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라는 사상의 기원과 그 불가능성 : 장혁주/野口赫宙의 「협박」(1953)과 『편력의 조서』(1954)를 중심으로
초록
이 글은 장혁주의 민족관을 중심으로 그의 자전적 소설 「협박」과 『편력의 조서』를 분석하여 작가의 재일 경험이 그의 문학적 실천과 사상 형성에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탐구하고자 한다. 장혁주는 초기 창작 활동에서 프로문학을 통해 민족 문제를 다루었으나, 식민지 말기에는 오히려 민족을 부정하는 태도를 보인다. 이러한 그의 태도는 모순적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의 민족관이 지닌 특징은 식민지를 벗어나 제국/일본, 혹은 반드시 ‘일본’이 아니더라도 어딘가에 ‘소속’되고자 하는 강한 욕망인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실현의 (불)가능성을 떠나, 민족(주의)을 허물어 버려야 하는 것으로 인식했음은 분명하다.
이를 검토하기 위해서 이 글은 그의 자전적 소설 「협박」(1953)과 『편력의 조서』(1954)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협박」을 통해 그의 민족관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협박」에는 작가가 바라보는 제국-식민지 체제와 해방/패전 직후 일본에 거주하고 있던 조선인들의 모습과 그들과의 갈등 관계 속에서 작가의 사유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다음으로는 『편력의 조서』에 나타난 ‘재일’의 경험을 통해 그것이 그의 민족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결국 이 글은 장혁주의 민족관과 재일의 경험이 그의 문학적 여정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는지 조명하고, 작가의 ‘세계’라는 사상의 기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Abstract
Focusing on Jang Hyuk-ju's view of the nation, this article analyzes his autobiographical novels “The Threat” and “The Protocol of Wondering” to explore how the artist's experience in Japan contributed to his literary practice and formation of ideas. In his early creative activities, Jang dealt with national issues through professional literature, but at the end of the colony, he rather showed an attitude of denying the nation. His attitude seems contradictory. However, it is clear that the characteristic of his view of the nation was a strong desire to leave the colony and become “a part” of empire/Japan, or somewhere even if it was not necessarily “Japan”, and on the other hand, he recognized that nationalism had to be broken down, leaving the impossibility of realization.
In order to examine this,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his autobiographical novels “The Threat” (1953) and “The Protocol of Wondering” (1954). First of all, I would like to examine how his view of the nation was formed through “The Threat.” In “The Threat”, the artist's thoughts stand out among the imperial-colonial system viewed by the artist, the appearance of Koreans residing in Japan immediately after liberation/loss, and the conflicting relationship with them. Next, I would like to examine how it influenced his view of the na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Jae-il” in “The Protocol of Wondering”. In the end, this article aims to shed light on how Jang Hyuk-ju's view of the nation and the experience of Japan are interacting in his literary journey, and to examine the origin of the artist's idea of “the world.”
Keywords:
nationalism, Jang Hyuk-joo, Imperial Japan, an imperial-colonial system, minority, liberation, Ethnic키워드:
민족주의, 장혁주, 제국 일본, 제국-식민지 체제, 마이너리티, 해방, 패전, 민족Acknowledgments
이 글은 2024년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국어국문학과 BK21+ 연구팀의 해외연수 프로그램 지원으로부터 시작되어, 2024년 8월 22일에 개최된 <폭력·기억·증언·청산: 다시 보는 동아시아의 포스트/식민주의>에서 발표한 원고를 발전시킨 논문이다. 일본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도와주신 리츠메이칸대학(立命館大学) 안자코 유카 선생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더불어 조금이나마 더 나은 글이 될 수 있도록 귀중한 조언을 해주신 토론자 조은애 선생님과 익명의 세 심사위원 선생님들께 감사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