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Current Issue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 No. 94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90, pp. 163-194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3
Received 22 May 2023 Revised 08 Jun 2023 Accepted 08 Jun 2023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3.06.90.163

식민지 농촌 경제의 재편성과 리얼리즘의 도정 : 이기영의 『고향』에 나타난 ‘여성 노동’을 중심으로
황지영**
**충북대학교 국어교육과 부교수

Reorganization of the Colonial Rural Economy and the Path of Realism : Focusing on 'women's labor' in Lee Ki-young's “Hometown.”
Hwang, Jiyoung**
Funding Information ▼

초록

본고에서는 프로문학의 가장 큰 성취라고 평가받는 이기영의 『고향』을 재독하여, 작품 속에서 식민지 농촌 경제의 중요 축인 ‘여성 노동’이 재현되고 의미화되는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작품 속에서 여성들의 노동은 자본주의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저렴한 것들(cheap things)’로 치부되는 자연, 식량, 돌봄, 돈(임금) 등과 중층적인 의미망을 형성하면서, 식민지 농촌 곳곳에 흩뿌려진다. 여농(女農)들의 지속적인 노동은 자연과 분리되지 않은 채 풍경처럼 처리되고, 다양한 인물들의 삶을 유지시키는 재생산 노동은 다양한 감각들을 활용해 실감나게 재현되지만 사건으로 이어지지는 못한다. 또한 근대적 노동이자 공적 경제의 일부분인 여공들의 노동은 주요 인물인 갑숙을 중심으로 이상화된다. 식민지 농촌에서 화폐경제 중심의 자본주의가 본격화되면서 경제적인 발전을 직접적으로 견인하지 못하거나 재화를 생산하지 못하는 요소들은 비생산적인 것 혹은 무가치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여성 노동에 대한 비노동(non-work)화가 진행된다. 이기영은 『고향』 안에서 여성 노동을 통해 식민지 농촌이 근대와 전근대, 전통과 외래, 생산과 비생산, 노동과 비노동 등이 길항하면서 농민들의 삶의 터전으로서 유지되고 변모하는 모습을 형상화한다. 『고향』은 식민지 조선의 농촌 경제가 저렴한 것들로 회수되는 경로를 여성 노동을 매개로 그려냄으로써, 기존의 리얼리즘 소설들을 보완하면서 리얼리즘의 다음 단계를 예비한다.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ways in which women's labor, an important pillar of the colonial rural economy, is represented and signified in Lee Ki-Young's Hometown, which is considered one of the greatest achievements of class literature, and the features of the colonial rural economy underlying it. In the works, women's labor is scattered throughout the colonial countryside, forming a layered network of meanings with nature, food, care, and money (wages), which are dismissed as 'cheap things' in the process of capitalism. The continuous labor of women farmers is treated like a landscape, not separated from nature. The reproductive labor that sustains the lives of the various characters is realistically recreated using a variety of senses, but does not lead to events. In addition, the work of women, which is modern labor and part of the public economy, is idealized around the main character, Gaksuk. As capitalism centered on the monetary economy took hold in the colonial countryside, factors that do not directly drive economic development or produce goods are evaluated as unproductive or worthless. And in this process, the de-working of women's labor proceeds. By presenting the transformation led by the male protagonist and women's labor together in “Hometown,” Lee depicts how the colonial countryside is maintained and transformed as a place of life for peasants, while modernity and pre-modernity, tradition and foreignness, production and non-production, and labor and non-labor are antagonized. By depicting the path through which the rural economy of colonial Korea was reclaimed by cheap goods through the medium of women's labor, Hometown complements existing realist novels and prepares for the next stage of realism.


Keywords: Lee Ki-young, Hometown, female labor, non-work, representation, signification, realism
키워드: 이기영, 고향, 여성 노동, 비노동, 재현, 의미화, 리얼리즘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0학년도 충북대학교 학술연구지원사업의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grant of th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2020).


참고문헌 1. 기본자료
1. 이기영, 『고향』, 『조선일보』, 1933.11.15.~1934.9.21.
2. 이기영, 『고향』, 문학과지성사, 2005.
3. 임규찬・한기형, 『작가론 및 작품론: 카프비평자료총서Ⅷ』, 태학사, 1990.

2. 단행본
4. 강이수, 『한국 근현대 여성노동 : 변화와 정체성』, 문화과학사, 2011.
5. 강정택, 『식민지 조선의 농촌사회와 농업경제』, (주)YBM, 2008.
6. 권영민, 『한국 현대문학사1: 1896~1945』, 민음사, 2020.
7. 김경일, 『한국 근대 노동사와 노동운동』, 문학과지성사, 2004.
8. 김영희, 『일제시대 농촌통제정책 연구』, 경인문화사, 2003.
9. 김윤식・정호웅, 『한국소설사』, 예하, 1999.
10. 배상미, 『혁명적 여성들 -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젠더, 노동, 섹슈얼리티』, 소명출판, 2019.
11. 이상섭, 『문학비평 용어사전』, 민음사, 2020.
12. 이송순, 『일제하 전시 농업정책과 농촌 경제』, 선인문화사, 2008.
13. 이옥지, 『한국여성노동자운동사』, 한울아카데미, 2001.
14. 이재선, 『한국소설사: 근・현대편 Ⅰ』, 민음사, 2000.
15. 태혜숙 외, 『한국의 식민지 근대와 여성공간』, 여이연, 2004.
16. 한국여성노동자협의회 편, 『한국여성노동자 운동사』, 한울, 2001.
17. 마쓰모토 다케노리, 윤해동 옮김, 『조선 농촌의 식민지 근대 경험』, 논형, 2011.
18. 낸시 홈스트롬 엮음, 유강은 옮김, 『페미니즘, 왼쪽 날개를 펴다 : 사회주의 페미니스트 35인의 여성/노동/계급 이야기』, 메이데이, 2013.
19. 데미안 그랜트, 김종운 옮김, 『리얼리즘』, 서울大學校出版部, 1987.
20. 라즈 파텔・제이슨 W. 무어, 백우진・이경숙 옮김, 『저렴한 것들의 세계사: 자본주의에 숨겨진 위험한 역사, 자본세 600년』, 북돋움, 2020.
21. 루나찰스끼 외, 김휴 편, 『사회주의 리얼리즘-세계관과 창작방법의 문제』, 일월서각, 1987.
22. 루스 밀크먼, 전방지・정영애 옮김, 『젠더와 노동 : 제2차 세계 대전기 성별 직무 분리의 역학』,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1.
23. 마리아 미즈, 최재인 옮김,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여성, 자연, 식민지와 세계적 규모의 자본축적』, 갈무리, 2014.
24. 마리아로사 달라 코스따, 김현지・이영주 옮김, 『집안의 노동자 : 뉴딜이 기획한 가족과 여성』, 갈무리, 2017.
25. 실비아 페데리치, 황성원 옮김, 『혁명의 영점 - 가사노동, 재생산, 여성주의 투쟁』, 갈무리, 2013.
26. 실비아 페데리치, 황성원・김민철 옮김, 『캘리번과 마녀』, 갈무리, 2019.
27. 조셉 칠더즈・게리 헨치 편, 황종연 옮김, 『현대 문학·문화 비평 용어사전』, 문학동네, 1999.

3. 논문
28. 구재진, 「1930년대 ‘집 나간 여성’의 계급 횡단과 여성 해방의 (불)가능성 - 『인형의 집을 나와서』와 『고향』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제59집, 한국현대문학회, 2019, 185-213쪽.
29. 김정숙, 「매개적 인물의 창조와 비판적 현실 인식 -이기영의 『고향』 이전의 소설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No.83, 한국국어교육학회, 2009, 661-680면.
30. 김철, 「프로레타리아 소설과 노스탤지어의 시공(時空)」, 『한국문학연구』 제30권,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6, 47-74면.
31. 문홍술, 「이기영《고향》에 나타난 미적 특수성에 관한 연구」, 『한국현대문학연구』Vol.4, 한국현대문학회, 1995, 129-149면.
32. 배상미, 「1930년대 전반기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젠더와 한국문학사-이기영의 『고향』과 강경애의 『인간문제』를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No.68, 한국현대소설학회, 2017, 37-68면.
33. 변정화, 「이기영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현실과 그 전개방식: 초기 경향소설을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 Vol.29, 淑明女子大學校 亞細亞女性問題硏究所, 1990, 61-92면.
34. 서영인, 「프로문학의 자기반성과 여성의 타자화」, 『민족문학사연구』 No.45,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1, 137-165면.
35. 손유경, 「재생산 없는 ‘고향’의 유토피아」, 『한국문학연구』 No.44,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3, 179-208면.
36. 이미림, 「이기영의 '여성해방' 소설 연구」, 『여성문학연구』 Vol.6, 한국여성문학학회, 2001, 135-158면.
37. 이채원, 「젠더정치학의 관점에서 본 이기영 - 초기 단편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8,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3, 27-54면.
38. 장인형. 「日帝下 女性 勞動의 社會的 認識」,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39. 정진성, 「식민지 자본주의화 과정에서의 여성노동의 변모」, 『한국여성학』 제4집, 1988, 49-100면.
40. 조은, 「가부장제와 경제」, 『한국여성학』 제2집, 1986, 95-135면.
41. 최은혜, 「식민지 사회주의 농촌소설에서의 주체와 공동체 ― 『고향』과 『상록수』 겹쳐읽기」, 『現代文學理論硏究』 No.85, 현대문학이론학회, 2021, 221-258면.
42. 황종연, 「문학에서의 역사와 반(反)역사 이기영의 『고향』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 No.67,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8, 171-213면.
43. 황지영, 「기술의 역학과 여공의 정동-1930년대 공장소설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제77집, 2020, 519-54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