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로서의 작가의 형성 과정 연구 : 1920년대 전후의 현상문예와 동인지의 작가견인 방식을 중심으로
초록
본고는 1910년대 후반 현상문예로부터 동인지로 이어지는 문학 생산 환경의 변화 속에 근대적 의미의 작가가 탄생하는 과정을 제도적 차원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춘』에서 동인지 『창조』로 이어지는 작가생성 시스템의 양상을 분석하여 작가 개념이 제도적으로 정착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근대 작가의 탄생 과정에 있어 현상문예와 동인지 방식은 서로 상충되는 것이 아니라 연동의 과정을 함의한다. 동인지의 탄생 배경에는 현상문예의 방식이 근거로서 작용하고 있으며 이를 변형하고 확대하는 가운데 작가의 정의는 재정립되어 갔다고 할 수 있다. 현상문예는 공적 기제로서 매체를 활용하여 사회적 승인의 방식으로 작가를 배출한다. 또한 현상금을 부여하여 작가를 직업인으로 규정하는 한편 고선자의 문학적 권위를 이양하여 전문성을 부여한다. 한편 동인지 작가들은 배타적 논리로서 매체를 전유하고 이를 토대로 문학적 경쟁의 장에서 새로운 권위를 형성하고자 한다. 이들은 기존 문학 권력에 대항하면서 새로운 문학성을 통해 작가적 지위를 획득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근대적 작가 개념은 특정한 문학성을 재생산하는 과정 속에 지속적으로 만들어져 갔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process of the birth of the writer of the modern meaning in the change of the literary production environment leading from Literary contest to the literary coterie magazines in the late 1910‘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nalyz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rtist concept by analyzing the aspect of artist generation system that leads from “Chung-Choon” to “Chang-jo”. In the process of the birth of modern writers, Literary contest and literary coterie magazines methods do not conflict but mean the process of interlocking. The literary coterie magazines originated from the Literary contest, and transformed and enlarged it, and made the definition of the artist. Literary contes makes writers publicly through the media. It also give prize money to make a writer professionally. And gives expertise as authority of examiner. Literary coterie magazines writers appropriate the medium with exclusive logic. Based on this, they intend to form new power through literature competition. They want to become writers in new literature against the existing literary power. In this sense, the concept of modern writers has been consistently created in the process of reproducing specific literary powers
Keywords:
Literature system, writer, Literary contest, literary coterie magazines, Literature power키워드:
문학제도, 작가, 현상문예, 동인지, 문학권력참고문헌
1. 기초자료
- 『청춘』.
- 『창조』.
- 단행본.
- 김동인, 「문단30년의 자취」, 『김동인평론전집』(김치홍 편), 삼영사, 1984.
- 김윤식, 『김동인 연구』, 민음사, 1987.
- 차혜영, 『한국근대 문학제도와 소설양식의 형성』, 역락, 2004.
- 피에르 부르디외, 하태환 옮김, 『예술의 규칙』, 동문선, 1999.
- 지그프리트 슈미트 저, 박여성 옮김, 『구성주의 문학체계이론』, 책세상, 2004.
- 위르겐 하버마스, 한승완 역, 『공론장의 구조변동-부르주아 사회의 한 범주에 관한 연구』, 나남출판, 2001.
2. 논문
- 강용훈, 「“작가(作家)” 관련 개념의 변용 양상과 “작가론(作家論)”의 형성 과정 -1910년대~1930년대 중반 식민지 조선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2013, 207-238면.
- 구장률, 「사관에서 작가로 -1900년대 후반 개신유학자들의 소설 구상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2009, 65-101면.
- 김영민, 「근대 작가의 탄생: 근대 매체의 필자 표기 관행과 저작의 권리」, 현대문학의 연구, 2009, 7-38면.
- 김춘식, 『1920년대 동인지 문단의 미적 근대성』,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김화영, 「문학(文學)이라는 제도(制度)」, 『세계의 문학』, 1986.
- 라영균, 「문학장과 문학성」, 외국문학연구, 2004, 175-187면.
- 정영진, 『등단제도의 정착 과정과 근대문단의 형성 연구』, 인하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