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68, pp.103-131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7
Received 15 Nov 2017 Reviewed 10 Dec 2017 Accepted 15 Dec 2017 Revised 20 Dec 2017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7.12.68.103

AI를 통한 글쓰기와 작가의 운명 : 「コンピュータが小説を書く日」을 중심으로

이정엽**
**순천향대학교 한국문화콘텐츠학과 조교수
A Study on Creative Writing b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Destiny of the Author
Lee, Jung-Yeop**

초록

이 논문은 컴퓨터 인공지능을 통한 창의적인 글쓰기의 사례 분석을 통 해 최근 제기되고 있는 작가의 운명과 존재론에 대한 시론적인 접근을 하 고자 한다. 일본 나고야대학교 사토 사토시 교수의 연구실에서 제작한 인 공지능이 창작한 소설 「컴퓨터가 소설을 쓰는 날(コンピュータが小説を書 く日)」을 중심으로 이 소설에 사용된 자연어 처리의 알고리즘을 분석하고, 그 소설적 성취를 평가하고자 했다. 「컴퓨터가 소설을 쓰는 날」은 기계 학 습을 위해 기존 소설의 문장을 모방하고 치환하거나, 짧은 회화로 이루어 진 대화체 소설을 기존 소설의 여러 번을 통해 병치시키는 방법으로 소설 을 창작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론으로 컴퓨터에게 완전히 창의적인 소설을 스스로 쓰는 방법을 학습시킬 수는 없었으며, 이는 인공지능을 통 한 글쓰기가 가지는 일정한 한계를 보여준다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provide a preliminary approach to the fate and ontology of the author, which has recently been raised through a case study of creative writing through computer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paper analyzes the algorithm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sed in the novel “the days when computers write novels”, focusing on this novel cre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produced by Professor Satoshi Sato, professor at Nagoya University. “The Day when a Computer Writes a Novel” has created novels by imitating and replacing sentences of existing novels for machine learning, or by juxtaposing dialogue novels made up of short conversations through several existing novels. However, with this methodology, the computer could not learn how to write a completely creative novel on its own, which shows the limitations of writing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Keywords:

artificial intelligence, creative writing, automatic story generation program, AI, he Day when a Computer Writes a Novel

키워드:

인공지능, 소설 창작, 스토리 자동 생성, AI, 컴퓨터가 소설을 쓰는 날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순천향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으로 수행하였음. (20171101)

참고문헌

    1. 기본서

    2. 논문 및 단행본

    • 권호창,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있어 스토리 생성 시스템 연구: 스토리 엔진모델링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 학위논문, 2010.
    • 김동환, 이준환, 「로봇 저널리즘 : 알고리즘을 통한 스포츠 기사 자동 생성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9권 5호, 2015, pp.64-95.
    • 류철균, 서성은, 「디지털 서사 창작 도구의 서사 알고리즘 연구: 드라마티카프로를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제38권, 2008, pp.117-152.
    • 류철균, 윤혜영, 「디지털 서사 창작도구의 CBR 모델 비교 연구 : <민스트럴>과 <스토리헬퍼>를 중심으로」, 『디지털컨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2, pp.213-224.
    • 윤현정, 「주역을 활용한 한국형 스토리텔링 창작 지원 도구 개발 방향 연구」, 『디지털 스토리텔링 연구』 제5권, 2010, pp. 208-230.
    • 이인화, 『스토리텔링 진화론: 창작의 원리에서 도구까지, 위대한 이야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해냄, 2014.
    • 高木大生, 佐藤理史, 駒谷和範, 「会話を中心とした超短編小説の自動生成」, 『The 28th Annual Conference of the Japanese Society for Articial Intelligence』, 2014, pp.1-4.
    • 佐藤理史, 『コンピュータが小説を書く日: AI作家に「賞」は取れるか』, 日本経済新聞出版社, 2016.
    • 緒方健人, 佐藤理史, 駒谷和範, 「模倣と置換に基づく超短編小説の自動生成」, 『The 28th Annual Conference of the Japanese Society for Artificial Intelligence』, 2014, pp. 1-4.
    • 松山諒平, 佐藤理史, 松崎拓也 「人狼ログからの小説の自動生成」, 『言語処理学会 第23回年次大会 発表論文集』, 2017, pp. 32-35.
    • Brenda Laurel, Computers as Theatre, Addison-Wesley, 1991.
    • Marc LeBlanc, “Tools for Creating Dramatic Game Dynamics”, The Game Design Reader: Rules of Play Anthology, The MIT Press, 2005.
    • Janet Murray, Hamlet on the Holodeck: The Future of Narrative in Cyberspace, The MIT Press, 2003.
    • Noah Wardrip-Pruin, Expressive Processing: Digital Fictions, Computer Games, and Software Studies, The MIT Press,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