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9, pp.69-104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0
Received 31 Jul 2020 Revised 10 Sep 2020 Accepted 12 Sep 2020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0.09.79.069

소설, 아나크로니즘, 몽타주 : 최인훈의 「구운몽」(1962) 시간착종 다시 읽기

양정현*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우교수
Rereading Choi’s 「Guunmong」 : Fiction, Anachronism, Montage
Yang, Jeong-Hyeon*

초록

이 글은 「구운몽」에 나타난 시간착종을 중심으로 소설형식의 특징과 그 성과를 구명하기 위해 쓰인다. 「구운몽」은 실험적인 형식과 환상성과 같은 특징에 입각하여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왔다. 최인훈의 소설은 여러 수준에서 반복적인 구조를 가지며, 「구운몽」에 나타나난 시간착종적 특성은 『회색인』이나 『서유기』와 같은 소설에서 반복해서 지속되고 있다. 본고는 작품 내외의 서술상황, 인물이나 특정 모티프의 반복 등을 통해 나타난 시간착종 현상에 주목하여 기존 논의의 미비점을 보완하는 독해를 시도한다.

「구운몽」의 환상적인 사건 전개와는 대조적으로 독고민은 주관적인 인식의 수준에서 명확한 시간감각을 갖고 있다. 작중 삽입된 혁명군과 정부군의 방송이 보여주는, 독고민이 처한 객관적인 현실과, 그의 혼란스러운 주관적인 여정으로서 숙에 대한 갈망은 큰 차이가 있지만, 주요 변곡점과 큰 틀에서의 흐름은 일치한다. 독고민의 시간감각은 어긋나지 않았지만, 단지 그 ‘의미’를 그는 알지 못할 뿐이다.

최인훈이 발표한 소설과 평론에서 보여주는 문명론은 인간이 역사적 상호 연관성을 지녔으며, 자신과 타인이 시공간적 차원에서 깊숙이 연루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문명론의 비유로서 ‘로봇’의 형상은 「구운몽」의 부활의 논리와 조응한다. 「구운몽」에 나타난 몽타주는 단지 혼란스러운 역사인식에 대한 미학적 양식화일뿐만 아니라, 자아의 역사적 접합을 요구하는 역사인식의 주제적 재현이기도 하다. 이 해석에 따라 작중 독고민의 이야기는 1960년과 1962년의 가능성을 모두 지니며, 그 해석적 미결정성은 「구운몽」에 나타난 시간착종의 자연스러운 귀결이다.

Abstract

This study scrutinizes the characteristics of Choi’s “Guunmong” and its achievements, focusing on the anachrony. Various studies on “Guunmong” have been conducted on the basis of its characteristics such as experimental form and fantasy. Choi's works have structural repetition at various narrative levels, like anachrony in “Guunmong”, which is continued to “Gray Man” and “Seoyugi (Journey to the West)”. This paper attempts to complements the deficiencies of precedent discussions by paying attention to the anachrony appeared through repetition of narrative situations, characters or specific motifs.

Contrary to the dereistic narrative of “Guunmong”, Dokgomin has a clear sense of time at the level of subjective perception.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objective reality and Dok-Komin's confusing subjective journey, as shown by the broadcasting of the revolutionary army and government forces inserted in the fiction, but they coincide with each other in terms of the dominant turning point of narrative. Dokgomin merely lacks of the sense of “meaning”, despite of his correct sense of time.

The theory of civilization shown in Choi In-hoon's published novels and criticisms argues that humankind have historical interrelationships, and that oneself and others are deeply involved in the spatial and temporal dimension. As a metaphor for the theory of civilization, the shape of the “robot” corresponds to the logic of the resurrection of “Guunmong”. The montage that appears in “Guunmong” is not only an aesthetic stylization of confused recognition on History, but also a thematic representation that calls us for historical montage of Ego. According to this interpretation, the story of Dokgomin in the fiction has both the possibility of 1960 and 1962, and the indecidability of interpretation is a natural consequence of the anachrony in “Guunmong”.

Keywords:

Choi-Inhoon, Guunmong, Anachronism, Montage, Anachrony

키워드:

최인훈, 구운몽, 아나크로니즘, 몽타주, 시간착종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