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82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2, pp. 119-163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1
Received 24 May 2021 Revised 12 Jun 2021 Accepted 15 Jun 2021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1.06.82.119

극작가 오태영 희곡의 검열과 개작 : 희곡 「난조유사」와 개작본 「임금알」을 중심으로
홍창수**
**고려대학교 미디어문예창작전공 교수

The Censorship and Adaptation of Playwright Oh Tae-young's Plays : Focusing on the Original 「Nanjoyusa」 and the Adapted Version of 「The King's Egg」
Hong Chang-soo**
Funding Information ▼

초록

이 논문은 극작가 오태영의 희곡 「난조유사(卵朝遺事)」와 개작 공연본 「임금알」을 중심으로 검열과 개작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원작과 개작본의 차이를 분석하되, 관련 자료들을 통해 작가가 검열을 받는 피검열의 상황과 과정, 검열에 대응하는 행동과 방식을 함께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한국 현대 희곡사와 연극사에서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던 작품들의 의의를 되새겨보았다. 「난조유사」는 알에서 태어난 박혁거세 같은 시조의 건국신화를 극의 모티브로 가져와 세속적 현실에서 건국신화를 재현하려는 희극성이 강한 드라마다. 공륜에 의한 「난조유사」의 공연 금지는 박정희 유신정권의 문화정책, 즉 ‘공연윤리강령’에 나타난 민족주의와 전통문화예술 옹호의 논리에 근거한 것으로서 공륜이 권위주의적이고 경직된 사고방식과, 정치 권력의 관점에서 자의적이며 지나치게 부정적으로 작품을 폄하하였다. 오태영의 검열 불복 행위는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연극계에서 가시화되던 검열 전선의 한 사례였는데, 「난조유사」의 공연을 진행하는 대한민국연극제의 집행위원회는 말할 것도 없고 제도권에 있던 연극계의 기성세력도 「난조유사」의 공연 금지에 침묵으로 일관하면서 젊은 신인작가 오태영만이 검열의 피해자로 남았다.

오태영은 1980년대 전두환 정권에서 검열을 통과하고 공연을 성사시키기 위해 이중의 전략을 짜서 극단 76과 함께 실행했다. 그는 검열당국을 속이기 위한 심의용 대본과 실제로 공연할 공연용 대본을 만들었다. 공연본 「임금알」은 왕에 대한 풍자와 숭고의 미의식이 충돌하는 「난조유사」의 결함을 없애고 왕과 왕위의 정통성에 대한 풍자를 강조함으로써 당시 독재 정치에 대한 풍자와 알레고리의 세계를 선명하게 구축하였다. 그리고 원작과는 달리, 「임금알」은 4명의 코러스를 다채롭게 활용하여 극의 재미와 활력을 부여했고 관객과 소통하는 개방 구조의 특성을 지녔다. 특히 관객이 시위에 동참하는 결말 장면은 정권의 통제와 억압에 짓눌렸던 분노를 표출시키는 계기를 제공했다. 1970년대 중반에 공연 금지당했던 「난조유사」와 1985년에 공연되었으나 공연에 대한 외부의 압력으로 주목을 받지 못했던 「임금알」은 작가 오태영의 작가 생애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차지하겠지만, 한국현대 희곡사와 연극사에서도 중요하게 자리매김 되어야 한다고 본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pects of censorship and adaptation, focusing on the plays 「Nanjoyusa」 and 「The King's Egg」 by playwright Oh Tae-young.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adaptation, we reviewed the significance of those plays that were not properly evaluated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lays and theater history by analyzing the situation and process of censorship, and the way he acted against censorship. 「Nanjoyusa」 is a comic drama that attempts to recreate the founding myth in secular reality by bringing the founding myth of the founder like Park Hyuk-geose, who was born from an egg, as the motif of the play. The ban on the performance of 「Nanjoyusa」 by Performing Arts Ethics Committee(‘Kong-ryun’) was based on the cultural policies of the Park Chung-hee Yushin regime, the logic of nationalism and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Kong-ryun belittled the plays arbitrarily and negatively from authoritarian and very rigid way of thinking, and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power. Oh Tae-young's censorship disobedience was an example of a censorship front that became visible in the theater circles in the 1970s. Not only the Executive Committee of the Korean Theater Festival, which hosted the performance of 「Nanjoyusa」, and theatre circles at that time kept silent about The ban on the performance of 「Nanjoyusa」. Only young new writer Oh Tae-young remained a lonely victim of censorship.

In order to pass censorship under Chun Doo-hwan's regime in the mid-1980s, Oh Tae-young implemented a double strategy with the theater company 76. He created two script: a script for deliberation to deceive the censorship authorities and a script for performances to be performed. The performance version of 「The King's Egg」 clearly established the world of satire and allegory of dictatorship at the time by eliminating the flaws in 「Nanjoyusa」, where satire and sublimity, that is two aspects of aesthetic consciousness on the king, coexists. And unlike the original, 「The King's Egg」 used the four actors like Ancient Greece chorus in a variety of ways to give the play fun and vitality, a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an open structure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In particular, the ending scene in which the audience joined the protest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press anger that had been weighed down by the regime's control and oppression. 「Nanjoyusa」, which was banned from performing in the mid-1970s, and 「The King's Egg」, which was not noticed due to external pressure on the performance, will be important in writer Oh Tae-young's career, but it should also be more important in Korean modern drama and theater history.


Keywords: Oh Tae-young, censorship, censorship front, censored writer, adaptation, 「Nanjoyusa」, 「The King's Egg」, Performing Arts Ethics Committee(‘Kong-ryun’), Korean Arts Ethics Committee(‘Ye-ryun’), The Executive Committee of the Korean Theater Festival
키워드: 오태영, 「난조유사」, 「임금알」, 검열, 피검열자, 검열전선, 한국예술윤리위원회(예륜), 공연예술윤리위원회(공륜), 대한민국연극제, 탈주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9S1A5A2A03045339)


References 1. 기본자료
1. 『동아일보』, 『조선일보』, 『경향신문』
2. 한국공연윤리위원회, 『공연윤리』, 1977.1.~12, 1980.1.~5.
3. 한국연극협회, 『한국연극』, 1977.1.~12, 1985.11.~12,
4. 오태영, 「난조유사」 (출품 대본), 제1회 대한민국연극제 참가작품, 1977.9,
5. 오태영, 『임금알』, 예니, 1885.11.30.
6. 오태영, 「임금알」 대본(공륜 심의 대본), 1985.9.
7. 오태영, 『바람 앞에 등을 들고』, 예니, 1989.

2. 단행본
8. 문옥배, 『한국공연예술통제사』, 예술, 2013.
9. 이영미, 『마당극 양식의 원리와 특성』,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1996.
10. 이진경, 『탈주선 위의 단상들』, 문화과학사, 1998.
1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5759.
12. 한국브레히트학회, 『브레히트 연극 사전』, 한국외국어대학교지식출판콘텐츠원, 2021.
13.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엮음, 『한국현대예술사대계 Ⅳ』, 시공사, 2004.
14. Louis E. Catron, 홍창수 역, 『희곡쓰기의 즐거움』, 작가, 2011,
15. Oscar G. Brockett·Franklin J. Hildy, 전준택·홍창수 역, 『연극의 역사』Ⅰ, 연극과인간, 2004.
16. Robert W. Corrigan, “Comedy and The Comic Sprit”, Comedy Meaning and Form, Harper & Row, 1981.

3. 논문
17. 김성희, 「전복적 상상력을 통한 풍자와 역설: 오태영론」, 한국희곡작가협회, 『한국희곡』 22, 2006, 5-12면.
18. 김태희, 「1970년대 연극 검열 연구-신춘문예 기념공연을 중심으로」, 『드라마연구』, 제52호, 132면.
19. 박명진, 「사전검열대상희곡 텍스트에 나타난 정치성-1980년대 공륜의 검열에서 반려된 작품을 중심으로」, 『어문연구』, 제31권 제2호(2003년 여름), 218-219면.
20. 서항석, 「민족예술의 대제전 – 제1회 연극제를 지켜보고 나서」, 1977.12, 43면.
21. 이명원, 「샌드위치의 고민」, 한국공연윤리위원회, 『공연윤리』, 1977.12, 5면.
22. 이승희, 「‘藝倫’의 역사적 추이와 제도적 임계」, 민족문학사학회, 『민족문학사연구소』63권, 2017.4, 311-314면.
23. 이승희, 「연극」,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엮음, 『한국현대예술사대계 Ⅳ』, 시공사, 2004, 167-169면.
24. 임경순, 「70년대 문학검열의 작동방식과 문학의 두 얼굴」, 한국문학연구 49, 동국대 한국문학연구소, 2015.12, 257면.
25. 정현경, 「1970년대 연극 검열 양상 연구」, 충남대 박사논문, 2015.4, 102면.
26. 조영래, 「3/4분기 무대공연물 심의분석」, 한국공연윤리위원회, 『공연윤리』 14호, 1977.10.15, 4면.
27. 최은옥, 「극작가 오태영과의 대화」, 한국희곡작가협회, 『한국희곡』 39, 2010.9, 6-28면.
28. 최은옥, 「블랙리스트의 수레바퀴, 응시와 저항의 글쓰기 : 작가 오태영과의 만남」, 『공연과이론』 72호, 2018.12.31., 185-200면.
29. 최은옥, 「오태영의 작가의식과 희곡 「조용한 방」 연구 – 핀터 희곡 「방」과 비교 분석을 통해」, 『인문과학연구』 41,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6, 5-42면.
30. 한상철, 「삶의 고통과 우화-오태영의 희곡」, 『바람 앞에 등을 들고』, 예니, 1989, 315-31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