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6, pp.175-204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9
Received 17 Nov 2019 Revised 06 Dec 2019 Accepted 11 Dec 2019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9.12.76.175

전쟁의 시공간에서 형성된 여성 정체성의 불연속성 : 오정희의 「유년의 뜰」, 「중국인 거리」를 중심으로

문화*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비교문학 박사과정
Discontinuity in the Formation of Female Identity during War : Focusing on Oh Jeong-hee's “The Garden of Childhood” and “Chinatown”
Moon, Hwa*

초록

이 글은 오정희(1947~)의 「유년의 뜰」(1980), 「중국인 거리」(1979)에 나타난 여자 아이의 성장을 통해 ‘여성 정체성 형성’의 형식적 특징과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디스 버틀러의 ‘우울증적 젠더’ 개념을 참고하였으며 여자 아이가 여성으로 정체화되는 과정이 자연적인 것이 아니라 일련의 억압을 통한 인위적인 과정임을 확인했다. 「유년의 뜰」과 「중국인 거리」에서 여자 아이는 통과의례와 같은, 동성 부모에 대한 감정의 억압을 경험할 뿐 아니라, 가부장적 규율의 감시 아래 놓인 여성의 몸을 목격한다. 그리하여 여자 아이는 동성 부모인 어머니에 대해 ‘관능과 혐오’라는 양가적인 감정을 느끼게 되고, 긍정적으로 동일시할 어떤 모델 없이 여성으로 성장해야 하는 모순적 상황에 놓인다. 한편, 동성애적 애착의 금지가 전제된 이성애적 젠더 규범이 어린 ‘나’를 둘러싸고 있다고 해서 규범이 강요한 대로 일관된 여성 정체성을 얻는 것은 아니다. 본고에서는 「유년의 뜰」과 「중국인 거리」의 어린 여자 아이가 억압적 여성 규범 속에서도 스스로의 몸을 저항의 공간으로 재조직화하는 등 일탈의 가능성을 보였던 것에 주목하였다. 오정희의 소설에 등장하는 성인 여성 인물의 일탈은 단순히 비일상적인 예외적인 행위가 아니라, 여성 정체성 획득의 강제적 역사에 대항하는 하나의 증상으로 볼 필요가 있는데, 「유년의 뜰」과 「중국인 거리」에서 여성 정체성의 억압적 형성과 저항의 원장면을 확인할 수 있다.

Abstract

This article reviews the formal features and meanings of “Women's Identity Formation” through studying the girls in Oh Jung-hee(1947~)'s “The Garden of Childhood” and “Chinatown”. It reveals the process of becoming a woman is not natural but artificial through a series of repression, taking Judith Butler's concept of a “melancholy gender”. The both girls in “The Garden of Childhood” and “Chinatown” observe the body of women who are under the supervision of patriarchal discipline as well as experience the feeling of suppression toward their same-sex parents as a rite of passage. Thus, the girls are faced with ambivalent feelings of “sensuality and disgust” towards her same-sex parent and forced to grow up into women without any models to positively identify themselves with. On the other hand, just because the main characters are under the heterosexual norm, which presupposes a ban on same-sex attachment, does not mean both girls achieve a consistent female identity as the norm expects.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possibilities of deviation where the young girls in “The Garden of Childhood” and “Chinatown” try to reconstruct themselves into the space of resistance under the oppressive female norms. The deviation of the adult female character in Oh's novel does not need to be seen as a simple unusual exception, but as a clue that women stand against the history of the suppression of female identity. Oh represents the repressive formation and resistance of female identity in “The Garden of Childhood” and “Chinatown”.

Keywords:

woman identity, identification, homosexuality, melancholy gender, abject, body, Judith Butler, Oh Jeong-hee, The Garden of Childhood, Chinatown, female growth

키워드:

여성 정체성, 동일시, 동성애, 우울증적 젠더, 비체, , 주디스 버틀러, 오정희, 중국인 거리, 유년의 뜰, 여성 성장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