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옥 「생명연습」에 나타난 “자기 고백”의 기독교적 양상과 위악적 주체의 예속화 경향
초록
기독교적 경험은 전후 한국의 후발 근대화 과정에서 나타난 4.19세대 특유의 관념적 측면을 반영하고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김현은 「한국 문학의 양식화에 대한 고찰」에서 한국에서의 기독교 토착화 문제를 당대 문학적 양식의 중요한 쟁점으로 언급한 바 있으며, 김승옥과 이청준과 같은 작가들에게 있어서도 기독교적 경험은 정신 형성의 중요한 기반으로 작용한다. 이 글은 김승옥의 「생명연습」의 자기고백적 특성을 통해 4.19세대의 기독교 토착화 경향을 분석하고 이를 후발 산업화 사회의 예속적 주체화에 관한 논의로 확장하고자 한다. 이 소설 특유의 심리적 기제를 대변한다고 할 수 있는 “자기 세계”의 위악적 주체성은, 전통이 빠르게 밀려나고 근대적 가치가 물밀 듯이 들이닥치던 당시의 세태 속에서 주체의 생존 가능성을 묻고 있고 있다는 점에서 단순히 선악의 이분법적 구도로 파악될 수 없는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초기 김승옥 단편들 중에서 「생명연습」은, 그 안에서의 “신성한 것”으로서의 기독교에 대한 필연적 회의가 “자기 세계”의 위악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보여준다. 여기에서의 “자기”는 근대적 조건으로 주어진 자유의 형식에 대한 비판이 아닌, 그 자체에 대한 불가능성에 대한 인식론적 기반을 바탕으로 형성된다.
Abstract
Christianity serves as important indicators reflecting the spiritual perspective of 4.19 generation, emerged during the era of korean modernization in 60s. The famous critic of the group, Kim Hyun mentioned the problem of the indigenization of Christianity in Korea as a significant point in contemporary literary forms, in his study “Reflections on the Form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For writers like Kim Seung-ok and Lee Cheong-joon, Christian experiences also function as crucial foundations for spiritual formation. For the reason,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trend of Christian indigenization in Kim Seung-ok's “Life Practice” with the aspects of the formation of confession and extend it to a discussion on the subjectfication (assujettisement in French) a concept argued by Althusser and Michel Foucault as a subjectivity of industrialized societies. Through the self-confessional nature of Kim Seung-ok's “Life Practice”, the subversive subjectivity of the “Self-world,” which can be seen as representing the psychological mechanism unique to the novel, exhibits a complex aspect that cannot simply be understood within the dichotomy of good and evil, as it questions the survival possibility of the subject in the turbulent era where traditions rapidly receded, and modern values inundated. Among Kim Seung-ok's early short stories, “Life Practice” demonstrates inevitable skepticism towards Christianity as a mimicry of evil, showing how it influences the defiance within the “Self-world”. Here, the “Self” is not a critique of the form of freedom given by modern conditions but is formed based on an epistemological foundation of impossibility in it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