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서사에 나타난 4·19 혁명의 가족로망스적 서사화 : 정연희의 『목마른 나무들』을 중심으로
초록
본 연구는 정연희의 『목마른 나무들』에 나타난 연애서사를 가족로망스적 구조로 접근함으로써 딸의 입장에서 서사화된 4·19혁명을 살펴보았다. 대중연애서사의 구조가 시대적·전복적일 수 있다는 입장과 린 헌트의 가족로망스 개념을 이론적 배경으로 할 때 『목마른 나무들』의 연애서사는 딸의 입장에서 전유된 4·19혁명의 서사로 읽어낼 수 있다.
『목마른 나무들』은 오성우라는 아버지적 질서에 저항하는 딸 서주연의 서사를 김재훈과 서주연의 연애를 통해 그려내고 있다. 이때 딸의 저항은 1960년대라는 시대적 배경에서 구체적으로 4·19혁명과 연관된다. 서주연은 ‘오성우-서주연-김재훈’이라는 삼각관계의 세 가지 변주인 ‘서주연-권영진-박혜숙’(2장), ‘서주연-김재훈-오성희’(3장), ‘서주연-김재훈-이윤이’(4장)의 구조를 통해 아버지적 질서를 균열·해체·사장(死藏)하는 동시에 이를 바탕으로 한 혁명적 주체의 자리를 모색한다. 이는 곧 딸이 혁명을 전유하여 60년대적 주체로 거듭나는 과정이기도 하다.
이를 바탕으로 볼 때 정연희의 『목마른 나무들』은 4·19혁명을 아버지적 질서에 저항하는 딸의 서사로 전유함으로써, 딸의 입장에서 혁명과 60년대적 주체를 재정의하는 작품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당대 작품의 인기는 혁명에 대한 정연희의 정의에 여성 독자들이 공감한 결과이기도 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With an approach to the love narrative in 『Thirsty Trees』 by Jung Yeon-hee from the structure of a family romance, this study examined how the daughter narrated the April 19 Revolution.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under the argument that structure of a popular love narrative is historical and subversive by Lynn Hunt, the love narrative in 『Thirsty Trees』 can be read as the appropriated narrative of the April 19 Revolution from the daughter's perspective.
In 『Thirsty Trees』, the narrative of Seo Ju-yeon, a daughter resisting the paternal order held by Oh Seong-woo, is depicted by her romance with Kim Jae-hoon. Here, considering the periodic backdrop of the 1960s, the daughter’s resistance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April 19 Revolution. Through the three variations of the love triangle ‘Oh Seong-woo- Seo Ju-yeon- Kim Jae-hoon’, which are shown as the structures of ‘Seo Ju-yeon—Kwon Young-jin—Park Hye-sook’ (Chapter 2), ‘Seo Ju-yeon—Kim Jae-hoon—Oh Seong-hee’ (Chapter 3) and ‘Seo Ju-yeon—Kim Jae-hoon—Lee Yoon-yi’ (Chapter 4), Seo Ju-yeon not only witnesses the changes in the paternal position but seeks her position for the revolutionary subject. It is a process where the daughter appropriates the revolution and is reborn as a subject of the 1960s.
Hence, 『Thirsty Trees』 by Jung Yeon-hee can be analyzed as a work that redefines the revolution and the subject of the 1960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aughter by appropriating the April 19 Revolution into the narrative of the daughter who resists the paternal order. In addition, in those days, the popularity of the work can be interpreted that it was resulted from empathy with Jung Yeon-hee’s definition of the revolution that female readers fe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