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로드라마와 4.19 혁명의 서사적 절합 : 박경리의 1960년대 대중연애소설 『푸른 운하』, 『노을 진 들녘』 다시 읽기
초록
이 논문은 두 가지 측면에서 기존 문학사와 4.19 재현 소설연구의 단일성을 교정하고자 한다. 첫째, 순수문학 대 참여문학, 본격문학, 단편소설로 상징되는 1960년대 남성 중심의 문학 장의 주변에서 대중-독자와 소통했던 대중연애소설의 의미를 밝히고, 둘째, 남성-청년-지식인 중심의 4.19 소설연구에서 배제되어 왔던, 4.19 혁명을 다룬 ‘여성’ 작가의 대중연애소설을 적극적으로 다시 읽는 것이다.
이 논문은 박경리의 1960년대 대중연애소설 『푸른 운하』와 『노을 진 들녘』을 중심으로 멜로드라마와 4.19혁명이 서사 내에서 절합하는 양상에 주목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푸른 운하』와 『노을진 들녘』이 자유당 정권 말기의 정치적, 경제적, 도덕적 혼란과 불안정성의 상태를 멜로드라마의 양식에 어떻게 녹여냈는지 분석하였다. 두 소설은 멜로드라마의 ‘도덕적 비의’와 ‘선정주의’를 부각하면서도 돈과 권력에 기반한 기성세대의 로맨스와 순수와 낭만을 지향하는 청년 세대의 우울하지만 열정적이거나 순수한 사랑을 대조적으로 그린다. 악인의 몰락과 선인의 승리, 선정성과 폭력성을 압도하는 순수, 낭만이라는 결말을 통해, 4.19 직후 청년-지식인 세대에 대한 작가의 기대를 드러낸 것이다.
3장에서는 두 소설이 공통적으로 4.19 혁명을 신문기사나 보고서, 작가의 직접적 논평을 빌려 서사화한 점에 주목했다. 4.19 혁명이 르포르타주, 신문기사, 작가주석적 서술로 멜로드라마에 기입, 기술되는 것은 박경리의 4.19 재현 소설의 고유한 특징이다. 그런 서사적 특성을 인정하고, 4.19의 정신이 4.19 이후 청년 세대에게 미친 영향력은 텍스트의 이면을 섬세하게 읽으며 찾아낼 수 있다. 연대와 포용, 책임감과 도덕감정의 회복이라는 청년 세대의 정신은 4.19 혁명이 짧지만, 객관적으로 작품에 기록됨으로써 개연성과 정당성을 획득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두 소설은 여성작가의 장편대중소설이 혁명이라는 사회역사적 장면을 ‘다른’ 방식으로 그릴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문학사의 외연을 확장하고, 대중소설의 정치성을 재고하는 데 단서를 제공한다. 소설의 시간적 배경은 4.19 이전의 절망과 불안, 우울, 5.16 이후의 반동화 사이에 낀 1년 남짓으로, 아직까지는 젊은 세대의 쇄신이 가능했던 시기였다. 박경리는 희생과 쇄신을 통해 자기와 공동체를 구제할 존재로서 젊은 세대를 형상화했다. 세대적으로는 청년, 지리적으로는 고향-시골을 순수와 순정, 노스탤지어와 재생의 의미로 텍스트에 새겨넣음으로써 4.19 이후의 열망과 기대를 서사화한 것이다.
Abstract
This paper seeks to correct the uniformity of Korean modern literary history and novel which represent 4.19 civil revolution in two aspects. The first is to reread the meaning of popular romance novels that communicated with the public around the existing male-centered literary field in 1960s, composed of pure literature and short stories. The second is actively reread the woman writer’s popular romance story that has been excluded from the prior research about male-youth-intellectual oriented 4.19 novels.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narrative articulation between melodrama and the 4.19 civil revolution in Park Kyung-ri's 1960s popular romance novel Blue Canal and Sunset Field. Blue Canal and Sunset Field melt the state of political, economic and moral chaos and instability at the end of the Liberal Party's regime into the melodrama style. While highlighting melodrama's ‘moral occult’, ‘sensationalism’ and dichotomy of good and evil, these novels contrast the gloomy but pure love of the younger generation with the older generation’s love which is connected with money, power. In both novels, hometown-country means the place for purity, hope and nostalgia for the younger generation. The fall of the villain, the triumph of the good, the purity that overwhelms sensationalism and violence show the writer’s anticipation about young intellectuals in post 4.19.
In chapter 3, I noted that two novels narrated the 4.19 civil revolution by borrowing newspaper articles, reports and writer’s direct comments. It can be evaluated that unique features of writer’s 4.19 novels. Acknowledging such narrative characteristics, the influence of the 4.19 spirit on the younger generation can be found by reading the texts carefully. The spirit of the younger generation- solidarity, generosity, sense of responsibility and restoration of moral feeling– could achieve the probability and justification through the short but objective recording about 4.19 civil revolution.
In conclusion, the two novels provide clues to expanding the outer space of literary history and reconsidering th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popular novels. Because woman writer’s popular literature shows the social and historical scene of revolution in a ‘different’ way. The novels’ time background between pre-4.19 revolution, the time of despair, anxiety, depression and post-5.16 recidivism, was the time that the younger generation was still able to reform. Park Kyung-ri showed her expectation for the younger generations who change themselves and the community through reformation. The younger generation, and the hometown or country engraved in the texts mean purity, nostalgia, and regeneration, and these embody the writer’s aspiration and expectation about post 4.19.
Keywords:
4.19 Civil Revolution, romance novel, melodrama, moral occult, sensationalism, youth, purity키워드:
4.19혁명, 연애소설, 멜로드라마, 도덕적 비의, 선정주의, 청년 세대, 순수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9학년도 한림대학교 교비연구비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HRF-201907-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