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변혁의 중개자로서 기독교인 이미지 연구 : 이태준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Copyright Ⓒ 2017
초록
이태준의 소설은 사회의식이 약하다는 평을 받고 있으나, 실상 그렇지 않다. 『해방전후』를 통해 나타난 작가의 사회의식과 현실인식 그리고 월북사건과 해방공간에서의 활동을 참작해 볼 때, 해방으로 외적 상황이 유리해졌다 할지라도 작가의식이 그렇게 급변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작가가 일관되게 견지해온 사회의식을 추적해볼 필요가 있다.
작가의식을 온전히 드러낼 수 없었던 식민지하에서 이태준은 주로 장편소설의 기독교인 주인공을 중개자로 내세워 농촌계몽과 사회변혁, 이상사회의 실현이라는 자신의 욕망을 투사하고 있다. 즉 지라르의 ‘욕망의 삼각형’의 구도처럼, 이상사회 건설에 대한 꿈을 기독교인을 중개자로 삼아 우회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다소 통속적이라고 평가되는 장편소설을 통해 이태준이 기독교인 주인공들에게 어떤 이미지를 투사했는지 밝혀보고자 한다.
이태준은 사회 구원이나 계몽운동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었지만 개인의 구원에 치우치거나 교세의 확장을 위한 포교에는 부정적인 인식을 보여주었다. 그러한 맥락에서 볼 때, 이태준의 사회의식이 기독교에 대한 관심과 소설적 활용을 촉발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이태준의 장편소설에 나타나는 기독교 이미지는 보편적이기 보다는 식민지 지식인들이 추구하는 정신적이고 초월적인 가치가 강조된 이상적 기독교 이미지이다. 기독교인 이미지는 긍정적인 측면에서 천사, 선한 사마리아인, 성모의 이미지를, 부정적으로는 위선자, 변절자의 이미지를 생각할 수 있다. 그는 이상과 현실의 갈등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다루었는데 이러한 이분법적 대립은 『청춘무성』의 원치원 목사를 통해 어느 정도 극복된다. 결과적으로 이태준이 제시하는 바람직한 기독교인의 이미지는 정신적이고 초월적인 가치를 지향하면서 공동의 선을 이루고 세속적 삶속에서 거룩함을 추구하는 인간의 이미지로 조화롭게 귀결된다. 하지만 이것은 이태준이 바라는 이상적 이미지일 뿐 다소 비현실적이다. 이와 같이 투사된 기독교인의 이미지는 기독교인에 대한 기대치를 과도하게 높임으로써 결과적으로 이상적 이미지와 현실 이미지의 괴리감을 초래하는데 일조하였다.
Abstract
Although Lee Taejun's novels have been criticized as having a weak social consciousness, but it’s not true. Considering the artist's sense of society and reality through Haebangjeonhu(Before and After liberation), the activities in the time of liberation, and his defection to North-Korea, he had a sensitive social consciousness. Even considering external changes like a liberation, we are wondering if the artist’s consciousness can be changed so easily. The artist living in a society has both a social self and a creative self. When the social self is threatened, the artist becomes immersed in the creative self and conceals the social consciousness in his work.
Under the colonialism, in which the artist's consciousness could not be revealed completely, Lee Taejun projected his desire for social transformation and realization of ideal society by introducing the Christian protagonists as an intermediary for his ideal society. In other words, like a triangle of desire of R. Girard 's , he dreamed of constructing the ideal society through a mediator of Christians. In this article, I try to reveal the social consciousness that Lee Taejun projected by analyzing the images of Christian characters in his novels.
Lee Taejun was positive about the social salvation and enlightenment movement, but he showed a negative perception toward the salvation of the individual or the propagation of the cross. The images of Christians in Lee TaeJun's novels are Angel image, Good Samaritan image, and Virgin image on the positive side. On the other hand, the images of hypocrites and apostates can be considered as negative images. He has also dealt with the conflict between ideals and reality, and this dichotomous image is overcome by Pastor Won chiwon, the main character of Cheongchunmuseong(A Luxuriant Youth). The image of a desirable Christian presented by Lee Taejun is harmonized with the image of human pursuing holiness in a secular life, forming a common good beyond the dichotomy of ideal and reality. But this is only the ideal image that Lee Taejun wants. The images of the projected Christians thus exaggerated the expectation about Christians and consequently contributed to the gap between the ideal image and the real image.
Keywords:
The Image of Christians, Projection, Triangle of Desire, Angel image, Good Samaritan image, Virgin image, Hypocrite image, Apostate image키워드:
기독교인 이미지, 투사, 욕망의 삼각형, 천사 이미지, 선한 사마리Reference
1. 자료
- 이태준, 「천사의 분노」, 『달밤』, 깊은샘, 1995.
- ______, 『구원의 여상』, 깊은샘, 1988.
- ______, 『제2의 운명』, 깊은샘, 1988.
- ______, 『성모』, 깊은샘, 1988.
- ______, 『사상의 월야』, 깊은샘, 1996.
- ______, 『별은 창마다』, 깊은샘, 2000.
- ______, 『청춘무성』, 깊은샘, 2001.
- ______, 『화관』, 깊은샘, 2001.
2. 논문
- 강진호, 「동경과 좌절의 미학」, 『이태준 문학연구』, 깊은샘, 1993. 103-127면.
- 권 은, 「은폐된 제휴관계와 식민지 지식인의 원죄의식」, 『현대소설연구』, 62호, 2016. 5-35면.
- 김은정, 「이태준 장편소설연구: 욕망의 서사적 구성화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김종균, 「이태준 장편소설 『화관』 연구」, 『어문논총』 34호, 1995.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 연구회, 399-419 면.
- 김한식, 「계몽성의 약화와 비판적 현실인식」, 『화관』, 깊은샘. 2001. 363-376면.
- 김택호, 「이태준 장편소설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6.
- 방용호, 「이태준 장편소설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이병렬, 「이태준 소설의 인물 성격화 유형」, 『이태준 문학연구』, 깊은샘, 1993. 261-288면.
- 이선경, 「두 개의 근대성과 처사의식」, 『이태준 문학연구』, 깊은샘, 1993. 54-86면.
- 이선경, 「이태준 소설의 유토피아 의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이호숙, 「이태준 소설의 이중 욕망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3. 단행본
- 김교신, 『김교신 일보』, 홍성사, 2016.
- 김교신, 노치준 편 『조와』, 동문선, 2001.
- 김정환, 『김교신』, 한국신학연구소, 1980.
- 노치준, 『일제하 한국기독교 민족운동 연구』, 한국기독교 역사연구소, 1993.
- 류달영, 『최용신의 생애』, 성천문화재단, 1998.
- 민충환, 『이태준연구』, 깊은샘, 1988.
- 상허문학회, 『이태준 문학연구』, 깊은샘, 1993.
- 이기인편, 『이태준』, 새미, 1996.
- 장영우, 『이태준』, 한길사, 2008.
- 르네 지라르/ 김치수·성의경 옮김, 『낭만적 거짓과 소설적 진실』, 한길사, 2011.
- Laplanche et Pontalis, Vocabulaire de la Psychanalyse. PUF. 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