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67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67, pp. 205-241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17
Received 05 Aug 2017 Reviewed 08 Sep 2017 Accepted 09 Sep 2017 Revised 18 Sep 2017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7.09.67.205

『무정』 판본에 관한 서지적 고찰 : 새로 발굴된 『무정』 초판본을 중심으로
이만영**
**고려대학교 박사과정 수료

A Bibliographical Research on the editions of ‘Moojeong’ : Focused on the newly discovered first-edition of ‘Moojeong’
Lee, Man-Young**

Copyright Ⓒ 2017

초록

『무정』이 단행본으로 발간된 지 올해로 100년이 되었지만, 우리는 그간 표지 및 장정(裝幀)을 온전히 갖춘 『무정』 초판본을 확보하지 못한 채 문학사를 기술해왔다. 그러나 최근 고려대 도서관을 통해 1918년 발간 당시의 책 상태를 온전히 유지하고 있는 『무정』 초판본이 공개되었다. 그에 따라 우리는 비로소 표지 및 장정까지 갖춘 『무정』의 판본 전체를 온전히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먼저, 본 연구는 새 자료 『무정』 초판본에 관한 고찰을 시도했다. 이번에 공개된 자료는 기존에 공개되었던 초판본(한국현대문학관 소장본, 태영사 영인본)과는 크게 두 가지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첫째, 기존 자료와 달리 표지 장정 및 책등의 상태가 양호해 발간되었을 당시의 책 외관을 온전히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번에 새 자료가 발굴됨에 따라 초판본의 제책 상태가 재판본의 제책 상태와 거의 흡사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기존 자료와 달리 판권지에 ‘東文舘’(전북 전주 소재)이라는 서적 발매소 스탬프가 찍혀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무정』 초판본이 어떤 경로로 지방으로까지 유통될 수 있었는지를 가늠하고, 『개벽』과 『창조』 등의 추가 자료를 통해 東文舘이 어떠한 성격의 서점이었는지를 설명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기존의 논의를 참조·보강하여 『무정』의 판권 변동사항 및 각 판본의 소장처 등을 정리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무정』의 발간 경위에 관해 그간 밝혀지지 않았던 문제, 즉 『무정』을 비롯한 이광수의 저작이 1920년대 초반 興文堂書店에서 집중적으로 발간되게 된 이유에 대해 논의했다. 그리하여 그 이유가 허영숙과 관련되어 있음을 입증하였다.

Abstract

Although it’s been 100 years since ‘Moojeong’ was published in book form, we have described the history of literature not procuring the first-edition of this book with cover entirely. However, Korea University Library has made public recently the first-edition of this book which maintains its condition when it was published in 1918. As the intact first-edition with its cover was revealed, we could secure the whole edition of ‘Moojeong’ entirely from first edition to the 8thedition which were published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First, this study tries to consider first-edition of ‘Moojeong’ which is a new material. This newly released material has differences in two aspects, compared with the existing first-edition that Museum of Korean Modern Literature possesses and which was the edition published by Taeyeongsa publisher and printed the first-edition in which a bibliographer, Mr. Kim Jong-wook owned. First, since the condition of book and its cover are in an excellent state of preservation unlike the existing material, its board and case are still completely intact as it used to be when it was published. Second, there is a stamp of publisher, Dongmungwan(東文館) which is located in Jeonju-si, Jeonbuk on paper on the contrary to existing material. Thus,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physical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edition that National Library of Korea possesses and the first-edition of ‘Moojeong’ which was unearthed this time and surmise how the first edition of this book was distributed.

In addition, this study arranges the publication right history of ‘Moojeong’ and organizations where house each edition of this book. As mentioned earlier, the public release of this material leads to secure the whole edition of ‘Moojeong’ which was released in Japanese colonial era. Therefore, the previous discussion was referred and supplemented and bibliography of edition of ‘Moojeong’ and organizations where house each edition are arranged. In the meantime, the unrevealed problems on how ‘Moojeong’ was published, which means why Lee Gwangsu’s writings including ‘Moojeong’ were published intensively in Heungmundang-bookstore(興文堂書店) in the early 1920s are discussed in this paper. Thus, this study proves that it’s related with Heo Yeongsuk.


Keywords: Lee Gwangsu, Moojeong, first-edition, Korea University Library, Dongmungwan (東文館), Heungmundang-bookstore(興文堂書店), Heo Yeongsuk
키워드: 이광수, 『무정』 초판본, 고려대 도서관, 東文舘, 흥문당서점, 허영숙

Acknowledgments

먼저, 이 논문을 집필함에 있어 도움을 주신 분들께 감사의 뜻을 밝히고자 한다. 이 글은 최근 고려대 도서관에서 공개한 이광수의 『무정』 초판본에 관한 논의를 포함하고 있다. 고려대 도서관 측에서 공개한 자료는 고려대 교육대학원 출신인 유덕웅 선생님께서 기증하면서 세상에 공개되었고, 그 이후 필자는 도서관 한적실의 한민섭 선생님 배려 덕택에 이 자료를 직접 접할 수 있게 되었다. 한민섭 선생님께서는 필자에게 초판본의 표지 장정을 직접 만져보고 촬영할 수 있는 기회를 흔쾌히 허락하셨을 뿐만 아니라 해당 판본에 관한 부수적인 정보를 제공해주셨다. 마지막으로, 필자가 한민섭 선생님을 만날 수 있게 된 것은 어디까지나 동료 연구자 박성호 선생 덕택이다. 그는 일면식도 없는 한민섭 선생님과의 만남을 중재해줌으로써, 필자에게 새로운 자료를 접할 수 있는 결정적인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이 글은 세 분의 도움 없이는 결코 발표될 수 없었을 것이다. 새로운 판본 자료의 중요성을 성찰하게 해준 이 분들께 이 자리를 통해 감사의 뜻을 전한다.


Reference

1. 자료
1. 이광수, 『무정』, 신문관·동양서원, 1918.7 (초판).
2. 이광수, 『무정』, 신문관·광익서관, 1920.1 (재판).
3. 이광수, 『무정』, 광익서관·회동서관, 1922.2 (3판).
4. 이광수, 『무정』, 광익서관·회동서관, 1922.5 (4판).
5. 이광수, 『무정』, 흥문당서점·회동서관, 1924.1 (5판).
6. 이광수, 『무정』, 흥문당서점·회동서관, 1925.12. (6판).
7. 이광수, 『무정』, 박문서관, 1934.8. (7판).
8. 이광수, 『무정』, 박문서관, 1938.11. (8판).
9. 『매일신보』, 『동아일보』, 『청춘』, 『창조』, 『개벽』, 『조선문단』, 『삼천리』, 『박문』 등.

2. 논문 및 저서
10. 강혜영, 「20세기 전반의 전주 지방 서적 발행 활동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 41, 서지학회, 2008.
11. 권두연, 「신문관 출판활동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1) - 인쇄부와 판매부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40, 한국문학연구학회, 2010.
12. ______, 『신문관의 출판 기획과 문화운동』,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16.
13. 김기화, 「‘七書房’의 출판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 43, 서지학회, 2009.
14. 김성연, 「식민지 시기 기독교 출판과 책의 유통 – 조선예수교서회를 중심으로」, 『사이(SAI)』 18,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5.
15. 김영민, 『한국의 근대신문과 근대소설』, 소명출판, 2006.
16. 김종수, 「일제 강점기 경성의 출판문화 동향과 문학서적의 근대적 위상: 한성도서주식회사의 활동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35, 서울시립대 서울학연구소, 2009.
17. ______, 「일제 식민지 근대 출판시장에서의 이광수의 위상」, 『한국문화』 50,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0.
18. ______, 「일제 식민지 문학서적의 근대적 위상 – 박문서관의 활동을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41, 우리어문학회, 2011.
19. 김철, 『바로잡은 『무정』』, 문학동네, 2003.
20. 남석순, 『근대소설의 형성과 출판의 수용미학』, 박이정, 2008.
21. 박상균, 「개화기 ‘책거간’ 고 - 도서유통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2, 동국대 한국학연구소, 1977.
22. 박진영, 「“이수일과 심순애 이야기”의 대중문예적 성격과 계보 - 『장한몽』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 23, 한국문학연구학회, 2004.
23. ______, 「『무정』이라는 책의 탄생 전후」, 『근대서지』 4, 근대서지학회, 2011.
24. 심원섭, 『아베 미츠이에와 조선』, 소명출판, 2017.
25. 양문규, 「1910년대 잡지 매체의 언어 선택과 근대 독자의 형성과정」, 『현대문학의 연구』 43, 한국문학연구학회, 2011.
26. 유석환, 「식민지시기 문학시장의 변동 양상의 분석을 위한 기초연구 (1)」, 『대동문화연구』 96,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17.
27. 유탁환, 『한국문헌학연구』, 아세아문화사, 1989.
28. 이경현, 「1910년대 1060 .문관의 문화 기획과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 서울대 박사논문, 2013.
29. 이승우, 「개화기 출판·서적계를 가다」, 『출판저널』, 1993.10.5.
30. 이종국, 「개화기 출판 활동의 한 징험 – 회동서관의 출판문화사적 의의를 중심으로」, 『한국출판학연구』 49, 한국출판학회, 2005.
31. 이태영, 「완판 방각본 출판의 문화사」, 『열상고전연구』 31, 열상고전연구회, 2010.
32. 이형식, 「‘제국의 브로커’ 아베 미쓰이에와 문화통치」, 『역사문제연구』 37, 역사문제연구소, 2017.
33. 장명수, 『성곽발달과 도시계획 연구 - 全州府{城을 중심으로』, 학연문화사, 1994.
34. 전은경, 「『대한매일민보』의 「편편기담」과 ‘쓰는 독자’의 출현, 『한국현대문학연구』 30, 한국현대문학회, 2010.
35. ______, 「잡지 『소년』의 기획과 독자 전략」, 『한국현대문학연구』 41, 한국현대문학회, 2013.
36. 천정환, 「한국 근대소설 독자와 소설 수용 양상에 대한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2002.
37. 최주한, 「『무정』 100년의 계보를 읽는다」, 『근대서지』 13, 근대서지학회, 2016.
38. 태영사 편집부 편, 『한국현대소설총서 1: 무정·홍염·배회』, 태영사, 1985.
39. 하동호, 『한국 근대문학의 서지연구』, 깊은샘, 1981.
40. 한기형, 「1910년대 신소설에 미친 출판 · 유통 환경의 영향」, 『한국학보』 22권 3호, 일지사, 1996.
41. R. Escarpit, Socialogie de la littérature, 민병덕 역, 『출판·문학의 사회학』, 일진사, 1999, 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