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67, pp.243-287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17
Received 05 Aug 2017 Reviewed 08 Sep 2017 Accepted 09 Sep 2017 Revised 18 Sep 2017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7.09.67.243

문학교육에서 『무정』의 정전화 연구 : 2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교재화를 중심으로

정진석**
**강원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A Historical Consideration and Improvements on Canon Formation of 『Moo Jeong』 in Literary Education
Jeong, Jin-Seok**


Copyright Ⓒ 2017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문학교육이 실천한 『무정』의 정전화 과정을 밝히고 교육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무정』이 중등학교 교과서에 처음 수록된 2차 교육과정부터 학습의 대상이 되지 못한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변천 과정을 살피고 정전화의 논리를 재구하였다.

『무정』은 문학사의 차원에서 최초의 근대적 장편 소설이지만 문학교육의 차원에서는 가장 오래된 정전이다. 현대소설의 어떤 작품보다도 가장 ‘앞선 시기’에 ‘지속적으로’ ‘다수의 교과서’에 수록되어 읽혔다. 그만큼 학습 목표, 작품 해석, 수록 범위, 학습 활동 등과 관련된 교재화의 양상이 시기마다 상이하다. 2·3차 교육과정기 고전 문학사를 다루는 고등학교 선택 과목 <고전>의 교과서에 처음 실린 『무정』은 4차 교육과정에 와서 전래의 소설과는 구분되는 ‘최초의 근대적 장편 소설’로 규정되면서 6차 교육과정까지 정전의 위상을 확립해간다. 7차 교육과정부터 『무정』은 대중소설의 면모를 조명 받으며 교육 내용의 지평을 확장하지만 교육 정전의 위상은 흔들린다.

『무정』의 정전화에 대한 사적 고찰을 통해 확인된 문학교육의 성과와 한계는 『무정』 교육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첫째, 문학사 교육과 관련하여, 학습자가 문학사적 안목을 형성할 수 있도록 『무정』을 다른 작품과 비교하면서 현실 인식의 차원이나 문체적 차원의 연속성을 탐구하고 이해하게 해야 한다는 것, 둘째, ‘문학과 매체’ 관련 성취기준과 관련하여, 『무정』의 소통 현상과 문체 선택의 관계를 탐구하게 함으로써 『무정』의 매체적 특성을 기호론과 소통론 양편에서 이해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 셋째, 문학 교실에서 특정 연재분이 아닌 장편소설 『무정』 전체를 풍성하게 읽을 수 있도록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view transition of canon formation of 『Moo Jeong』 in literary education critically, and find improvement plans. To achieve this, from the 2th national curriculum period that fist introduced 『Moo Jeong』 to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period, curriculum, textbooks are examined. As a result, aspects and a logic of canon formation of this work are revealed.

Aspects of canon formation is analyzed in dimensions of achievement standards, units, learning activities and interpretation. As a result, what this paper does quite clearly is that first,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strengthened this work`s status as a educational canon for literary history education and media approach, second, this work`status has nosedived because of falling behind in the making teaching material and failing to set up relation with new achievement standards.

Historical consideration on canon formation of 『Moo Jeong』 involves literary education`s issues and a new possibility of making teaching material. To succeed outcome and overcome the limitations through referring foregoing historical consideration, improvement plans for canon formation of this work are suggested in terms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the media approach to literature and a new reading method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Keywords:

Lee Kwang Soo, Moo Jeong, Canon, Making teaching materials, Literary Education, Literary History education, media approach

키워드:

이광수, 무정, 정전, 교재화, 문학교육, 문학사, 매체적 이해

Acknowledgments

2016년도 강원대학교 대학회계 학술연구조성비로 연구하였음(관리번호-520160522)

Reference

    1. 자료

    • 교육부, 『초·중·고등학교 국어과·한문과 교육과정 기준(1946〜1997)』, 선명인쇄주식회사, 2002.
    •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국어과 교육과정』, 2009.
    •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국어과 교육과정』, 2011.
    •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국어과 교육과정』, 2015.
    • 고형진 외, 『문학Ⅱ』, 천재문화, 2012.
    • 구인환, 『현대문학』, 금성출판사, 1983.
    • 구인환, 『문학』, 한샘, 1990.
    • 구인환 외, 『문학(하)』, 한샘출판(주), 1995.
    • 구인환 외, 『문학(하)』, 교학사, 2003.
    • 권영민, 『문학(하)』, 지학사, 2003.
    • 권영민 외, 『문학Ⅰ』, 지학사, 2012.
    • 권영민 외, 『문학』, 지학사, 2015.
    • 김대행 외, 『문학(하)』, 교학사, 1996.
    • 김병국 외, 『문학(하)』, 한국교육미디어, 2003.
    • 김열규 외, 『현대문학』, 동아출판사, 1983.
    • 김윤식 외, 『문학』, 한샘, 1990.
    • 김윤식 외, 『문학(하)』, 한샘 출판사, 1996.
    • 김용직 외, 『문학』, 학습개발, 1990.
    • 김창원 외, 『문학(하)』, 민중서림, 2003.
    • 김흥규, 『문학』, 한샘, 1990.
    • 남미영 외, 『문학(하)』, 동아서적, 1996.
    • 문덕수 외, 『현대문학』, 이우출판사, 1985.
    • 박경신 외, 『문학(상)』, 금성교과서, 1996.
    • 박경신 외, 『문학(하)』, 금성출판, 2003.
    • 박동규 외, 『문학』, 금성교과서, 1990.
    • 박병채, 『우리 고전』, 박영사, 1968.
    • 박성의 외, 『고전』, 고려서적주식회사, 1979.
    • 박영민 외, 『문학Ⅱ』, 비상교육, 2012.
    • 성기조, 『문학(상)』, 학문사, 1996.
    • 오세영 외, 『문학(상)』, 대한교과서, 2003.
    • 우한용 외, 『문학』, 동아출판사, 1990.
    • 우한용 외, 『문학(상)』, 동아출판사, 1995.
    • 우한용 외, 『문학(하)』, 두산, 2003.
    • 윤병로 외, 『문학(하)』, 노벨문화사, 1996.
    • 윤여탁 외, 『문학Ⅱ』, 미래앤, 2012.
    • 윤여탁 외, 『문학』, 미래앤, 2015.
    • 이문규 외, 『문학(하)』, 선영사, 1996.
    • 이숭원 외, 『문학Ⅱ』, 신사고, 2012.
    • 정재찬 외, 『문학Ⅰ』, 천재교과서, 2012.
    • 최동호 외, 『문학(상)』, 대한교과서, 1996.
    • 최지현 외, 『문학Ⅰ』, 지학사, 2012.
    • 한계전 외, 『문학(하)』, 대한교과서, 1996.
    • 한철우 외, 『문학』, 비상, 2015.

    2. 논문

    • 김근호, 「이태준 소설의 서사 윤리와 소설교육」, 『현대소설연구』54권, 한국현대소설학회, 2013, 41-81면.
    • 김성진, 「소설교육에서 해석의 다양성 문제 재론」, 『우리말글』42호, 우리말글학회, 2008, 155-180면.
    • 김정우, 「학습자 중심의 문학사 교육 연구」, 『국어국문학』142권, 국어국문학회, 2006, 399-430면.
    • 김지혜, 「김유정 문학의 교과서 정전화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51권,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135-155면.
    • 남민우, 「문학교육 목표 변천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고등학교 문학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문학교육학』22권, 한국문학교육학회, 2007, 119-152면.
    • 박상근, 「교과서를 통해 본 <무정> 교육 연구」, 『문학교육학』51권, 한국문학교육학회, 2016, 49-80면.
    • 방용호, 「文學{敎育 텍스트로서의 李光洙 小說 硏究 – 『無情』과 『開拓者』를 中心으로」, 『인하교육연구』8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2, 203-225면.
    • 우한용, 「장편소설 교육의 방법 – 고등학교에서 장편소설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 『배달말교육』8권, 배달말교육학회, 1990, 127-152면.
    • 정재찬, 「현대시 교육의 지배적 담론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 논문, 1996.
    • 정진석, 「소설교육에서 <사랑손님과 어머니>의 정전화 양상과 개선 방향」, 『문학교육학』46, 한국문학교육학회, 2015, 81-101면.
    • 조하연, 「문학사적 안목 형성을 위한 문학사교육의 내용 개선 방향 연구」, 『새국어교육』97권,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511-542면.
    • 조희정, 「교과서 수록 현대 문학 제재 변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24권, 국어교육학회, 435-481면.
    • 차혜영, 「한국 현대소설의 정전화 과정 연구 - 중ㆍ고등학교 국어교과서와 지배 이데올로기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돈암어문학』18, 돈암어문학회, 2005, 157〜181면.
    • 최남선, 「「無情」 序」, 『청춘』 제15호, 1918, 6-7면.
    • 최성윤, 「「무정」 후일담의 소설 교육적 가치」, 『Journal of Korean Culture』23,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3, 77-102면.
    • 황정현, 「이광수 소설 연구사」, 고려대학교 박사 논문, 2009.

    3. 단행본

    •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1』, 민음사, 2002.
    • 권영민, 『한국 현대소설의 이해』, 태학사, 2006.
    • 김동인, 「조선근대소설고」, 『김동인전집 6』, 삼중당, 1976.
    • 김동인, 「춘원연구」, 김치홍 편, 『김동인 평론 전집』, 삼영사, 1984.
    • 김동환, 「교과서 속의 이야기꾼, 김유정」, 김유정학회 편, 『김유정의 귀환』, 소명출판, 2012.
    • 김윤식, 『한국현대문학사론』, 한샘, 1988.
    • 김윤식·정호웅, 『한국소설사』, 문학동네, 2000.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학사전』, 대교출판, 1999.
    • 이병기·백철, 『국문학전사』, 신구문화사, 1957.
    • 임화, 「조선신문학사론서설」, 임규찬 편, 『문학사: 임화문학예술전집 2』, 소명출판, 2009.
    • 조윤제, 『한국문학사』, 탐구당, 1963.
    • 조연현, 『증보 한국현대문학사』, 성문각, 1969.
    • 조연현, 『한국문학의 현장: 조연현 문학전집 5』, 어문각,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