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 후반 작고 작가 애도문의 서술 양상과 그 의미 : 김유정과 이상의 죽음에 제출된 애도문을 중심으로
초록
김유정과 이상의 죽음에 제출된 애도문을 중심으로, 1930년대 후반 작고 작가 애도문의 서술 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김유정과 이상의 잇따른 죽음은 그 자체로 1930년대 후반 우리 문학사에서 하나의 사건이었다. 동료작가들은 김유정과 이상의 죽음을 슬퍼하면서 그들의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 해야 했다. 그 방법을 고민하고 실행하는 것은 오롯이 남은 자가 해야 할 일이었다. 생전에 이해받지 못한 고인의 존재를 널리 알리는일, 고인이 미처 마무리 짓지 못한 유고를 세상에 내놓는 일, 고인의 작품을 다시 읽음으로써 그 의미를 되새기는 일, 나아가 고인의 죽음을 계기로 또 다른 글쓰기로 나아가는 일 등이 애도의 구체적 방식으로 나타났다. 김유정의 죽음에 강노향, 이석훈, 김문집, 채만식, 박태원, 안회남 등이 애도문을 제출했다. 이들이 제출한 애도문들을 서술 양상에 따라 고인의 생전 모습을 기억하며 인간됨이나 심리상태를 서술한 애도문, 애도를 계기로 사회적 차원의 문제를 제기하는 애도문, 애도를 계기로 애도 주체의 개인적 시각과 가치관을 드러낸 애도문, 애도문의 다시 쓰기를 통해 문학 콘텐츠의 생산으로 이어진 애도문으로 분류했다. 이상의 죽음에 박태원, 최재서, 이태준, 김기림, 정인택 등이 애도문을 제출했다. 이들이 제출한 애도문들을 서술 양상에 따라 생전에 이해받지 못했던 고인을 일반 독자에게 소개하는 애도문, 애도를 계기로 애도 주체의 문학론을 펼치는 애도문, 애도의 목적에서 헌정된 소설, 애도를 계기로 자기 치유의 서사로 이어진 애도문으로 분류했다. 이들이 제출한 애도문은 정치적, 문화적으로 억압적인 사회에서 사회적 발언의 창구 역할을 담당했다. 애도문은 고인의 죽음을 슬퍼하는 동시에 애도 주체의 생각과 의지를 고스란히 담아냈다. 애도 주체의 의지와 애도문의 서술 양상에 따라 애도문은 작가론이 되었고, 문학론이 되었으며, 회고록, 반성문, 고백록, 편지글, 공개장, 전(傳), 소설이 되기도 했다. 또한 작고 작가의 죽음을 슬퍼하는 애도문이 도리어 애도 주체의 치유 서사가 되기도 했다. 이러한 글쓰기는 고인의 삶과 문학을 일반에 알리려는 애도 주체의 의지를 반영하면서, 결과적으로 애도문이라는 글쓰기의 장르적 확장성을 보여주었다.
Abstract
This paper examined narrative aspects and its meaning on the condolences notes about the deceased writers of the late 1930s, centering on the condolences notes submitted to death of Kim Yoo-jung and Lee Sang. The death of Kim Yoo-jung and another following death, Lee Sang became a significant event in our literature history in the late 1930s. Feeling sad many fellow writers didn’t want to make their deaths in vain. Thinking about and implementing that method was only the job that they can mourn-widespreading existence of the dead who weren’t identified to public, releasing an unfinished their manuscript to the world, re-reading the text of the deceased, and doing another piece of writing for being the trigger of death. Kang Ro-hyang, Lee Seok-hoon, Kim Moon-jip, Chae Man-sik, Park Tae-won and Ahn Hoe-nam submitted their condolences notes to Kim Yoo-jung's death. And Park Tae-won, Choi Jae-seo, Lee Tae-joon, Kim Ki-rim and Chung In-taek submitted their condolences notes to Lee Sang’s death. Their condolences notes mourned the death of the deceased and expressed the thoughts and willingness of them.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narrative aspects, it can be a study of writers, a literature theory, a memoir, a writing of apology, a confession, a letter, a open letter, a chon(傳), or a novel. Furthermore, condolences notes became a healing narrative for mourning subject. These writings reflect the writer's willingness to publicize life and works of the deceased, and showed the genre scalability of the condolences notes, as a result.
Keywords:
the late 1930s, the Deceased Writer, Condolences note, Kim Yoo-jung, Lee Sang키워드:
1930년대 후반, 작고 작가, 애도문, 김유정, 이상References
1. 기본자료
- 『매일신보』, 『문학사상』, 『월간조선』, 『조선문학』, 『조선일보』, 『조광』, 『현대문학』.
- 강노향, 「유정과 나」,『조광』, 1937.5.
- 김기림, 「고 이상의 추억」, 『조광』, 1937.6.
- 김문집, 「병고작가 원조운동의 변―김유정 군의 관한」, 『조선문학』, 1937.1.
- 김문집, 「고 김유정 군의 예술과 그의 인간비밀」, 『조광』, 1937.5.
- 김문집, 「김유정의 비련을 공개 비판함」, 『여성』, 1939.8.
- 김영수, 「김유정의 생애」, 『김유정전집』, 현대문학사, 1968.
- 김옥희, 「오빠 이상」, 『신동아』, 1964.12.
- 김유정, 「어떠한 부인을 마지할까」, 『여성』, 1936.5.
- 박상엽, 「箱아 箱아」, 『매일신보』, 1937.4.21.
- 박태원, 「이상 애사」, 『조선일보』, 1937.4.22.
- 박태원, 「유정과 나」, 『조광』, 1937.5.
- 박태원, 「유정 군과 엽서」, 『백광』, 1937.5.
- 박태원, 「이상의 편모」, 『조광』, 1937.6.
- 박태원, 「염천」, 『요양촌』, 1938.10.
- 박태원, 「이상의 비련」, 『여성』, 1939.5.
- 안회남, 「성서와 단장」, 『백광』, 1937.5.
- 안회남, 「작가 유정론―그 일주기를 당하여」, 『조선일보』, 1938.3.29,31.
- 안회남, 「악동―회우수필」, 『조선일보』, 1938.6.8-9.
- 안회남, 「겸허―김유정 전」, 『문장』, 1939.10.
- 염상섭, 「남궁벽 군의 사(死)를 압헤 노코」, 『개벽』, 1921.12.
- 이석훈, 「유정과 나」, 『조광』, 1937.5.
- 이석훈, 「유정의 영전에 바치는 최후의 고백」, 『백광』, 1937.5.
- 이석훈, 「유정의 면모편편」, 『조광』, 1939.12.
- 이상, 「김유정―소설체로 쓴 김유정론」, 『청색지』, 1939.5.
- 이진순, 「동경 시절의 이상」, 『신동아』, 1973.1.
- 이태준, 「누구를 위해 쓸 것인가」, 『무서록』, 박문서관, 1941.
- 정인택, 「꿈」, 『박문』, 1938.11.
- 정인택, 「축방―사월 십칠일이 바로 이상이 죽은 지 이 년 되는 날입니다」, 『청색지』, 1939.5.
- 정인택, 「불상한 이상」, 『조광』, 1939.12.
- 정인택, 「고독」, 『인문평론』, 1940.11.
- 정인택, 「여수」, 『문장』, 1941.1.
- 정인택, 「신록잡기」, 『춘추』, 1942.5.
- 조용만, 「이상과 김유정의 문학과 우정」, 『신동아』, 1987.5.
- 채만식, 「유정과 나」, 『조광』, 1937.5.
- 채만식, 「밥이 사람을 먹다―유정의 굳김을 놓고」, 『백광』, 1937.5.
- 최재서, 「「천변풍경」과 「날개」에 관하야―리아리즘의 확대와 심화」, 『조선일보』, 1936.10.31-11.7.
- 최재서, 「고 이상의 예술」, 『조선문학』, 1937.6.
2. 단행본
- 강진호 외, 『국어 교과서와 국가 이데올로기』, 글누림, 2007.
- 권영민 편, 『이상 전집 2 단편소설』, 뿔, 2009.
- 권영민 편, 『이상 전집 4 수필』, 뿔, 2009.
- 권영민, 『이상 문학의 비밀 13』, 민음사, 2012.
- 김기림, 『바다와 나비』, 신문화연구소, 1946.
- 김유중 편, 『그리운 그 이름, 이상』, 지식산업사, 2004.
- 김인환, 『형식의 심연』, 문학과지성사, 2018.
- 박태원, 『이상의 비련』, 깊은샘, 1991.
- 유인순, 『김유정을 찾아가는 길』, 솔과학, 2003.
- 이보영, 『이상평전』, 전북대학교 출판문화원, 2016.
- 이태준, 『무서록』, 깊은샘, 1994.
- 이혜진 편, 『정인택 작품집』, 현대문학, 2010.
- 장석주, 『이상과 모던 뽀이들』, 현암사, 2011.
- 전신재 편, 『원본 김유정 전집』, 강, 2007.
- 정철훈, 『오빠 이상, 누이 옥희』, 푸른역사, 2018.
- 조영복, 『문인기자 김기림과 1930년대 ‘활자-도서관’의 꿈』, 살림, 2007.
- 최재서, 『원문 최재서평론집―문학과지성』, 다운샘, 1988.
- 허재영, 『조선 교육령과 교육 정책 변화 자료』, 경진, 2011.
- 현순영, 『구인회의 안과 밖』, 소명출판, 2017.
-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윤희기·박찬부 옮김, 열린책들, 2003.
3. 논문
- 강헌국, 「김유정, 돈을 위해」, 『비평문학』 64, 한국비평문학회, 2017.6, 29-51면.
- 김종회, 「박태원의 〈구인회〉 활동과 이상과의 관계」, 『구보학보』 1, 구보학회, 2006.11, 61-77면.
- 김주현, 「이상 문학의 텍스트 확정을 위한 고찰―정인택의 이상 관련 작품을 중심으로」, 『안동어문학』 4, 안동어문학회, 1999.11, 191-222면.
- 박상준, 「최재서의 1930년대 중기 문단 재구성 기획의 실제와 파장―「리아리즘의 확대와 심화―「천변풍경」과 「날개」에 관하야」를 중심으로」, 『어문론총』 69, 2016.9, 127-178면.
- 박세현, 「김유정 전기의 몇 가지 표정」, 김유정문학촌 편, 『김유정 문학의 재조명』, 소명출판, 2008, 9-43면.
- 박진숙, 「김유정과 이태준―자생적 민족지와 보편적 근대 구축으로서의 조선어문학」, 『상허학보』 43, 2015.2, 173-205면.
- 박희병, 「한국한문학에 있어 ‘전’과 ‘소설’의 관계양상」, 『한국한문학연구』 12, 한국한문학회, 1989, 31-44면.
- 방민호, 「김유정, 이상, 크로포트킨」, 『한국현대문학연구』 44, 한국현대문학회, 2014.12, 281-317면.
- 손정수, 「모더니즘의 시선으로 이상의 「김유정」 읽기」, 『구보학보』 16, 구보학회, 2017.6, 159-183면.
- 석형락, 「근대문단 형성기 작고 작가 애도문 연구―한국근대작가론의 형성 과정과 관련하여」, 『현대소설연구』 64, 한국현대소설학회, 2016.12, 205-249면.
- 오성록·심상욱, 「「김유정」과 「겸허―김유정 전」 비교 연구』, 『동서비교문학저널』 32,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5.4, 137-155면.
- 이상진, 「문화콘텐츠 ‘김유정’, 다시 이야기하기―캐릭터성과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48, 한국현대소설학회, 2011.12, 429-458면.
- 이영아, 「정인택의 삶과 문학 재조명―이상 콤플렉스 극복과정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35, 한국현대소설학회, 2007.9, 173-194면.
- 이종호, 「죽은 자를 기억하기―이상 회고담에 나타난 재현 방식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 38,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0.6, 293-325면.
- 홍경표, 「「김유정의 전기소설」의 두 텍스트―안회남과 이상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말글학』 19, 한국말글학회, 2002, 271-29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