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69, pp.267-294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Mar 2018
Received 20 Jan 2018 Reviewed 07 Mar 2018 Accepted 09 Mar 2018 Revised 18 Mar 2018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8.03.69.267

정치적인 것과 소설의 운명 : 「비화밀교」론

송기섭*
*충남대학교 국문학과 교수
The Political and the Destiny of the Novel : A Study of “Biwhamilkyo”
Song, Ki-Seob*

초록

이청준의 「비화밀교」에서 진정 읽어내야 할 테마는 정치적인 것이다. 이 작품은 정치적인 것의 불가능성과 가능성을 구조화한다. 정치적인 것은 힘없는 무리들의 소음을 알아들을 수 있는 담론으로 바꾸는데 있음을 이 소설은 항변한다. 그런 점에서 이청준의 소설의 정치는, 몫없는 자들의 평등한 몫의 분배에서 정치적인 것의 출로를 요량한 랑시에르의 그것과 다를바가 없다. 몫은 치안이나 통치의 논리를 정치적인 것으로 환원하는 감정과 의식의 나눔을 통해 주어진다. 그런 까닭에 이 소설에서 정치적인 것을 논의함은 기존 정치소설의 개념 범주와는 다르다.

이 작품은 정치적인 것이 어떻게 소설에 기입되는가를 질문한다. 1부는 제왕산의 제의를 풍속의 관점에서 재현한다. 이 행사는 종화(種火)를 상징으로 매년 서로를 용서하고 정화하는 영원회귀의 신화성을 간직한다. 2부는 제의적 의례를 부정하고 횃불을 세상으로 들어올리는 넘어섬의 이야기이다. 그것이 곧 비화(秘火)의 정체이다. 비화는 밀교의 금기인 반복되어야 할 침묵을 파기한다. 횃불의 웅얼거림이 침묵에 흡입됨이 아닌 세상과 소통할 목소리가 되면서 정치적인 것이 가능해진다. 3부에 해당할 에필로 그는 정치적인 것이 가능해짐으로 인하여 비로소 소설이 씌어질 수 있었음을 고백한다. 이청준에게 소설은 그렇게 정치적인 것과 운명을 함께하는 양식이었던 셈이다.

Abstract

“Biwhamilkyo” is a novel written by Yi Chong-jun. It reproduces the custom of a local community. It is a story of a year-end. People light a torch at the top of Mt. Jewang, exchange new year’s greeting, and climb down the mountain together. The last person who carried the torch has responsibility to keep the embers alive for next year. The annual event of the local community repeats as the ember-keeper lights the ember up at the end of another year. The ember becomes a torch annually. It is archetypes and repetition. This novel seems to describe religious custom of a local community greeting new year.

This novel, however, focuses on the political. It contrasts the ability and the inability of the political. It can be structured to binarity: the absence of politics and the realization of politics. The ability of the political is converting noise into voice. Political ability is made when the mumbling of people who carried the torch turn into voice of communication. As Jacques Ranciere mentioned, converting noise into voice means returning parts to those with no part.

Yi Chong-jun said a novel can be written when voice are made. A novel means those with no part recovering their parts and becoming the subjects of their voice. When people of a local community recover their voices climbing down the mountain and claim their parts, the custom becomes politics. The political is formed from the destruction of order. A novel is a vehicle of searching the ability of the political. The ability of the political determines the destiny of novels.

Keywords:

the political, ember, archetypes and repetition, noise, voice, the destiny of the novel

키워드:

정치적인 것, 종화와 비화, 영원회귀의 신화, 소음, 넘어섬, 목소리, 소설의 운명

참고문헌

  • 김남혁, 『파라텍스트 이청준』, 케포이북스, 2015.
  • 김명렬, 「정치와 개인」, 『문학과 정치』, 민음사, 1980.
  • 김영찬, 「이청준 격자소설의 정치적 (무)의식」, 『한국근대문학연구』 6권 2호, 2005.10, 329-353면.
  • 김인환, 「천로역정」, 『외국문학』 제7호, 1985.12.
  • 김우창, 「시와 정치」, 『문학과 정치』, 민음사, 1980.
  • 김주연, 『문학을 넘어서』, 문학과지성사, 1987.
  • 오생근, 『삶을 위한 비평』, 문학과지성사, 1978.
  • 이정숙, 「「비화밀교」 다시읽기」, 『현대소설연구』 30호, 2006.6, 141-163면.
  • 이청준, 「비화밀교」, 『이청준문학전집』 중단편소설 10권, 열림원, 2002.
  • 장윤수, 「텍스트 생산의 담론 구조, 이청준의 「비화밀교」」, 『현대소설연구』 27호, 2005.9, 341-359면.
  • 모리스 블랑쇼·장-뤽 낭시, 박준상 역, 『밝힐 수 없는 공동체 / 마주한 공동체』, 문학과지성사, 2016.
  • 미르치아 엘리아데, 정진홍 역, 『우주와 역사』, 현대사상사, 1979.
  • 알랭 바디우, 서용순 역, 『철학과 사건』, 오월의봄, 2015.
  • 알랭 바디우, 박성준 역, 『정치는 사유될 수 있는가』, 길, 2017.
  • 자크 랑시에르, 유재홍 역, 『문학의 정치』, 인간사랑, 2009.
  • 자크 랑시에르, 양창렬 역,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에서』, 길, 2013.
  • 자크 랑시에르, 진태원 역, 『불화』, 길, 2015.
  • 자크 랑시에르, 양창렬 역, 『해방된 관객』, 현실문화, 2016.
  • 조르조 아감벤, 조형준 역, 『내전』, 새물결, 2017.
  • 프레드릭 제임슨, 이경덕·서강목 역, 『정치적 무의식』, 민음사,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