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0년대 『신시대』부터 1950년대 <헨델박사>까지 발명과학의 디스토피아
초록
본 논문에서는 한국 발명과학의 계보에서 비관적 전망으로 점철되었던 시기에 집중하여 발명과학이 실제가 될 때의 공포를 들여다보고자 한다. 인간이 발명한 혹은 공상한 모든 것이 ‘실제’가 된다고 가정했을 때, 우리는 함부로 발명하거나 공상하거나 꿈꿀 수 없다. 그것이 실제가 되었을 때의 결과나 효과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발명에 대한 공상이 현실과의 거리가 좁혀진다면, 우리가 미래를 공상하는 것은 불가능하거나 힘겨워진다. 아무리 현실을 벗어나 미래를 공상하려 해도 현실의 압박이 강하게 조여오기 때문이다. 1940년대는 태평양을 둘러싼 전쟁의 기운이, 1945년 이후로는 핵폭발의 기운이, 그리고 1950년 이후는 한국전쟁의 기운이 모든 현실을 압도한다. 아무리 미래를 공상하려고 해도 현실이 암울하고 절망적이어서 웰스의 타임머신을 타고 미래로 이동하는 동안 계속해서 ‘섬뜩한 황량함’을 마주하는 것과 흡사하다.
본 논문에서는 1940년대 태평양 전쟁기에 간행된 『신시대』에 실린 미래전쟁소설(가상소설) 「태평양의 독수리」와 과학소설 「소신술」을 통해 미래를 공상하는 것이 불가능해져 버린 현실의 실제적 공포와 발명과학이 낳은 디스토피아적 전망을 들여다보고자 한다. 1940년대는 히로시마에 원자탄이 투하되기 전까지 인류 대재앙의 공포보다는 경계를 두고 편을 갈라 내 편이 이기기를 욕망한다. 그러나 핵실험과 핵폭발로 세계 전역에 ‘지구 종말’의 기운이 짙게 드리우고, 1950년 한국전쟁을 치르는 한반도 역시 여기서 벗어날 수 없었다. 1952년 전쟁기에 껌딱지 만화로 발간된 <헨델박사>는 ‘지구의 마지막 남은 인간’으로 시작하고 있다.
그러나 1959년 한낙원의 『잃어버린 소년』이나 김산호의 공상과학 만화 <라이파이>에서 디스토피아적 전망은 낙관적인 기대로 바뀌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낙관적 전망으로 바뀌기 전 디스토피아적 전망을 드러내며 미래를 공상할 여유가 없이 현실의 공포가 잠식했던 시기를 따라가 보고자 한다. 「태평양의 독수리」를 제외하고 「소신술」과 <헨델박사>는 연구된 바가 없어 한국 SF의 서지사항 확보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헨델박사>에 나오는 인조인간에 대한 이중적인 대중 감성을 논하기 위해 이우영의 『인조인간사건』을 함께 분석하였음을 밝힌다.
Abstract
In this paper, I try to look into the horror of invention science when it becomes a reality by focusing on the period when the genealogy of invention science in Korea was filled with pessimistic prospects. Assuming that everything human beings invented or fancied becomes “real,” we cannot invent, fantasize, or dream arbitrarily. This is because we have to consider the results or effects when it becomes a reality. So, if the fantasies of inventions are narrowed from reality, it becomes impossible or difficult for us to fantasize about the future. This is because no matter how much you try to fantasize about the future, the pressure of reality is strong. The energy of war surrounding the Pacific Ocean in the 1940s, the energy of nuclear explosions after 1945, and the energy of the Korean War after 1950 overwhelms all reality. No matter how much you try to fantasize about the future, the reality is so bleak and hopeless, it's like riding Wells's time machine and continuing to face the ‘eerie desolate’ while continuing to travel into the future.
In this thesis, the actual fear and invention of the reality that has made it impossible to imagine the future through the future war novel (fictional novel) 「Eagle of the Pacific」 and the science novel 「Soshinsul」 published in the 『New Era』 published during the Pacific War in the 1940s. I want to look into the dystopian outlook that science has created. In the 1940s, until the atomic bomb was dropped on Hiroshima, rather than fear of a catastrophe for mankind, I wanted to divide my side and win by dividing my side. However, the nuclear tests and nuclear explosions spread the aura of the “end of the earth” throughout the world, and the Korean Peninsula, where the Korean War was fought in 1950, could not escape from this. <Dr. Handel>, published as a chewing gum cartoon during the war in 1952, begins with ‘the last human left on the earth’.
However, in 1959 Han Nak-won's 『The Lost Boy』 or Kim San-ho's science-fiction cartoon <Li-Fi>, the dystopian outlook turned into an optimistic one. In this paper, we try to follow the period when the fear of reality was eroded by the fear of reality, revealing a dystopian outlook before changing to an optimistic one and not having time to imagine the future. With the exception of 「Eagle of the Pacific」, 「Soshinsul」 and <Dr. Handel> have not been studied, so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helpful in securing bibliography of Korean science fiction. It reveals that Lee Woo-young's 『Artificial Man』 was analyzed together in order to discuss the double public sensibility of the android in <Dr. Handel>.
Keywords:
1940s, 1950s, 『New Era』, 「Eagle of the Pacific」, 「Soshinsul」, <Dr. Handel>, Atomic Bomb, Invention Science, Android, Dystopia, War, Weapon, Fantasy, Reality, Pessimistic, Prospect, apocalypse, horror키워드:
1940년대, 1950년대, 『신시대』, 「태평양의 독수리」, 「소신술」, <헨델박사>, 원자탄, 발명과학, 인조인간, 디스토피아, 전쟁, 무기, 공상, 현실, 비관적, 전망, 지구 종말, 공포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1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분야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1S1A5A2A01061213)
참고문헌
- 김성연, 「방첩소설, 조선의 총동원체제와 ‘국민오락’의 조건- 김내성의 『매국노』를 중심으로」, 『인문과학논총』 37, 2014.2, 217-239면.
- 박범기, 「재난서사와 개인의 불안」, 『문화과학』 79, 2014.9, 170-191면.
- 박상준, 「미래를 바로잡아 보려는 시도-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 『과학과 기술』, 2002.4, 82-83면.
- 우정덕, 「총동원체제 하의 대중소설과 그 의미- 안전민의 「太平洋의 독수리」, 「싸움하는 副丹粧」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학술발표회자료집』, 2013.2, 72-79면.
- 이다운, 「일상의 파국과 상상된 재난」, 『어문론집』 85, 2021.3, 329-358면.
- 이윤종, 「할리우드 지구 종말 SF 영화」, 『인문과학』 제57집, 2015.5, 67-99면.
- 정혜영, 「방첩소설 「매국노」와 식민지 탐정문학의 운명」, 『한국현대문학연구』 24, 2008.4, 275-302면.
- 조용욱, 「1920년대와 1930년대 영국의 군사전략과 군비개발정책」, 『한국학논총』 35, 2011.2, 191-222면.
- 차현지, 「태평양전쟁 한국광복군과 미(美)전략첩보국(OSS) 합작의 국제적 배경」, 『사회과교육』 59(1), 2020.3, 39-59면.
- 최애순, 「1920년대 미래과학소설의 사회구조의 전환과 미래에 대한 기대-『팔십만년후의 사회』, 『이상의 신사회』, 『이상촌』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41, 2020.상반기, 7-51면.
- 최애순, 「1930년대 『과학조선』과 식민지 조선의 발명·발견에 대한 기대」, 『한국근대 문학연구』 통권 43호, 2021.4, 303-352면.
- 피종호, 「1950년대 독일의 전쟁영화에 나타난 냉전의 수사학와 핵전쟁의 공포」, 『현대영화연구』 36호, 2019.8, 81-107면.
- 로저 포드, 『2차대전 독일의 비밀무기』, 김홍래 역, 플래닛미디어, 2015.
- 에릭 홉스봄, 『극단의 시대: 20세기 역사 (상)』, 이용우 역, 까치글방, 1997.
- 존 루이스 개디스, 『냉전의 역사- 거래, 스파이, 그리고 진실』, 정철·강규형 역, 에코리브르,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