서 문학을 생각하다』, 소명출판, 2003, 91-94면.
  • 양문규, 『한국근대소설의 구어전통과 문체 형성』, 소명출판, 2003, 98면.
  • 이희정, 『한국근대소설의 형성과 매일신보』, 소명출판, 2008, 301면.
  • 정재석, 『한국현대소설의 시간구조』, 새미, 2004, 91-95면.
  • 조건상, 『한국현대골계소설연구』, 문학예술사, 1985, 22면.
  • 조남현, 『한국현대소설사 1』, 문학과지성사, 2012, 270면.
  • 하타노 세츠코, 『무정을 읽는다』. 최주한 옮김, 소명출판, 2008, 209-210면.
  • 앙리 베르그송, 『웃음-희극성의 의미에 관한 시론』, 정연복 옮김, 세계사, 1992, 21-23면.
  • N. 프라이, 『비평의 해부』, 임철규 역, 한길사, 1986, 429-447면.
  • 김경수, 「현대소설의 형성과 겁탈 - 『무정』의 근대성」, 문학사와비평연구회, 『한국 현대문학의 근대성 탐구』, 새미, 2000.
  • 김영찬, 「식민지 근대의 내면과 표상」, 『상허학보』 16, 2006.
  • 김정자, 『한국근대소설의 시간기법연구』, 부산대 박사논문, 1984.
  • 서대석, 「韓 · 中 笑話의 비교연구 - 無識譚을 중심으로」, 『어문학논총』 25집, 2006.
  • 서은혜, 「1910년대 이광수 단편소설의 ‘자기-서사’적 특성, 『춘원연구학보』 7. 2014.
  • 성현경, 「<무정>과 그 이전 소설」, 『어문학』 32호, 1975.
  • 손자영, 「1910년대 이광수 단편소설의 고백서사적 특징 연구」, 『이화어문논집 』 42집, 2017.
  • 염인수, 『초기 현대소설의 서술화법』, 고대 박사논문, 2014.
  • 우찬제, 「서술상황과 작가의 욕망의 관련양상 연구-이광수의 「무정」의 시점분석」, 『현대소설연구』 5, 1996.
  • _____, 「한국소설의 고통과 향유」, 『문학과 사회』 12, 1999. 겨울.
  • 윤홍로, 「무정의 전통성과 근대성」, 이광수, 『무정』, 우신사, 1992.
  • 이만영, 「근대적 읽기 관습의 창출과 계도적 미학의 길 – 이광수의 문학론과 『무정』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센티멘탈 이광수』, 소명출판, 2013.
  • 이선경, 「1910년대 이광수의 장르 실험」, 『한국문학연구』 29, 2015.
  • 이유진, 「일본에서의 『무정』에 대한 평가와 문학사적 의의」, 『춘원학보』 10호, 2017.
  • 최주한, 「번역된 (탈)근대론으로서의 『무정』 연구사」, 『한국근대문학연구』 27 집, 2013.
  • 황정현, 『이광수 소설연구사』, 고대 박사논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