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70, pp.241-265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8
Received 07 Jun 2018 Reviewed 15 Jun 2018 Accepted 15 Jun 2018 Revised 26 Jun 2018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8.06.70.241

오정희 단편소설의 회상매개 연구

이지혜* ; 김종회**
*경희대학교대학원 박사과정, 주저자
**경희대학교 교수, 교신저자
Research about Memory Material of Oh Jung Hee's novel
Lee, Ji-Hye* ; Kim, Jong-Hoi**


Copyright Ⓒ 2018

초록

본고의 목적은 오정희의 초기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오정희의 ‘전쟁 체험’이 어떠한 ‘회상매개’로서 그의 소설세계에 전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그 궤적을 논의하려는 것에 있다. 오정희는 삶에 대한 깊은 성찰을 통해 인간의 내면을 치밀하게 고찰해 낸 작가로 평가되어 왔다. 특히 오정희의 초기 단편에 드러나는 회상매개는 전쟁 상황에 놓여있거나 전쟁과 깊은 관련을 맺는다. 이들은 당시의 시대 상황에 비추어 특정한 기억을 잃어버린 것으로 보이며, 개인적 성장과 더불어 그 기억을 매개체를 통해 되살리고자 노력한다는 공통점을 보인다.

우선 연구 대상으로 삼은 「유년의 뜰」을 통해 전쟁의 혼돈으로 빚어진 가족의 부재와 상실이 회상매개로 재현되는 과정의 혼란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재현이 불가능한 전쟁의 고통이 어떻게 개인의 기억을 통해 회상매개로서 재건되는지 「중국인 거리」를 통해 그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어서 「겨울 뜸부기」를 통해 무의식 속에서 부표처럼 부유하는 회상매개의 양상에 대해 조망하고자 한다.

오정희는 ‘유년기 전쟁체험 세대’ 작가 중 거의 유일무구한 여성작가로 꼽을 수 있다. 이렇듯 오정희의 전쟁 체험은 전쟁의 이면을 날것으로 보여주는 여성 수난의 회상매개이자 서사로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오정희의 소설로 억압되어 왔던 개별적이며 역사적인 기억의 회상매개를 탐구함으로써, 전쟁의 현실을 새롭게 조망하고 개별 기억의 인정과 극복으로 나아가는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discuss the trajectory of Oh Jeong-hee ‘war experience’ as a ‘mediator of remembrance,’ focusing on his early novels. Oh Jeong-hee is considered the only female writer among the ‘War Experience Generation’ writers.「Garden of Infancy」, 「Chinese Street」. It is 「Winter Watercock」. which created the situation with major backgrounds, show that the war should not clearly show its weight in the novel. Historical events, as well as personal events, work in human life not with fragmentary memories but with continuous memories. Therefore, Oh Jung-hee's experience in the war clearly illustrates the process in which he remains in memory in a certain way and is replaced as a means of retrospection. Historical experience is an important element in Oh Jung-hee's literature, and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it has been reduced to the memory of the writer and has a clos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world view.

Therefore, Oh's experience in the war can be described as an epic as well as a retrospection of female suffering that shows the hidden side of the war. By exploring the recall parameters of individual and historical memories that have been suppressed by Oh Jeong-hee's novels, one can look at the realities of war and find clues that lead to the recognition and overcoming of individual memories. The recollections that appear in the early novels of Oh Jung Hee are in a state of war or deeply related to war. They seem to have lost a particular memor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times and share with personal growth trying to revive memory through a piece of memory. In this paper, the texts to be studied are 「Garden of Infancy」 and the 「Chinese Street」. It is 「Winter Watercock」.

The first is the 「Garden of Infancy」 of the characters in the 「Garden of Infancy」 which was done in conjunction with a certain space or place with memories, and clearly showed the private memory and the formal memory process in a war situation. Thus, in light of the times, those who lost certain memories showed that they were trying to revive them through a medium as well as personal growth.

Second, the 「Chinese street」 has put on the surface a figure who is not only suspicious of visual memory but of memory made by the influence of the batter's intervention. In addition, the recall medium created by the intervention of the batter was more unreliable than other memories, creating a double structure.

Third, through 「Winter Watercock」, Oh Jeong-hee said, The intention of forgetting is to refuse memory work through retrospection, and to place objects caused by certain factors in oblivion.

Let's look at the ‘confusion’ of the process of recreating the absence and loss of a family caused by the chaos of war through novels. next, we will examine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 pain of war that can not be reproduced through “memory” of individuals through 「Chinese Street」 as “material”. Third, we will look at the reminiscence meditation that emerges like a buoy in a subconscious way through 「Winter Watercock」.

Keywords:

Oh Jung-Hee, Memory, War, Reminiscence, Recall motif

키워드:

오정희, 회상매개, 전쟁, 기억, 회상, 매개

참고문헌

    1. 자료

    • 오정희, 『유년의 뜰』, 문학과지성사, 1981.

    2. 단행본

    • 권명아, 『가족이야기는 어떻게 만들어 지는가』, 책세상, 2000.
    • 김영효, 『구조주의의 사유체계와 사상』, 인간사랑, 2008.
    • 김윤식, 「6·25와 소설의 내적형식」, 『우리 소설과의 만남』, 민음사, 1986.
    • 김종회, 『대표소설 100선 연구』, 문학수첩, 2006.
    • 박찬부, 『라캉, 재현과 그 불만』, 문학과지성사, 2006.
    • 박혜경, 『오정희 문학연구』, 푸른사상, 2011.
    • 변학수, 『문학적 기억의 탄생』, 열린책들, 2008.
    • 우찬제, 『오정희 깊이 읽기』, 문학과지성사, 2007.
    • 황도경, 『문체, 소설의 몸』, 소명출판, 2002.

    3. 학위논문

    • 김은혜, 「오정희 성장소설의 트라우마 양상 고찰」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노희준, 「오정희 소설연구: 시·공간 구조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 배성희, 「오정희 소설 연구: 신경증적 욕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배수정, 「오정희 소설의 시간성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최수완, 「오정희 소설의 젠더정치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최정애, 「오정희 소설의 죽음의식 양상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4. 평론 및 기타

    • 권영민, 「오정희와 소설적 열정」, 『소설의 시대를 위하여』, 이우, 1983.
    • 권오룡, 「원체험과 변형의식」, 『존재의 변명』, 문학과지성사, 1989.
    • 김경수, 「여성성장소설의 제의적 국면」, 『현대소설의 유형』, 솔, 1997.
    • 김병익, 「성장소설의 문화적 의의」, 『세계의문학』, 1981.
    • 성민엽, 「존재의 심연에의 응시」, 『바람의 넋』, 문학과지성사. 1986.
    • 성현자, 「오정희 「별사」에 나타난 시간구조」, 『개선어문논집』, 1986.
    • 김치수, 「전율과 그리고 사랑」, 『유년의 뜰』, 해설, 문학과지성사, 1977.
    • 김 현, 「살의의 섬뜩한 아름다움」, 『불의 강』 해설, 문학과지성사, 1977.
    • 박혜경, 이후의 오정희의 소설들, 『작가세계』, Vol.7, No.2, 1995.
    • ______, 「불모의 삶을 감싸 안는 비의적 문체의 힘」, 『상처와 응시』, 문학과지성사, 1997.
    • 이남호, 「휴화산의 내부」, 『문학의 위족』, 민음사, 1990 등.
    • 이제원 외, 「분단 현실과 ‘여성적 성장’의 의미」, 『독일어문학』 27, 2004.
    • 임금복, 「한국적 외디푸스 콤플렉스의 초상」, 『비평문학』, 1993.
    • 장현숙, 오정희의 「비어 있는 들」 분석-작중인물과 ‘그’의 다의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총』 제62집, 2012.
    • 지주현, 「오정희 소설의 트라우마와 치유」, 『한국문학이론과비평』 제45집,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9.
    • 차미령, 「원초적 환상의 무대화」, 『한국학보』. 2005.
    • 황도경, 「빛과 어둠의 문체」, 『문학사상』. 1991. 1.
    • ______, 「「유년의 뜰」의 회상 형식 및 문체」, 『이화어문논집』, 1992. 3.
    • ______, 「불을 안고 강 건너기」, 『문학과사회』, 1992. 5.
    • 황영미, 「오정희 소설의 서술전략 연구-1980년 이후 발표작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33권, 2007.

    5. 번역서

    • 마이클 페인, 장경렬 외 옮김, 『읽기 이론 / 이론 읽기』, 한신문화사, 1997.
    • 알라이다 아스만, 변학수 역, 『기억의 공간』, 그린비, 2010.
    • 지그문트 프로이트, 임진수 옮김, 『「망각의 심리 기제에 대하여」, 끝이 있는 분석과 끝이 없는 분석』, 열린책들, 2005.
    • 피에르 노라 외, 김인중 외 옮김, 『기억의 장소 ➀, ➁, ➂ 프랑스들』, 나남,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