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 No. 66, pp.445-478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7
Received 14 May 2017 Reviewed 08 Jun 2017 Accepted 10 Jun 2017 Revised 19 Jun 2017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7.06.66.445

在滿 조선인 중 · 단편소설에 나타난 ‘만주’의 표상 연구 : ≪싹트는 大地≫에 수록된 작품을 중심으로

張乃禹*
*中國, 蘇州大學韓國語學科, 副敎授
A Study on the “Manchuria” Image in the Novelettes and Short Stories of Manchuria Korean : Focused on the collection of works in Ssakteuneun Daeji
Zhang, Nai Yu*

초록

이 글은 재만 조선인 작품집 ≪싹트는 大地≫에 실린 중·단편 소설에 나타난 만주 표상에 대한 연구이다. ≪싹트는 대지≫는 만선일보사에서 발행한 재만 조선인 창작집이다. 안수길의 <새벽>, 신서야의 <추석>, 김창걸의 <암야> 등의 작품은 ‘전기 개척민의 생활을 그린 것’으로서 초기 이주민들의 수난사를 여실히 드러낸다. 재만 조선인들의 극한 궁핍과 비극적 삶을 애상적으로 보여주는 동시에 이주민들이 낯선 땅에서 겪은 고통과 부조리를 고발한다. 위 작품들에 나타난 만주는 고난과 궁핍으로 점철된 이주민들의 수난의 공간으로 표상된다.

한편 ≪싹트는 대지≫는 『만선일보』를 중심으로 성립된 소설집이기 때문에 그 성격은 『만선일보』의 국책적인 성격과 떼어놓을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그 소설에는 친일적인 성향이나 만주국의 치국이념에 부합하는 주제의식이 배어있을 수밖에 없다. 박영준의 <밀립의 여인>은 일제에 저항하는 공산비를 선무하는 과정을 보여주며, 한찬숙의 <초원>은 일제 침략을 정당화하여 민족협화의 이데올로기를 선전한다. 현경준의 <유맹>은 일제의 국책에 순응하여 ‘왕도낙토’를 건설하려는 통치이념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이 소설들에 나타난 만주는 시대적 현실에 순응해서 일제의 정책을 지원하는 ‘오족협화’의 공간으로 드러난다.

황건의 <제화>는 만주국을 절망과 혼돈의 공간으로 설정한다. 소설 속에서 희망을 품고 만주에 갔던 주인공은 ‘문화청년회’를 둘러싸고 친구와 갈등한다. 현실에 대한 절망과 허무의식으로 인해 자살을 결심하는 ‘나’를 통해 만주국 건국이념의 모순성과 허위성을 폭로하려 한다. 주인공이 견디기 힘든 현실에서 죽음에 가치를 부여하려 하는데, 이는 현실 도피 의식을 현시하는 지점이자 일제 건국이념의 허구성을 피력하려는 시도가 마침내 비관적 시각에 머물고 마는 계기이기도 하다.

≪싹트는 대지≫ 수록 소설에 나타난 ‘만주’는 ‘수난의 공간’이자 ‘오족협화’라는 이데올로기의 선전 장이며, 지식인의 도피의 공간이었다. 이와 같은 다층적 의미의 공존은 무엇보다 만주에 내재한 공간적 중층성, 즉 어떤 하나의 국가나 민족의 문화로 설명할 수 없는 ‘공간적’ ‘비식별역’으로서의 성격과 직접 연관된다. 아울러 친일성향의 국책문학이라는 평가를 비껴갈 수 없는 부분 또한 ‘심리적’ ‘비식별역’으로서의 재만 조선인 작가들의 의식의 다면성에 기인한 사실적인 현상이다.

Abstract

The paper studies the Manchuria image appearing in the novelettes and short stories that are embodied in the Manchuria Korean collection of works —— Ssakteuneun Daeji, which is published by Manseonilbo office. Some works, such as Saebyeok (Dawn) written by An Sugill; Chuseok () written by Sin Seoya; Amya (Dark Night) written by Gim Changgeol, depict the early lives of Korean immigrants, truthfully recording their rough time history. Besides restoring the extremely poor and tragic life of Manchuria Korean, these works also reveal the pain and unfair treatment people received in the strange land. Therefore, the “Manchuria” mentioned in the three works above has become a place where the poor Manchuria Korean had a hard time.

Meanwhile, Ssakteuneun Daeji is a collection of novels focusing on the novels published in the Manseonilbo office therefor, its quality is bound to be pro-Japanese. Serial novels in Ssakteuneun Daeji naturally are also pro-Japanese and cater to the theme of Manchuria’s idea of governing. Milimeui Yeoin (Woman in Jungle), written by Bak Yeongjun, describes the process of appeasing anti-Japanese armed fighters. “Manchuria” occurs in these novels has become a place where caters to reality and supports the Japan’s ruling idea of “Minjokyeopwa”.

However, Jehwa, written by Hwang Geon, describes Manchuria as a place full of despair and chaos. In the novel, the hero who cherishes hope when he enters Manchuria has an arguement with his friends about “cultural youth society”. The novel describes that “I” decide to kill “myself” because “I” am disappointed at the reality of life and feel unconscious, which reveals the contradiction and hypocrisy of Manchuria’s theory of state construction. The hero’s decision of ending his life in the unbearable reality reveals both the consciousness of escape from reality and the failed attempt to uncover the hypocrisy of Japanese empire ruling idea, which becomes the juncture to turn the novel to a tragedy.

In the novels collected in Ssakteuneun Daeji, Manchuria is a place of suffering, a place of propagandizing the ideology of OJokhyeophwa and it is also a place to escape for intellectuals. Such coexistence of multilayered meanings is closely related to the spatial overlap of Manchuria, a culturally and spatially “non-identified domain”. Ssakteuneun Daeji could not escape from the negative evaluation such as “pro-Japanese literature”, or “literature of national policy and propaganda”. Such phenomenon is the result of the multiple consciousness, in other words, “psychologically non-identified domain”, of Korean writers in Manchuria.

Keywords:

Ssakteuneun Daeji, the image of Manchuria, OJokhyeophwa, tough time history, unconscious

키워드:

≪싹트는 대지≫, 만주의 표상, 오족협화, 수난사, 허무의식

Reference

    1. 기본자료

    • 申瑩澈 編, ≪싹트는 大地≫, 滿鮮日報社出版部, 1941.
    • 김재용·허경진 편, 『만주기행문』, 보고사, 2010.
    • 민족문화연구소, 『일제말기 문인들의 만주체험』, 역락, 2007.
    • 민현기 편, 『한국유이민소설선집』, 계명대학교출판부, 1989.
    • 태학사편집부, 『한국근대단편소설대계』4, 태학사, 1988.
    • 『만선일보』(영인본)전5권(1939.12.1.~1940.9.30.), 아세아문화사, 1988.

    2. 단행본

    • 김윤식, 『안수길연구』, 정음사,1986.
    • 김장선, 『위만주국시기 조선인문학과 중국인문학의 비교연구』, 역락, 2004.
    • 김재용, 『재일본 및 재만주 친일문학의 논리』, 역락, 2004.
    • 김호웅, 『재만 조선인 문학연구』, 국학자료원, 1997.
    • 나병철, 『탈식민주의와 근대문학』, 문예출판사, 2004.
    • 송민호, 『일제말 암흑기문학연구』, 새문사, 1991.
    • 오양호, 『일제강점기 만주조선인 문학연구』, 문예출판사, 1996.
    • 이광일, 『해방 후 조선족 소설문학 연구』, 민족문제연구소, 2003.
    • 임종국, 『친일문학론』, 평화출판사, 1966.
    • 조진기, 『일제말기 국책과 체제순응의 문학』, 소명출판, 2010.
    • 채 훈, 『일제강점기 재만 한국문학연구』, 깊은샘, 1990.
    • 최원식, 『한국문학의 근대성을 다시 생각한다』, 창작과 비평, 1994.
    • 최일, 『조선현대작가들의 중국체험소설연구』, 연변대학교출판사, 1999.
    • 하정일, 『탈식민의 미학』, 소명출판, 2008.
    • 한수영, 『친일문학의 재인식--1937~1945년 간의 한국소설과 식민주의』, 소명출판, 2005.
    • 호미바바 저, 나병철 역, 『문화의 위치』, 소명출판, 2005.

    3. 논문

    • 김도형, 「식민지시기 재만 조선인의 삶과 기억-한말 일제하 한국인의 만주인식」, 『동방학지』 제144호,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32면, 2008.
    • 손유경, 「만주 개척 서사에 나타난 애도의 정치학」, 『현대소설연구』 제42호, 한국현대소설학회, 191〜227면, 2009.
    • 송현호, 「일제강점기 소설에 나타난 간도의 세 가지 양상」, 『한중인문학연구』 제24호, 中韓人文科學硏究會, 25〜45면, 2008.
    • 오상순, 「표면구조에서의 국책선전과 심층구조에서의 허구성 비판」, 『현대문학의 연구』 제36호, 한국문학연구학회, 87〜110면, 2008.
    • 이경훈, 「만주와 친일로맨티시즘」, 『한국근대문학연구』 제4호, 한국근대문학회, 92〜119면, 2003.
    • 이정숙, 「해방기 소설에 나타난 귀환의 양상 고찰」, 『현대소설연구』 제48호, 한국현대소설학회, 45〜76면, 2011.
    • 임명진, 「일제강점기 ‘재만한인소설(在滿韓人小說)’을 통해 본 ‘만주’의 문제」, 『현대소설연구』 제31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9〜51면, 2006.
    • 장춘식, 「재만 조선인문학을 보는 또 다른 시각」,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71집,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79〜297면, 2016.
    • 장현숙, 「현대소설에 나타난 만주체험」, 『아시아문화연구』 제14호,가천대학교아시아문화연구소, 201〜217면, 2008.
    • 정종현, 「근대문학에 나타난 ‘만주’ 표상」, 『한국문학연구』 제28집, 동국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229〜259면, 2005.
    • 조진기, 「만주이주민의 현실왜곡과 체제순응-현경준의 <마음의 琴線>에 대하여-」, 『현대소설연구』 제17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7〜227면, 2002.
    • 츠카세 스스무, 「근대에 있어서 만주의 문제」, 『만주연구』 제6집, 만주학회, 75〜85면,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