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4, pp.161-231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1
Received 25 Nov 2021 Revised 14 Dec 2021 Accepted 14 Dec 2021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1.12.84.161

해방기 이석훈 문학 연구 : 이석훈 편 문학감상독본을 중심으로

신미삼**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 강사
A Study on Lee Seok-hoon’s Literature in the Period of Liberation : Focusing on the Literary Appreciation Reading Book Compiled by Lee Seok-hoon
Shin, Mi-Sam**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해방기 이석훈의 문학을 살펴보는 연구의 일환으로 그가 1947년에 펴낸 문학감상독본을 살펴보고 해제하는 것이다. 이석훈이 이 책을 발간한 목적은 문학 지망자들에게 문학 안내서를 제공하기 위해서였다. 그런데 필자는 여기서 더 나아가 이석훈이 이 책을 발간한 이유는 일제 말기 자신의 친일의 이력을 속죄하고, 조선 문단의 발전을 위해 문장으로써 봉공하고 싶다는 반성의 자세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이 책을 통해서는 해방 직후부터 1946년까지 가명으로 살아갔지만, 본명을 찾은 후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살아가고자 했던 이석훈의 삶의 자세를 느낄 수 있다.

책의 구성 방침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현대 문학은 물론 고전, 심지어 외국 작품까지 가급적 전형이 될 만한 작품을 수록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책에는 다양한 문학 갈래 아래 ‘대체적으로’ 수준급의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다. 가령, 수필의 경우 서구적 교양과 동양적 교양이 문체에 끼치는 영향의 전범으로 김진섭과 이태준의 작품을 제시하였고, 고전에서는 한글 문학(특히 내간체문학)과 한문 문학(일기 및 기행문)의 전형으로서 「恨中錄」과 「渡江錄」을 제시하였으며, 소설에서는 홍명희, 최남선, 이광수의 작품은 물론, 김동인, 염상섭, 카프 작가들 그리고 역사소설가의 작품 등을 골고루 수록하여 독본에 균형을 맞추었다. 또 하나의 방침은 독자의 감상을 돕기 위해 서제스쳔 정도의 해설을 붙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독본 분석을 통해 이석훈의 문학 감상안 및 해방기 그의 삶의 자세를 살펴볼 수 있었고, 당대 그의 숨겨진 정치관도 추측해 볼 수 있었다.

이석훈이 펴낸 독본은 이후 ‘개정판’(1948)과 ‘추가 개정판’(1955)의 형태로 각각 재발간된다. ‘초판’에 수록된 작품 중 일부는 ‘개정판’에서 사라지는데 사라진 작품은 주로 월북한 문인들의 작품이다. 이석훈 편 문학감상독본의 판본 비교 연구는 추후 과제이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and reveal the Literary Aappreciation Reading Book compiled by Lee Seok-hoon in 1947, as part of the study to understand his literature in the period of liberation. Lee Seok-hoon published this book to provide literary aspirants with a literary guidebook. However, by extension, I, as a researcher, consider that this book was published, since Lee Seok-hoon had a mind to atone for his pro-Japanese history and perform a public duty as a good writer for development of literary circles of the Joseon Dynasty. Accordingly, this book reveals Lee Seok-hoon’s more active attitudes in life starting to write under his real name after 1947, while he lived under an assumed name until 1946 directly after liberation.

This book was compiled according to two rules. One was to include not only modern literature but also classical literature and even overseas works, which could serve as models, if possible. That’s why this book contains works of ‘generally’ excellent quality under diverse genres of literature. For instance, this book introduces Kim Jin-seop and Lee Tae-joon’s essays as examples of influence of Western and Eastern cultures on writing styles, 「Hanjungrok」 and Dogangrok」 as classical examples of Hangeul literature (especially Naeganche literature) and Chinese-character literature (diary and travel essay), and various genres of novels written by Hong Myeong-hee, Choi Nam-seon, Lee Gwang-su as well as by Kim Dong-in, Yeom Sang-seop, KAPF writers and historical novelists evenly to strike a balance of the reading book. Another rule was to add suggestion-level comments to help readers’ appreciation.

The analysis of this reading book demonstrates Lee Seok-hoon’s literary appreciation plans, his attitudes in life after liberation and his hidden political conception of the time.

The reading book published by Lee Seok-hoon was republished in the form of ‘revision’(1948) and ‘additional revision’(1955) respectively afterwards. Some of works included in the ‘first edition’ disappeared from the ‘revision’ and most of them eliminated belonged to writers, who defected to North Korea. The comparison among editions of the Literary Aappreciation Reading Book compiled by Lee Seok-hoon needs to be studied further.

Keywords:

Period of Liberation, Literary Appreciation Reading Book, Baekminmunhwasa, Definitive Edition, Revision, Additional Revision, Literary Aspirant, Munjangbonggong, Model, Munjang, Kyunghyang Shinmun, Yeojeok, Jeong Ji-yong, Yeom Sang-seop, Shakespeare, Turgenev, Tolstoy, Defection to North Korea

키워드:

해방기, 문학감상독본(文學鑑賞讀本), 백민문화사(白民文化社), 결정판, 개정판, 추가 개정판, 문학지망자, 문장봉공(文章奉公), 전형(典型), 『문장(文章)』, 『경향신문(京鄕新聞)』, 「여적(餘滴)」, 정지용, 염상섭, 셰익스피어, 투르게네프, 톨스토이, 월북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9S1A5B5A07093938)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