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적 현모양처 ‘초봉’과 ‘미라’의 수난 그리고 모색 : 채만식, 『탁류』와 손창섭, 『여자의 전부(내 이름은 여자)』 비교 연구
초록
이 연구는 채만식의 장편소설 『탁류』와 손창섭의 장편소설 『여자의 전부(내 이름은 여자)』의 비교 연구로 두 작품의 여성 주인공과 서사에 대해 논하였다. 우선, 두 작품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자매 구도를 활용해 여성 주인공을 분석하고자 시도했다. 특히, 정반대의 성격으로 성격화된 자매 구도를 구시대적 인물인 언니와 새로운 세대를 대표하는 동생이라는 세대론적 구도가 아닌 동시대의 양면으로 해석하고자 했다. 자매구도 해석을 토대로 이 연구는 초봉과 미라가 전근대적 인물이 아닌 30년대와 60년대 시대적 담론으로 부상한 ‘스위트홈’을 실현할 주체로 호명된 근대적 현모양처형 인물임을 주장한다.
근대적 현모양처형 인물이 결혼 실패로 인해 겪게 된 수난의 서사라는 점에서 초봉과 미라의 수난사는 유사하지만, 수난에 직면한 여성인물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삶을 모색해나가는가에 있어서는 두 작품이 차이를 보였다. 즉, 『탁류』와 『여자의 전부(내 이름은 여자)』는 공통적으로 근대적 현모양처의 결혼 실패와 그로 인한 수난을 다룸으로써 당대의 ‘스위트 홈’이라는 이상의 허약성을 입증한다. 하지만 결말에 이르면 『탁류』의 초봉은 한 번 실패한 ‘스위트 홈’의 꿈을 다시 추구하고 『여자의 전부(내 이름은 여자)』의 미라는 ‘스위트 홈’의 이상을 거부한 채 반쪽의 주체로 남아있는 것을 택한다.
결국 이 연구는 초봉과 미라라는 두 여성인물을 새롭게 해석하는 작업이자 여성 주인공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바탕으로 『탁류』와 『여자의 전부』의 수난사를 새롭게 읽어내는 작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wo novels, Polluted River by Chae, Mansik and All about Woman(My Name is Woman) by Son, Chang-seop in terms of the female protagonists and the narrative.
This article analyze the character of female protagonists ‘Chobong’ and ‘Mira’ based on the motif of the opposite sister. Here by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character dynamics of the sister in the two novels should be considered as the contemporary one therefore not as the linear one. ‘Chobong’ and ‘Mira’ need to be understood as a modern ‘Hyenmoyangcheo(Good Wife)’ not as a old-fashioned characters.
Followed by the character analysis, this article contains a discussion upon the narrative of the two novels. The narratives of the two novels is both about suffering of the female protagonists caused by the failure of the first marriage. Even though the two novels show similar narrative of female suffering, the adaptation of the protagonists is differ from Polluted River and All about Woman(My Name is Woman). ‘Chobong’ in the Polluted River chose to dream of the ‘Sweet Home’ one more time but ‘Mira’ in the All about Woman(My Name is Woman) reject the failure dream of the ‘Sweet Home’ and chose to remain to be half subject.
Keywords:
Comparative study on Chae, Mansik and Son, Chang-seop, Sister motif, Modern Good Wife, Sweet Home Discourse, Female Suffering Narrative키워드:
채만식 손창섭 비교연구, 자매 구도, 근대적 현모양처, 스위트 홈담론, 여성 수난사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BK21 플러스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학 미래인재육성사업단의 지원으로 작성되었음.”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BK21 Plus project of The Society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Scholar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Korea University.”
References
1. 기본자료
- 채만식, 『채만식전집』 2, 창작사, 1987.
- , 『채만식전집』 10, 창작사, 1989.
- 손창섭, 『여자의 전부』, 국민문고사, 1969.
2. 단행본
- 권보드래·천정환, 『1960년을 묻다 – 박정희 시대의 문화정치와 지성』, 천년의상상, 2012.
- 노지승, 『유혹자와 희생양 – 한국 근대소설의 여성 표상』, 예옥, 2009.
3. 논문
- 강유진, 「손창섭 소설의 변모 양상 연구」, 중앙대 박사논문, 2012.
- 강지희, 「1960년대 남성성의 유혹과 속물적 주체의 탄생 – 손창섭의 『여자의 전부』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52, 2017.
- 권보드래, 「신여성과 구여성」, 『오늘의 문예비평』, 2002.
- 김수진, 「1920-30년대 신여성담론과 상징의 구성」, 서울대 박사논문, 2005.
- 김현주, 「1950년대 여성잡지와 ‘제도로서의 주부’의 탄생」, 『『여원』 연구 – 여성·교양·매체』, 국학자료원, 2008.
- 류동규, 「1960년대 손창섭 장편소설에 나타난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비판」, 『국어교육연구』 38, 2005.
- 류보선, 「교환의 정치경제학과 증여의 윤리학」, 『구보학보』 2, 2007.
- 박재연, 「손창섭 장편소설에 나타난 연애와 결혼 양상 연구」, 고려대 석사논문, 2017.
- 서연주, 「주변부 여성계층에 대한 소외담론 형성 양상 연구」, 『『여원』 연구 – 여성·교양·매체』, 국학자료원, 2008.
- 정철훈, 「작가연구자료」, 『작가세계』 107, 2015.
- 조이향, 「손창섭 소설에 나타난 여성교양담론 비판연구」, 건국대 석사논문, 2015.
- 최성윤, 「이해조의 『화의 혈』과 채만식의 『탁류』에 나타나는 자매 모티프의 세대론적 의미」, 『현대소설연구』 18, 2003.
- 한명환, 「1960년대 손창섭 신문소설의 사회적 연구」, 『현대소설연구』 52,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