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66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 No. 66, pp. 69-97
Abbreviation: JKFR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7
Received 09 May 2017 Reviewed 08 Jun 2017 Accepted 10 Jun 2017 Revised 19 Jun 2017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7.06.66.69

심각한 자기부정 : <대륙>을 통해서 본 한설야의 정화(淨化) 미학
劉惠瑩*
*山東大學(威海) 韓國學院 전임 강사

Serious Self-negation : Han, Seol-Ya's Purification Aesthetics through “The Continent”
LIU, HUIYING*

초록

한설야의 장편소설 <대륙>은 일제가 만주 이주, 개척을 대대적으로 추진했던 배경 아래 창작되었고 일본인 및 조선인의 만주 이주, 개척을 주된 내용으로 했다. 이 소설에서 한설야는 ‘무구(無垢)함’을 일종의 긍정적인 이미지로 제시함으로써 식민지 만주 또는 그 주체에 대한 이상적인 설계도를 내놓았다. 그것은 민족의식이 불식되고 민족적 경계선이 무너진 민족 무화의 세계로 요약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런 ‘무’의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거친 정화(淨化) 과정에는 반드시 죽음 기호가 수반된 사실은 주목을 요한다. 이는 한설야의 이상이 심각한 자기부정을 내포했던 사실을 말해준다. 이런 사실은 <대륙>의 해체적인 구성을 불러일으켜 심각한 민족적 모순, 제국의 헤게모니의 일부로 수렴된 하층 이민 등 일련의 파탄으로 구체화되었다. 심각한 자기부정을 드러내는 한설야의 정화 미학은 1939년이라는 시점에 조선의 식민지문제, 계급문제에 대한 그의 비판적 시각을 말해준다.

Abstract

Han, Seol-Ya's long novel “The Continent” was created under the background of Imperial Japan was pushing emigration to Manchuria and Manchurian reclamation forward. In this novel about Japanese and Korean in Manchuria, Han, Seol-Ya offered a positive image which can be named ‘spotless’, and gave an ideal blueprint for Manchuria. In a word, he showed a world in which there wasn't any national consciousness or boundaries of race. Though, there must be death in his purification. Therefore, we can know that there was serious self-negation in Han, Seol-Ya's ideal. Because of serious self-negation, “The Continent” showed a deconstructive structure. Han, Seol-Ya's purification aesthetics with serious self-negation was a result of his criticism on colonial Korea around the year 1939.


Keywords: Han, Seol-Ya, “The Continent”, purification, emigration, self-negation
키워드: 한설야, <대륙>, 정화(淨化), 이민, 자기부정

Reference

1. 기본 자료
1. 韓雪野, <大陸>, 『國民新報』, 1939년 6월 4일~9월 24일.
2. 韓雪野, <舞踊 使節 崔承喜에게 보내는 書>, 『四海公論』, 1938.7.
3. 韓雪野, <作者の言葉>, 『國民新報』, 1939년 5월 28일.
4. 韓野, <朝鮮文學의 새 方向(四)>, 『朝鮮日報』, 1937년 1월 8일.

2. 단행본
5. 김재용, 『협력과 저항』, 소명출판, 2004.
6. 윤대석, 『식민지 국민문학론』, 역락, 2006.
7. 정종현, 『동양론과 식민지 조선문학』, 창비, 2011.
8. 한석정, 노기식 편, 『만주, 동아시아 융합의 공간』, 소명출판, 2008.
9. 馬平安, 『近代東北移民硏究』, 齊魯書社, 2009.
10. 王俊彦, 『白俄中國大逃亡紀實』, 中國文史出版社, 2002.
11. 依田熹家 著, 卞立强 等 譯, 『日本帝國主義的本質及其對中國的侵略』, 中國國際廣播出版社, 1993.
12. 張武軍, 『從階級話語到民族話語――――抗戰與左翼文學話語轉型』, 中華書局, 2013.

3. 논문
13. 배주영, 「1930년대 만주를 통해 본 식민지 지식인의 욕망과 정체성」, 『韓國學報』 제29권 제3호, 일지사, 2003년, 35〜57면.
14. 서경석, 「만주국 기행문학 연구」, 『어문학』 제86호, 한국어문학회, 2004년 12월, 341〜360면.
15. 서경석, 「카프 작가의 일본어 소설 연구」, 『우리말글』 제29집, 우리말글학회, 2003년 12월, 373〜397면.
16. 유필규, 「滿洲國시기 韓人의 강제이주와 集團部落 연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년, 1〜225면.
17. 劉惠瑩, 「일제말기 한국 국민문학과 타이완 황민문학 비교 연구――중·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년 8월, 1〜340면.
18. 朴仁哲, 「朝鮮人‘満州’移民のライフヒストリー(生活史)に関する研究—移民体験者たちへのインタビューを手掛かりに」, 北海道大学博士学位論文, 2015年, 1〜147면.
19. 山畑翔平, 「昭和戦中期における満洲移民奨励施策の一考察―――移民宣伝誌を通じてみた満洲イメージとその変容」, 『政治学研究』 41号, 2009年 5月, 137〜162면.
20. 浅田喬二, 「拓務省の満州農業移民計画(試験移民期)」, 『駒澤大學經濟學部研究紀要』 32卷 , 1974年 3月, 87〜155면.
21. 房建昌, 「僞滿洲國時期的白俄」, 『黑龍江社會科學』,1997年 12月, 66〜70면.
22. 沈海濤·衣保中·王胜今, 「論日本對中國東北移民的侵略本質」, 『吉林大學社會科學學報』 第54卷 第3期, 2014年 5月, 5〜12면.
23. 鄒桂芹, 「“九一八”事變後日本對中國東北的移民侵略」, 『長春敎育學院學報』 第19卷 第2期, 2003年 6月, 28〜31면.
24. 韓雪玉, 「僞滿洲國時期中韓作品中的東北形象比較」, 中央民族大學 碩士學位論文, 2016年, 1〜5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