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 No. 66, pp.479-511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7
Received 30 Apr 2017 Reviewed 08 Jun 2017 Accepted 10 Jun 2017 Revised 19 Jun 2017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7.06.66.479

안수길의 <이런 춘향>에 나타난 에로스 차용 양상과 의미 : 고전 <춘향전>의 패러디를 중심으로

朱银淑*
*아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수료
The borrowing aspects of eros and the significance in This Chunhyang : At the center of pastiching Chunhyangjeon
ZHU, YINSHU*

초록

본 연구는 <이런 춘향>에 구현된 에로스의 차용 양상과 그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지금까지 <이런 춘향>은 세태성이 강조된 작품으로 논의되어 왔는데 본고에서는 선행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고전 <춘향전>의 패러디를 중심으로 에로스의 차원에서 작품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에로스의 차용은 제목, 주체 간의 차이, 서사 세계와 사회적 문제 측면에서 표출된 유사성을 통해 구현되었다. 제목에서 여주인공의 에로스가 춘향의 에로스를 패러디했음을 보여주었다. 주체 간의 차이를 통해 현저한 차이를 극복하는 에로스가 구현된다. 이별-고난-기다림의 서사를 통해 기다림의 에로스가 극명하게 재현되고 이는 결국 여성의 고난과 사회문제를 노정하기에 이른다. 이런 유사성을 통해 원텍스트를 전경화하고 원텍스트에 대한 일치와 친밀성을 확보한다. 이런 점에서 <이런 춘향>은 원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성향보다는 원텍스트를 계승하는 모방적 패러디의 성향이 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익숙한 고전 <춘향전>의 에로스를 차용하여 작가는 독자를 쉽게 확보하고 당대를 향한 의식을 의도적으로 드러내는 효과를 창출하며 1950년대 전후문제를 표면화하기 위한 목적에 도달한다.

이와 동시에 <이런 춘향>은 회상이라는 서사적 전략을 통해 원텍스트와 비평적 거리를 확보하고 역동적인 힘을 발휘함을 확인하였다. 작중인물을 통해 전지적 작가의 시점에서 과거 사건의 발전순서에 따라 전개되는 회상은 과거 기억의 재구성으로 시작해서 그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시점에서 에로스의 단절’과 ‘습관적 기억으로 수렴되는 자유연상’이라는 두 가자 연계 지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런 연계지점에서 이어지는 회상은 장면 전환을 통해 이루어지며 에로스를 다채롭게 담아냈다.

회상으로 표출되는 에로스는 억압과 분출을 통해 전후 한국사회의 자폐적이고 폐쇄적인 시대적 상황을 고발하고 동시에 고난의 극복지향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동시대 다른 전후 소설들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며 그 궤를 같이 함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암울한 상황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하는 결단의 중요한 시기에 놓여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지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여성문제와 관련하여 여성의 고난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 여성의 고난을 통해 사회문제를 환기하고 있다는 점은 동시대 작품보다 앞서 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The study is based on This Chunhyang which is adopted from the classical works Chunhyangjeon and its objectives is to investigate the borrowing aspect of Eros and its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is Chunhyang through love, inheriting and simulating classic work on the aspect of shaping the emage of the title, depicting subject diversity, expressing narrative content and reflecting social problem. Through differences between subjects, it is the embodiment of eros that overcome the different. Through the narrative process of farewell-suffering-waiting, Eros of Waiting is clearly reflected, which eventually leads to the suffering and social problems of female. Through high similarity with classical text This Chunhyang can keep a intimate relationship with it. In this point, This Chunhyang shows an imitative parody of inheritance rather than criticism of original text. Making use of well-known classic novel <Chunhyangeon> to assure a larger readers. Meanwhile it can easily achieve author's goal of parsing the social problems after the war that happened in 1950.

At the same time, Eros strats with recalling the author used the recalling narrative wags on narrative strategy to make sure the differences with the classic text. Recalling is under way on the condition that is accompanied by external isolation. It will fully show the strong surges of nostalgia for the past love and a wonderful vision for the future.

In short, depressed Eros expresses the postwar social problems of Korea and the will of overcoming the suffering through the narrative way of recalling which connects with the other postwar. Through recalling, This Chunhyang also focuses on the female issues and implies country in the period of important choice, which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novel. In addition, it focuses on female's suffering problems, thus put forward the social problems, which has a great influence.

Keywords:

An Sugil, This Chunhyang, pastiche, eros, borrow, recalling narrative

키워드:

안수길, 이런 춘향, 고전 춘향전, 패러디, 에로스, 차용, 회상

Reference

    1. 자료

    • 안수길, 『풍차』, 동민문화사, 1963.

    2. 단행본

    • 김윤식·정호웅, 『한국소설사』, 예하, 1993.
    •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민음사, 1993.
    • 김원회 지음, 『한국 성사』, 북랩, 2015.
    • 김중술, 『사랑의 의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 린다 허천, 김상구·윤여복 역, 『패러디 이론』, 문예출판사, 1992.
    • 박수성, 『들뢰즈』, 이룸, 2004.
    • 유종호, 『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2003.
    • 신경덕, 『한국전후소설연구』, 일지사, 1983.
    • 이미란, 『한국 현대 소설의 패러디』, 1999, 국학자료원.
    • 이재선, 『현대한국소설사』, 민음사, 1991.
    • 정끝별, 『패러디시학』, 문학세계사, 2002.
    • 최혜경, 강진경, 신수진, 『사랑학』, 교문사, 2004.
    • H. 마르쿠제, 『에로스와 문명』, 김인환 역, 나남출판, 1999.
    • R.벨라·R.매드슨·W설리반·A.스위들러·S.팁튼, 김명숙·김정숙·이재협 공역, 『미국인의 사고와 관습』, 나남출판, 2001.
    • S. 프로이트, 『문명속의 불만』, 김석희 역, 열린책들, 1997.
    • S. 프로이트, 『정신분석입문』, 김양순 역, 동서문화사, 2010.
    • Th. W. 아도르노, 『미학이론』, 홍승용 역, 문학과지성사, 1984.
    • W. 라이히, 『성 정치』, 윤수종 역, 중원문화, 2012.

    3. 논문

    • 김미란, 「만주, 혹은 자치에 대한 상상력과 안수길 문학」, 『상허학보』 제25집, 상허학회, 2009, 273〜307면.
    • 김미영, 「고정희 시에 나타난 패러디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김미옥, 「안수길의 북간도연구」, 『돈암어문학』 제17집, 돈암어문학회, 2004.
    • 김용구, 「한국 현대소설의 흐름」, 『한국 현대문학의 이해』(김용구·김훈 외), 淸文閣, 1996, 37면.
    • 방금단, 「현대소설의 패러디 양상 연구」, 『돈암어문학』 27, 2014, 253〜283면.
    • 박은숙, 「안수길 소설연구 : 만주체험 소설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변학수, 「문학과 기억」, 『독일어문학』 제38집, 2007, 1〜20면.
    • 이남호, 「안수길 단편소설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61집, 2013, 253〜270면.
    • 이승준, 「한국 패러디 소설의 가능성」, 『국제어문』 40, 국제어문학회, 2007, 14〜28면.
    • 이호규, 「1960년대 패러디 소설의 반영론적 성격 연구」, 『어문논집』 42, 중앙어문학회, 2009, 406〜435면.
    • 조광국, 「<천수석>에 구현된 에로스의 양상과 작가의 비판의식」, 『고소설연구』 43, 한국고소설학회, 2017.
    • 차봉준, 「최인훈 <춘향뎐>의 패러디 담론과 역사 인식」, 『한국문학논총』 56, 2010, 451〜479면.
    • 한승우, 「최인훈의 작가의식과 패로디 소설 고찰」, 『語文論集』 第46輯, 383〜40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