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68, pp.283-317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7
Received 10 Nov 2017 Reviewed 10 Dec 2017 Accepted 15 Dec 2017 Revised 20 Dec 2017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7.12.68.283

이청준의 『신화를 삼킨 섬』에 나타난 회귀의 서사 구조

마희정*
*충북대학교 창의융합교육본부 초빙교원
The Narrative Structure of Regression in Lee Cheongjun's Island Embracing Mythology
Ma, Hee-Jeong*

초록

이 작품은 요선을 중심으로 종민이 심문하고 탐색하며, 관찰하고 추적하는 구조이며,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 회귀의 구조이다. 이 회귀의 서사는 주인공들이 ‘섬’을 중심으로 들고 나면서 격리, 입사, 귀환의 통과제의의 구조와 유사하다. 이것은 이분법적 대립을 초월한 열린 구조로 귀결된다. 모호한 미래가 기다리고 인물들은 회귀의 서사 안에서 불투명한 인생의 굴레를 반복한다. 작중 인물들의 태생적 운명은 바뀌지 않으며 비극적인 한계 속에 갇혀 있다. 숙명적인 운명의 굴레는 부모와 자식의 대립과 계승이라는 측면, 섬과 육지의 대립과 연계라는 측면, 개인과 국가의 대립과 공존이라는 측면에서 비극적이다. 아기장수의 신화와 겹쳐 놓으며, 작가는 강자와 약자의 논리 속에서 결국 죽어갈 수밖에 없는 인간의 존재론적 운명과 한계를 그리고자 했다.

‘굿’은 맺힌 한을 씻겨서 풀어주는데, 작가의 ‘글쓰기’ 양식과 공통점을 지닌다. 글쓰기나 ‘굿’은 개인이 죄의식으로 고통스러워 묻어 두었던 사연이나 공권력이 은폐하고자 하는 진실의 흔적을 들추어내는 증언의 역할과 의의가 있다. ‘굿’이라는 제의는 합리적이며 과학적인 것으로 설명할 수 없는 신화와 신비의 세계로써 시공을 초월하여 상처받은 영혼을 위무하고 이승과 저승을 연결시키는 매개적 역할과 은폐되는 국가적 폭력으로부터 진실을 드러내려는 연행의 의미를 갖는다. 게다가 맺히고 쌓인 것들을 풀 수 있는 문학적 장치로 작가는 ‘무속신화’의 ‘굿’ 제의를 수용하여 소설과 함께 놓음으로써 소설의 양식을 확장하고 있다.

『신화를 삼킨 섬』의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역사적으로 공권력에 짓밟힌 사회적 약자들의 삶은 반복된다. 수많은 피해자들의 삶은 세월이 흐를수록 울분과 원한으로 쌓인다. 위무의 글쓰기나 해원의 ‘굿’ 제의가 일시적으로 달래주는 역할을 하지만, 완전히 해결해주거나 영속적이지 못한 한계를 드러낸다. 따라서 불완전한 인간들의 고뇌와 방황, 그들의 아물지 않은 상처와 고통은 계속될 것이다. 글쓰기나 ‘굿’이 순간적인 것을 포착하고 붙잡는다는 것의 의미를 지닌 채, 진실은 계속 유예되고 있다. 그러나 망각을 기억하고 증언하는 일은 진실의 얼굴을 발견하는 일이며, 그들을 복원시켜서 상처를 치유하거나 위무하는 일이며, 더 이상 비극적 삶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경각심을 가지고 경계하는 일이다.

작가가 ‘굿’의 몸짓과 구전 언어를 작품 속에서 소설의 문자언어로 정확하게 옮겨 놓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글쓰기나 ‘굿’의 순간적 포착은 현현의 순간이며, 시간에 구애되지 않는 공감의 장이다. 따라서 이청준의 『신화를 삼킨 섬』은 이전 작품의 한계를 포괄하면서 초월하는 의의가 있다. 회귀의 서사는 ‘굿’ 제의와 맞물리며 대립과 갈등을 넘어서는 통합적인 차원에서 신화적 원리를 수용하고 있다. 제주도는 ‘굿’ 제의를 통해 고립과 상처의 공간에서 연대와 치유의 공간으로 거듭난다. 자유롭지 못한 불완전하고 연약한 인간에 대한 연대와 공감의 시선을 잃지 않으면서, 작품을 통해 매개 하고 증언하려고 하는 작가의 치열한 세계관을 엿볼 수 있다.

Abstract

In Island Embracing Mythology, Centering on Yosun, Jongmin examines, explores, observes and pursues. And it has a regression structure so that its narrative goes into and comes out and goes back. The narrative of regression is similar to the structure of the rite of passage of separations, transitions, and returns. It follows an open structure that transcends dichotomy. The vague future waits for the characters to make them repeat an ambiguous life in the narrative of regression. The fate of them remains unchanged and trapped in the tragic and limited situations. The bondage of fate is tragic. Overlapped with the myth of the baby of great strength, the writer tries to describe the fatalistic limit of human beings who are doomed to die in the logic of the strong and the weak.

“The Gut”(a kind of exorcism for mourning) is to resolve deep sorrow of the dead and it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writing style of Lee, Cheongjun. Writing or “gut” is a testament to uncover the truth that governmental power tries to conceal or the stories that individuals try to hide by feelings of guilt. As ‘gut’ transcends rational and scientific things, it is hard for common people to understand it. However, ‘gut’ comforts the hurt of the wounded by transcending time and space. Also, ‘Gut’ connects life and death and exposes the truth of national violence. The author embraces the ‘Gut’ of ‘shamanic myths’ and extends the form of the novel.

Messages of the novel by narrative analysis are as follows: Historically, the lives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are repeated. With the passing times, resentment and grudge has been piled up onto the lives of countless victims. Writing or ‘gut’ plays a temporary role of consolation but they do not solve the problems completely. Therefore, the anguish of the imperfect humans and their pain and suffering will be continued. writing or ‘gut’ catches something temporary but fails to uncover the truth. But remembering and testifying are related to discovering the truth, restoring them to heal or treat their wounds, and making them alert not to repeat their tragic lives.

There is a limit for the author to describe accurately the ‘gut’ gestures and oral language with the written words. Nevertheless, Island Embracing Mythology embraces and transcends the limit of previous works. Readers can catch the author's earnest and persistent determination to explore and grasp the inner side of life constantly. Furthermore, they can recognize the author's passionate viewpoint who tries to communicate and testify through his works with the solidarity and compassion of the imperfect and vulnerable human beings.

Keywords:

structure of regression, open structure, the bondage of fate, the significance of testimony, mediating role, comfort writing, ‘gut’ of solution

키워드:

회귀의 구조, 열린 구조, 운명의 굴레, 증언의 의의, 매개적 역할, 위무의 글쓰기, 해원의 굿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 이청준, 『신화를 삼킨 섬』, 문학과지성사, 2011.

    2. 논문

    • 고인환, 「이청준의 ≪신화를 삼킨 섬≫에 나타난 탈식민성 연구」, 『한국언어문화』 29집, 2006, 109-130면.
    • 김정아, 「이청준 소설의 윤리학」, 『현대문학이론연구』, 2013, 31-48면.
    • 연남경, 「신화의 현재적 의미-최인훈, 이청준 소설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44, 현대문학이론학회, 2011, 349-369면.
    • 연남경, 「집단학살의 기억과 서사적 대응」, 『현대소설연구』 46집, 2011, 281-305면.
    • 오생근, 「이청준의 마지막 소설들과 신화」, 『본질과 현상』, 본질과 현상사, 2011, 가을호, 257-270면.
    • 오은엽, 「이청준 소설의 신화적 상상력과 공간-<신화의 시대>와 <신화를 삼킨 섬>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45, 한국현대소설학회, 2010, 263-297면.
    • 우찬제, 「한의 역설」, 『서편제』, 열림원, 1998, 208면.
    • 우찬제, 「풀이의 황홀경과 다시 태어나는 넋」, 『신화를 삼킨 섬』 2, 열림원, 2003, 208-225면.
    • 이경욱, 「문학 텍스트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해석: 이청준의 <신화를 삼킨 섬>론」, 『비평문학』 38, 한국비평문학회, 2010, 402-425면.
    • 이성준, 「이청준 소설에 나타나는 섬의 속성과 의미 고찰」, 『반교어문연구』제40집, 2015, 533-565면.
    • 이성준, 「이청준 소설에 나타나는 제주·제주민 의식」, 『우리어문연구』 53집, 2015, 117-151면.
    • 이소연, 「이청준의 <신화를 삼킨 섬>에 나타난 신화적 리얼리즘 양상 연구」, 『한국문학논총』 74, 2016, 225-253면.
    • 이윤옥, 「텍스트의 변모와 상호 관계」, 『신화를 삼킨 섬』, 문학과지성사, 2011, 428면.
    • 이재복, 「역사적 정신태를 넘어 넋으로-이청준의 <신화의 시대>에 부쳐」, 『신화의 시대』, 물레, 2008, 321-346면.
    • 이청준, 「나는 왜, 어떻게 소설을 써 왔나」, 『신화의 시대』, 물레, 2008, 313-314면.
    • 이청준, 「아픔 속에 숙성된 우리 정서의 미덕」, 『흰옷』, 열림원, 1994, 265-266면.
    • 이현석,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역사의 서사화 방식 연구」, 『한국문학논총』 47집, 2007, 437-463면.
    • 전홍남, 「원망의 좌절과 해원의 방식」, 『영주어문』 8집, 영주어문학회, 2004, 97-121면.
    • 정과리, 「정치도 넘고 신화도 넘어, 또한 탑돌이도 넘어서」, 『신화를 삼킨 섬』, 문학과지성사, 2011, 392-427면.
    • 정홍섭, 「이야기로 풀어낸 역사와 신화화된 이야기-황석영의 <손님>과 이청준의 <신화를 삼킨 섬>」, 『실천문학』 71집, 2003, 312-332면.
    • 한순미, 「역사적 물음을 구조화하는 이미지의 위상학」, 『현대문학이론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2009, 233-250면.
    • 홍웅기, 「사유와 실천의 윤리학」, 『비평문학』 36, 한국비평문학회, 2010, 365-384면.

    3. 단행본

    • 김치수 편저, 『구조주의와 문학비평』, 기린원, 1989. 81-138면.
    • 김형중, 『소설과 정신분석』, 푸른사상, 2003, 39면.
    • 신동욱 외, 『신화와 원형』, 고려원, 1992, 32-33면.
    • 오세정, 『한국 신화의 생성과 소통원리』, 한국학술정보(주), 2005, 159-160면.
    • 이상우, 『현대 소설의 원형적 연구』, 집문당, 1985, 251면.
    • 최현무, 『한국문학과 기호학』, 문학과 비평사, 1988, 234면.
    • 허영선, 『제주 4·3을 묻는 너에게』, 서해문집, 2014, 74-82면.
    • 현용준, 『제주도 신화의 수수께끼』, 집문당, 2005, 11면.
    • 지그문트 바우만, 정일준 역, 『현대성과 홀로코스트』, 새물결, 2013, 59면.
    • 마르쿠제, 김인환 역, 『에로스와 문명』, 나남, 1989, 89면.
    • M. 로베르, 김치수·이윤옥 역, 『기원의 소설, 소설의 기원』, 문학과지성사, 1999, 70면.
    • S. 프로이트, 김석희 역, 『문명 속의 불만』, 열린책들, 1997, 47면.
    • 츠베탕 토도로프, 곽광수 역, 『구조시학』, 문학과 지성사, 1977, 96면, 103-10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