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78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8, pp. 135-168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0
Received 17 May 2020 Revised 11 Jun 2020 Accepted 12 Jun 2020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0.06.78.135

최정희 친일문학의 특수성 연구 : ‘민족’과 ‘여성’의 기표 사이에서
박수빈*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전임연구원

Study on Peculiarity of Choi Jeong-hee's Pro-Japanese Literature : Between the Signifier of ‘Nation’ and ‘Women’
Park, Subin*

초록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발굴‧소개된 최정희의 친일소설 여섯 편을 대상으로 최정희의 친일담론이 어떻게 작품을 통해 형상화되었는지 분석하고, 거기 나타난 ‘여성해방’과 ‘민족/친일’ 개념간의 쟁투를 살펴보았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최정희 친일문학의 ‘친일적’ 측면에서 집중한 나머지 텍스트 내부에서 작동하는 여성해방의 욕망을 제대로 읽어내지 못하거나 또는 ‘여성주의적’ 관점 내에서만 최정희 문학에 집중한 나머지 그의 친일문학을 소거시키거나 제대로 의미화하지 못한 경우에 대한 반동으로 구상된 것이다. 이를 위해 논문은 일제하 총동원체제가 실제로 여성을 소비한 방식과 최정희 소설에서 ‘여성-인물’이 형상화되는 방식을 비교하여 최정희 친일문학만의 특수성을 드러내려 했으며, 사실상 ‘민족’의 우위에 존재했던 ‘여성해방’의 욕망을 특별히 조명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그간 이루어진 수많은 남성작가들에 대한 연구에서 제대로 드러내지 못했던, ‘친일문학/연구’ 속 ‘여성/작가’의 지위를 명확히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For this study, efforts were made to analyzes how Choi Jeong-hee's pro-Japanese discourse was shaped through her works with Choi's six pro-Japanese novels which had so far been discovered and introduced and to figure out the struggle between concepts of ‘women's liberation’ and ‘nation / pro-Japanese’. The existing studies were focused on ‘pro-Japanese’ aspects of Choi Jeong-hee's pro-Japanese literature and in consequence, they failed to properly read the desire for female liberation operating within the text, or were focused on Choi's literature just within the ‘feminist’ perspective and failed to eliminate or signify Choi's pro-Japanese literature. This study was envisioned as a reaction for such cases. To this end, the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uniqueness of Choi Jeong-hee's pro-Japanese literature by comparing how the Total Mobilization System under Japanese rule actually consumed women and how ‘women-persons’ were embodied in Choi's novels. The study tried to highlight the desire for ‘female liberation’ which actually occupied the upper position over ‘nation’, in particular. Through this, the study is expected to clearly show the status of ‘women / writers’ in ‘pro-Japanese literature / research,’ which has not been fully revealed in studies of numerous male writers.


Keywords: Choi Jeong-Hee, Pro-Japanese Literature, Total Mobilization System, Female Liberation, Struggle for Recognition, New Women, Mothers Of The Militant Nation
키워드: 최정희, 친일문학, 총동원체제, 여성해방, 인정투쟁, 신여성, 군국의 어머니

References 1. 1차 자료
1. 최정희, 「幻の兵士」, 『국민총력』, 1942.2.7.
2. 최정희, 「二月十五日の夜」, 『녹기』, 1942.4.
3. 최정희, 「黎明」, 『야담』, 1942.5.
4. 최정희, 「薔薇의 집」, 『대동아』, 1942.7.
5. 최정희, 「野菊抄」, 『국민문학』, 1942.11.
6. 최정희, 「징용열차」, 『半島の光』, 1945.2.
7. 『대동아』, 『매일신보』, 『半島の光』

2. 2차 자료 1) 논문
8. 공임순, 「최정희의 해방 전/후와 ‘부역’의 젠더 정치」, 『여성문학연구』46, 한국여성문학학회, 2019, 7-37면.
9. 김양선, 「日帝 末期 女性作家들의 親日談論 연구」, 『어문연구』33-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 257-278면.
10. 김효순, 「식민지기 조선인 여성작가 최정희의 문학과 전쟁동원 - 여성성과 전쟁동원 논리 결합양상을 중심으로」, 『일본연구』32, 중앙대학교 일본연구소, 2012, 292-313면.
11. 박수빈, 「일제말기 친일문학의 내적논리와 회고의 전략 - 이광수, 김동인, 채만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1-226면.
12. 심진경, 「여성작가 친일소설 연구」, 『배달말』32, 배달말학회, 2003, 83-106면.
13. 장미경‧김순전, 「여성 작가 소설에서 본 內鮮一體 裝置 - 최정희 「幻の兵士」와 장덕조 「行路」를 중심으로」, 『日本語敎育』51,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10, 183-195면.
14. 최경희, 「친일 문학의 또 다른 층위 - 젠더와 <야국초>」,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1』, 책세상, 387-433면.
15. 최유리, 「日帝 末期(1938~45年) ‘內鮮一體’論과 戰時動員體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1-205면.

2) 단행본
16. 권보드래 외,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 민음사, 2018.
17. 김병걸‧김규동 편, 『친일문학작품선집2』, 실천문학사, 1986.
18. 김복순, 『“나는 여자다”-방법으로서의 젠더-최정희론』, 소명출판, 2012.
19. 김재용‧김미란 편역, 『식민주의와 협력-일제말 전시기 일본어소설 선집1』, 역락, 2003.
20. 이경훈 편역, 『한국 근대 일본어 소설선 1940-1944』, 역락, 2007.
21.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일제협력단체사전-국내중앙편』, 민족문제연구소, 2004.
22. 황수남, 『최정희 문학 연구』, 문예운동사,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