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9, pp.305-337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0
Received 30 Aug 2020 Revised 10 Sep 2020 Accepted 12 Sep 2020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0.09.79.305

오상원의 「황선지대(黃線地帶)」 연구 : 전후 기지촌의 의미와 인간에 대한 존재론적 탐색

김성은*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The study on Oh Sang-Won's Hwangseonjidae : The meanings of post-war military campside town and ontological research on the human being
Kim, Seong-Eun*

초록

오상원의 「황선지대」는 한국 전후의 현실과 인간의 존재론적 문제를 구현한 중편소설이다. 본고에서는 ‘장소의 배치’가 텍스트의 의미 형성에 중요한 장치라고 보고 ‘기지촌’과 ‘미군 기지’, 그리고 ‘기지촌’과 ‘과거 이북’의 관계성을 살펴보았으며, ‘기지촌’과 ‘미군 기지’를 연결하는 ‘땅굴’ 파기에서 나타나는 작중 인물들의 기투 행위를 분석하였다. 이로써 ‘한국 전후 사회의 기지촌이 지니는 장소성’의 의미와 ‘냉전 시대의 신식민주의 체제 하에서 사유해야 했던 존재론적 문제’를 고찰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다.

「황선지대」는 한국의 전후 공간을 미군 기지와 기지촌이라는 두 축으로 이분화하여 서로 대비시킨다. 기지촌은 미국의 물자와 원조에 기댈 수밖에 없었던 당대 한국 사회의 외세 의존적 구조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소였다. 「황선지대」에서 이상화된 장소처럼 묘사되는 미군 기지는 실상 기지촌 인물들의 예속과 비참한 삶을 지속시킨다는 점에서 유토피아로 가장된 곳이다. 반면 기지촌은 전쟁 이전에 정상으로 간주되었던 삶의 방식과 가치가 무너진 전후의 시대적 분위기를 환기하며, 열강의 영향권에 놓여 주체성을 상실해야 했던 신식민주의 체제 하의 한국의 위치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한편 황선지대와 이북의 고향은 한국전쟁을 기점으로 대립선상에 놓이지만, 신식민주의에 주목할 경우에는 각각 미군정과 소련 군정에 종속되어 있다는 점에서 대응 관계를 이룬다. 「황선지대」는 전망이 부재한 현실을 보여주는 데 그치지 않고, 그것을 마주하기 위한 존재론적 탐색을 시도한다. 이것은 땅굴을 파서 기지촌을 탈출해 자신만의 유토피아로 탈주하고자 하는 작중 인물들의 기투 행위에서 드러난다. 이때 땅굴은 전형적인 한계 상황의 형상화인 동시에, 피투적 상황에 놓여 있음에도 스스로 실존적 존재를 구성해나가는 인간 현존재의 기투의 무대로서 제시된다. 「황선지대」에는 실존적 기투는 존재에 대한 답을 얻음으로써 완결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이행되는 과정으로서 유의미하다는 작가의 인식이 드러나 있다.

Abstract

Oh Sang-Won's Hwangseonjidae (Off Limits Yellow Area) is a mid-length novel that embodies the realities of the post-war Korea and human ontological problems. This paper, considering that 'placement arrangement' is an important device in the formation of the meaning of the text,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litary campside town' and the 'US military base', and the 'military campside town' and the 'past North Korea', and analyzes the project of the characters of the work appearing in the digging of the 'tunnel' that connects the 'military camp town' and the 'US military base'. As a result, the ultimate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placeness' of the military campside town in the post-war Korean society and the ontological issues that had to be contemplated under the neocolonialism system of the Cold War era.

Hwangseonjidae divides Korea's post-war space into two axes, the US military base and the 'military campside town, and contrasts them with each other. The military campside town was a symbolic place that clearly showed the foreign-dependent structure of Korean society at the time, which had no choice but to rely on US supplies and aid. The US military base, described as an idealized place in the Hwangseonjidae, was actually a place disguised as a utopia in that it sustains the subjugation and miserable lives of the people in the military campside town. On the other hand, the military campside town evokes the atmosphere of the postwar period when the way of life and values that were regarded as normal before the war collapsed, and shows the position of Korea under the neo-colonial system, which had to lose its subjectivity in the sphere of influence of the powers. Meanwhile, Hwangseonjidae and North Korea's hometowns are on a confrontation with the Korean War, but when the attention is given to neocolonialism, they form a response relationship in that they are subordinate to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the Soviet military government, respectively. Hwangseonjidae does not stay in showing a reality without a prospect, but attempts an ontological search to face it. This is evident in the project behavior by the characters who try to escape with their own utopia by digging a tunnel. At this time, the tunnel is presented as the stage of the human dasein's project to form an existential beings by itself despite being in a thrownness situation at the same time as the shape of a typical boundary situation. Hwangseonjidae reveals the author's perception that existential projects are not completed by obtaining answers to existence, but is meaningful as a process that is constantly implemented.

Keywords:

Oh Sang-Won, Hwangseonjidae (Off Limits Yellow Area), the post-war Korea, the military campside town, place(placeness), neocolonialism, an existential beings, project

키워드:

오상원, 황선지대, 전후, 기지촌, 장소(성), 신식민주의, 실존, 기투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