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9, pp.141-173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0
Received 20 Aug 2020 Revised 10 Sep 2020 Accepted 12 Sep 2020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0.09.79.141

1930년대 후반 ‘후일담 소설’의 서사적 시간 재구성 양상 고찰

오창은*
*중앙대 다빈치교양대학 교수
A Study on the 'Later-Talked' Novels and Temporal Recomposition Pattern of Narratives in the Second Half of the 1930
Oh, Chang-Eun*

초록

본 논문은 최재서가 1930년 후반에 카프 출신 문인들의 소설을 ‘후일담 문학’으로 규정한 문헌에 주목하였다. 그 글은 최재서의 「현대소설과 주제」(<문장> 제1권 제6호, 1939.7)이다. 최재서는 ‘후일담 문학’이 에피소드를 다룸으로써 중심 주제에서 벗어난 소설이라고 했다. 최재서 논의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위해 논자는 ‘후일담문학’을 서사적 시간과 연결해 접근했다.

‘후일담’이라는 명명에는 사건의 사후적 재구성이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후일담 문학’에 대한 최재서의 논의는 현대소설의 특징인 ‘비연대기적’ 혹은 ‘단절적 줄거리’를 강조하는 것이다. 최재서의 ‘후일담 문학’이라는 명명은 1930년대 후반 중일전쟁으로 인한 부정적 상황이 소설 서사에 영향을 미치면서 생겨났다. 반면, 1930년대 후반 카프 1930년대 후반 카프 출신 문인들의 소설이 서사의 시간적 재구성을 통해 시대를 견디는 ‘사상의 진지전’을 선택했다고 보았다. 논자의 분석 대상 텍스트들은 김남천의 「춤추는 남편」(1937), 이기영의 「수석」(1939), 한설야의 「이녕」(1939)이다. 세 편의 소설에는 서사의 시간 재배치를 통한 작가들의 사상적 연속성이 담겨져 있다. 김남천은 고발문학론을 통해 서사의 시간적 단절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했다. 이기영은 검열의 우회라는 방식을 통해 사상의 내적 연결성을 확보하려 했다. 한설야는 보다 더 적극적인 방식으로 외적 서사와 내적 서사를 구분함으로써, 사상의 내적 지속을 강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김남천·이기영·한설야는 소설 서사의 시간적 재구성을 통해 1930년대 후반에 ‘사상의 진지전’을 펼치고 있었다.

최재서의 「현대소설과 주제」를 비판한 논의라고 보았다. 최재서가 ‘후일담 문학’을 ‘주제’와 관련지어 접근했다면, 임화는 ‘전향소설’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소설과 인물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접근했다. 임화는 화려했던 과거를 가진 인물이 현재에는 고뇌하고 있는 양상에 관심을 표명했다. 임화는 최재서의 ‘주제’와 대비되는 ‘주인공의 성격화’를 비평 대상으로 제시함으로써 작가의 ‘내적 고뇌’에 주목했다. 1930년대 후반, 중일전쟁과 카프 해산, 그리고 검열로 인한 문학 지형의 변화 속에서 카프 출신 작가들은 허용된 자유를 활용하는 소설쓰기를 선택했다. 김남천과 이기영, 한설야의 1930년대 후반 소설은 최재서가 명명한 ‘후일담 문학’이라기보다는, 시대와 대결하는 ‘내부 망명’, ‘사상의 진지전 문학’으로 의미화할 수 있다.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the literature that Choi Jae-seo defined as 'later-talked' novels of writers from KAFP in the second half of 1930s. The article is Choi Jae-seo's 「Modern novels and topics」 (<Munjang> Vol. 1, No. 6, July 19397). Choi Jae-seo described 'later-talked' as a novel that deviated from the central theme by dealing with episodes. For a critical approach to the discussion of Choi Jae-seo, we approached 'later-talked' by connecting it to the problem of time.

The name'Later-talked' is related to the posterior reconstruction of time. Choi Jae-seo's discussion of 'later-talked' emphasizes the'non-chronological' or 'disconnected plot',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modern novels. Choi Jae-seo's 'later-talked' emphasizes the negative aspect that the overwhelming situation of the Sino-Japanese War in the second half of the 1930s impacted the narrative of novels.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half of the 1930s, the novels of writers from KAPF chose 'the Advance War of Thought that endured the times through the temporal reconstruction of the narrative. The texts for our analysis are Kim Nam-cheon's 「Dancing husband」(1937), Lee Gi-yeong's 「Flint」 (1939), and Han Seol-ya's 「Muddy Ground」(1939). The three novels tried to endure the difficulties of the times of the second half of the 1930s by embodying the writers' ideological continuity through the time rearrangement of the narrative. Kim Nam-cheon critically reconstructed the temporal break of the narrative through the theory of accusatory literature. Lee Gi-yeong tried to secure the inner connection of his thoughts through a method of bypassing censorship. Han Seol-ya showed a pattern of reinforcing the inner continuation of the ideology by distinguishing between the external and internal narratives in a more active way. Kim Nam-cheon, Lee Gi-yeong and Han Seol-ya were engaged in the “Advance War of Thought” in the second half of the 1930s through temporal reconstruction of novel narratives.

We revealed that the article 「The protagonist of a recent novel」 of Im Hwa ((<Munjang> Volume 1, No. 8, September 1939) was also a discussion criticizing Choi Jae-seo's 「Modern novels and topics」. Choi Jae-seo approached 'later-talked' in relation to 'subject', while Im Hwa critically approached the 'ideologically converted novels' in relation to 'characters'. Im Hwa expressed interest in the aspect of a character with a splendid past who is now agonizing. Im Hwa focused on the artist's “inner agony” by presenting the subject of criticism, “personalization of the protagonist”, which contrasts with Choi Jae-seo’s “subject”. In the second half of the 1930s, amid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dissolution of KAPF, and a change in the literary landscape due to censorship, writers from KAPF chose to write novels that utilize their allowed freedom to realize their 'will to write'. The novels by Kim Nam-cheon, Lee Gi-yeong, and Han Seol-ya in the second half of the 1930s do not belong to the 'later-talked' category named by Choi Jae-seo, but should be named the 'inside asylum literature that confronts the times through internal writing for the continuation of ideas.

Keywords:

'Later-talked' literature, Choi Jae-seo, 「Modern novels and topics」, Im Hwa, 「The protagonist of a recent novel」, ideologically converted literature, ideologically converted novel, literature in the second half of 1930s, transformational era, Sino-Japanese War, KAPF dissolution, censorship, Kim Nam-cheon, Lee Gi-yeong, Han Seol-ya, 「Dancing husband」, 「Flint」, 「Muddy Ground」

키워드:

후일담 문학, 최재서, 「현대소설과 주제」, 임화, 「최근 소설의 주인공」, 전향문학, 전향소설, 1930년대 후반 문학, 전형기, 중일전쟁, 카프 해산, 검열, 김남천, 이기영, 한설야, 「춤추는 남편」, 「수석」, 「이녕」

References

  • 「박완식은 공소, 칠인은 검사공소, 신건설사건판결후보, 12인은 조야출감」, <조선일보> 1935년 12월 17일, 조선일보사
  • 검열연구회, 『식민지 검열, 제도·텍스트·실천』, 소명출판, 2011
  • 김남천, 「고발의 정신과 작가-신창작이론의 구체화를 위하여 ⑤」, <조선일보> 1937년 6월 5일자
  • 김남천, 「춤추는 남편」, <여성> 제2권 제10호, 조선일보사 출판부, 1937.10
  • 김윤식, 『한국 근대문학 사상사』, 한길사, 1990
  • 김윤식,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 일지사, 1976
  • 김흥식, 「일제 맑기 ‘내부망명문학’과 봉황각좌담회의 담론」, 『한국근대문학과 사상의 논리』, 역락, 2019
  • 김흥식, 『작가 이기영, 그 치열한 삶과 문학적 진실의 수준』, 예옥, 2020
  • 리몬 케넌, 최상규 옮김, 『소설의 현대 시학』, 예림기획, 1999
  • 미셸 푸코, 오생근 역, 『감시와 처벌』. 나남출판, 1994
  • 서준섭, 『한국 모더니즘 문학 연구』, 역락, 2017
  • 서항석 외, 「명일의 조선문학 – 장래할 사조와 경향 : 문단 중진 14씨에게 재검토된 리얼리즘과 휴머니즘」, <동아일보> 1938년 1월 1일자·3일자, 동아일보사.
  • 이기영, 「고난의 배후서 – 봄을 기다리는 마음」, <조선중앙일보>, 조선중앙일보사, 1936.4.12.
  • 이기영, 「燧石(부싯돌)」, <조광>, 조선일보 출판부, 1939.3
  • 임화, 「최근소설의 주인공」. <문장> 제1권 제8호, 문장사, 1939.9.
  • 최재서, 「비평과 과학」, 『문학과 지성』, 인문사, 1938
  • 최재서, 「현대소설과 주제」. <문장> 제1권 제6호, 문장사, 1939.7
  • 폴 리쾨르, 김한식·이경래 옮김, 『시간과 이야기 Ⅰ』, 문학과지성사, 2008
  • 한만수, 『허용된 불온 – 식민지시기 검열과 한국문학』, 소명출판, 2015
  • 한설야, 「이녕」, <문장> 제1권 제4호, 문장사, 1939.5.
  • 한설야, 기교주의의 검토 – 문단의 동향과 관련시키어, <조선일보> 1937년 2월 9일자
  • 황민호, 「전시통제기 조선총독부의 사상범 문제에 대한 인식과 통제」, 『사학연구』(79), 한국사학회, 2005.9
  • 한설야, 「머리에쓴 日記 – 그중의 멧토막①~③」, <조선일보>, 조선일보사, 1936년 1월 24~2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