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하렘물과 미러링 전략의 의미 : 『하렘의 남자들』와 『역하렘 게임 속으로 떨어진 모양입니다』를 중심으로
초록
대중연애서사는 사회적 이데올로기를 반영하지만,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웹소설의 연애서사에는 가부장적인 이데올로기에 대한 변화와 균열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중 로맨스 판타지의 ‘역하렘물’은 하렘 서사를 뒤집는 미러링 전략으로 여성의 욕망을 탐색하는데, 본고에서는 『하렘의 남자들』과 『역하렘 게임 속으로 떨어진 모양입니다』를 중심으로 그 특징과 의미를 분석한다. 1990년대 여성문학과 페미니즘의 약진 이후, IMF 경제위기가 초래한 사회적 공포는 페미니즘에 대한 백래시의 토양이 된다. 그리고 신자유주의 시대 광범위한 여성혐오적 공격에 맞서 메갈리아는 미러링 전략으로 반격하는데, 2015년 이후 로맨스 판타지의 역하렘물은 이러한 미러링을 활용해 가부장적 질서를 비판하고 여성 독자의 욕망을 반영하는 서사 전략을 발전시켰다.
로맨스 판타지의 역하렘물은 사랑, 결혼, 임신과 출산이라는 순차적 서사에 반기를 들고 소유욕에 기반한 독점적 사랑에 의문을 제기하며 새로운 사랑과 가족의 형태에 대한 위반의 상상력을 제공한다. 미러링 전략을 통해 기존 웹소설의 클리셰인 연애서사의 성별 위계화를 흔들고, 새로운 결합의 형태에 대한 상상의 공간을 연다. 이는 달라진 여성 독자들의 독서 기대지평 때문이다. 물론, 로맨스 판타지의 역하렘물이 이상적인 사랑과 가족의 형태를 보여주는 것은 아니지만 도전과 반항으로서, 가능성의 모색으로서 그 의미가 있다.
Abstract
Popular romance narratives reflect social ideologies, but shift and transformation have emerged following ’new’ feminism called as “the feminism reboot” especially since 2015. Among them, the ‘reverse harem’ in romance fantasy subverts the traditional harem narrative through a mirroring strategy, exploring female desire. This study analyzes its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focusing on Men of the Harem and It Looks Like I’ve Fallen into a Reverse Harem Game.
After the boom of women’s literature in the 1990s, feminism faced backlash due to the crisis discourse surrounding the IMF financial crisis. In the neoliberal era, widespread misogynistic attacks intensified, and in response, Megalia countered with a mirroring strategy. Since 2015, reverse harem narratives in romance fantasy have utilized this mirroring approach to critique patriarchal structures and develop narrative strategies that reflect female readers’ desires.
Reverse harem narratives in romance fantasy challenge the conventional sequential narrative of love, marriage, pregnancy, and childbirth. They question possessive and exclusive love based on ownership and provide a transgressive imagination of new forms of love and family. Through the mirroring strategy, they disrupt gender hierarchies and envision alternative forms of relationships, a reflection of the evolving expectations of female readers. While reverse harem narratives in romance fantasy do not necessarily depict an ideal form of love or family, they hold significance as acts of resistance and defiance.
Keywords:
Romance fantasy, Reverse harem, Mirroring Strategy, Harem, Romantic narrative키워드:
로맨스판타지, 역하렘물, 미러링 전략, 하렘물, 연애서사References
- 알파타르트, 『하렘의 남자들』, 네이버시리즈, 2020.3.1.-2023.6.30.
-
이늬, 『역하렘 게임 속으로 떨어진 모양입니다』, 카카오페이지, 2019.1.19.-2019.11.16.
[https://doi.org/10.1016/S0262-1762(21)00204-2]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편, 『1990년대의 증상들』,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7, 1-307면.
- 김보명, 「혐오의 정동경제학과 페미니스트의 저항: <일간 베스트>, <메갈리아>, 그리고 <워마드>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제34권 1호, 한국여성학회, 2018, 1-31면.
- 김수아, 고윤경, 「웹소설에 재현된 낭만적 사랑: 웹소설 수용자 인식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문화』 39권1호,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4, 189-231면.
- 김예니, 「대중서사 속 ‘클리셰’의 변화양상-로맨스 웹소설을 중심으로」, 『돈암어문학』제42집, 돈암어문학회, 2022, 7-35면.
-
김예니, 「로맨스 웹소설에 나타난 ‘성적 자기결정권’ 재현의 특징」, 『돈암어문학』 제45집, 돈암어문학회, 2024, 69-98면.
[https://doi.org/10.17056/donam.2024.45..69]
-
류수연, 「여성인물의 커리어포부와 웹 로맨스 서사의 변화 - 로맨스판타지의 ‘악녀’ 주인공 소설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과예술』 제39집, 한국문학과 예술연구소, 2021, 35-58면.
[https://doi.org/10.1353/ems.2021.0003]
- 안상원, 「한국 웹소설 ‘로맨스판타지’ 장르의 서사적 특성 연구」, 『인문콘텐츠』 제55호, 인문콘텐츠학회, 2019, 219-234면.
-
안재경; 민영, 「소통전략으로서 미러링의 효과 관점 수용과 외집단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4권5호, 한국언론학회, 2020, 50면.
[https://doi.org/10.1007/s12614-020-9415-6]
- 윤상호, 「정신분석 담론을 통한 급진적 페미니즘의 미러링 전략 분석-라캉의 네 가지 담론을 중심으로」,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통권50호,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4, 385면.
- 이민주, 「메갈 밥줄 끊기의 역사: 온라인 소비시장에서의 백래시와 남성 소비자 정치」, 한국여성학회 기획, 『디지털시대의 페미니즘』, 한겨레출판, 2024, 60면.
- 조주현, 「모두가 자유로운 세상은 어떻게 우리에게 다가올까?-‘위마드’의 정치전략과 젊은 여성주체들」, 『페미니즘연구』 제19권2호, 한국여성연구소, 2019, 152면.
- 진선영, 『한국 대중연애서사의 이데올로기와 미학』, 소명출판, 2013, 4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