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93, pp.319-361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Mar 2024
Received 14 Feb 2024 Revised 12 Mar 2024 Accepted 12 Mar 2024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4.03.93.319

『여성동아』 여류 장편소설 공모(公募) 연구 : 소설공모라는 접경지대와 여성들의 소설쓰기

홍지혜*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수료
A study on Women’s Full-Length Novel Contest : Fiction contest as borderland and women’s writing of fiction
Hong, Ji-hye*

초록

본고는 종합생활교양지를 표방한 『여성동아』의 복간 이후 시작된 ‘여류 장편소설 공모’가 지닌 문학·문화사적 의미와 맥락을 살피고, 『여성동아』를 통해 등단한 작가들이 지녔던 소설가로서의 자기정체성에 천착하여 그들의 문학 및 문단 활동이 당대 중간문학이라는 접경지대로 기능한 양상을 논구하였다. 등단처로서의 『여성동아』는 독자의 영역에서 필자의 영역으로 넘어가는 가교라는 차원에서 상징적인 매체였으나, 등단자들의 문학장 내 입지를 보장해주진 못했다. 이에 당선자 대부분 고등교육을 받았던 엘리트 여성이었음에도 기성문단의 상징폭력 하에 그들의 소설가로서의 정체성은 “수줍음”이라는 망탈리테로 수렴되게 된다.

한편 여류 장편소설공모 당선자들의 등단작은 본격문학과 통속문학이라는 양자의 경계를 넘어 그 간극을 메우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서 하나의 접경지대로서 기능하게 된다. 특히 이들의 작품은 ‘논픽션’에 가깝다고 평해질 만큼 깊은 자기반영성을 띠고 있었는데, 이는 기성 소설의 장르적·제도적 문법을 벗어난 글쓰기 방식에 해당한다. 높은 고료를 걸고 진행된 장편소설 공모와 결부된 여성 신예 작가들의 등단 장면 역시 잡지 주체들에 의해 상품화되어 대중적 관심을 모았다. 또한 작품 중 몇 편은 영화로 재창작되며 기존 잡지의 독자층을 넘어 대중 일반까지 향유층이 확대되는데, 이 같은 맥락에서 이들의 작품은 ‘중간소설’로서 의미를 지니게 된다.

그러나 이 ‘중간소설’이라는 접경지대는 본격-중간-통속이라는 새로운 제3의 지형을 고착시키는데 일조하며 신인 여류 문인, 즉 여성-엘리트-대중의 문단 진입에 대한 기성문단과 상업자본 양방에서 이루어진 유보적 조치로 해석될 여지를 남긴다. 그럼에도 『여성동아』를 통해 등단했던 작가들은 문우회를 조직하며 동인지 발간이라는 계속/오래쓰기의 정치성을 도모하였고 외부의 규정과 제한이 불가능하도록 스스로의 영역을 넓혀가며 작가라는 정체성을 확보해낸다.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literary and cultural historical significance and context of the ‘Women’s Full-Length Novel Contest’, which began in 1967 after the reissued collection of “Women Donga”, a magazine that advocates a comprehensive life culture magazine. This study focused on the self-identity of writers who debuted through the “Women Donga” as novelists and discussed how their literature and activities in the literary world functioned as a borderland between pure literature and middlebrow literature at the time. The “Women Donga” served as a symbolic bridge, connecting the reader’s realm to the author’s domain as a platform for debut, but it did not guarantee the elected writer’s position in the literary field. Despite the fact that most of the elected writers were educated elite women, their identity as novelists converged toward a sense of ‘shame’ under the symbolic violence imposed by established literary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novels of the winners of the ‘Women’s Full-Length Novel Contest’ will function as a Borderland across the boundaries of pure literature and popular literature. In particular, their works were so self-reflective that they were considered close to “nonfiction,” and this way of writing is outside the genre and institutional grammar of established novels. The scenes of new female writers appearing in the novel contest, which was conducted with high manuscript fees, were also commercialized by magazine editors, attracting public attention. In addition, some of the works are recreated into movies, and the range of readers of the works extends beyond the magazine readership to the general public, and from this perspective, their works have meaning as ‘middlebrow novels’.

However, this borderland, the named ‘middlebrow novels’ helps to fix the new third topography of pure-middlebrow-popular, and can be interpreted as a reserved measure by both established literary groups and commercial capital that discourages new female writers, namely the female-elite-people, from entering the literary world. Nevertheless, writers who made their debut through “Women Donga” organized the Women Donga literature circle and published a community magazine to advocate for the practice of sustained writing and to expand their scope so that external regulations and restrictions are impossible to secure their identity as writers.

Keywords:

『Women Donga』, Women’s Full-Length Novel Contest, Novel Contest, borderland, middlebrow literature, 1970s, Women Donga literary circle

키워드:

『여성동아』, 여류장편소설공모, 소설공모, 접경지대, 중간소설, 1970년대, 여성동아문우회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소설가 이후의 소설가”라는 주제로 개최된 제 64회 한국현대소설학회의 전국 학술대회(2023년 12월 15일)에서 발표한 글을 수정 및 보완 한 것이다. 토론을 맡아주신 한경희 선생님과 귀중한 조언을 아끼지 않으신 익명의 심사위원 선생님들께 지면으로나마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