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68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68, pp. 37-68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7
Received 15 Nov 2017 Reviewed 10 Dec 2017 Accepted 15 Dec 2017 Revised 20 Dec 2017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7.12.68.37

1930년대 전반기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젠더와 한국문학사 : 이기영의 『고향』과 강경애의 『인간문제』를 중심으로
배상미*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수료

The Gender of Proletarian literature in the early 1930s and Korean Literature History
Bae, Sang-Mi*

초록

이 논문은 이기영의 『고향』과 강경애의 『인간문제』를 중심으로 한 1930년대 전반기 프롤레타리아 문학을 대상으로, 젠더의 시각에서 한국문학사를 재구성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여성 노동자들이 그녀들에게 부여된 다양한 사회적 규범들을 전유하고 때고는 그것들에 저항하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젠더를 중심으로 프롤레타리아 문학을 분석해보면 젠더에 따라 가족갈등에 대응하는 방식이 다르다는 점과, 여성의 계급갈등은 성폭력과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 가장 눈에 띈다. 전자는 『고향』을 통해 봉건적 가족 관계에 무비판적이고 수동적으로 순응하는 남성 지식인과, 공장 노동을 하면서 새로운 자아를 찾는 여성 노동자들의 대비로 나타난다. 후자는 『인간문제』를 통해 관념적으로 계급과 계급갈등을 이해하는 남성 지식인 및 남성 노동자와, 성폭력 피해를 경험하면서 계급이 노동현장 및 생활세계 모두를 구조화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존엄성을 지키며 살기 위해서라도 계급투쟁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체감하는 여성 노동자의 대비로 나타난다. 이 두 소설은 노동자들 사이의 차이에 따라 다양한 모순이 중첩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보면,젠더는 프롤레타리아 문학이 문학사에서 가지는 가치와 의의를 새롭게 구성하는 방법론이 될 만하다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proletarian fiction in the early 1930s, particularly Kohyang and Ingan munjae (From Wonso Pond) in order to recast Korean literary history. For this purpose, I analyze women worker characters who appropriate and resist social norms in these novels. When I reconstruct proletarian novels to focus on gender, two cases are often found: ways of responding to conflicts within the family differ according to gender, and conscious class struggle for many women originates from sexual harrassment. Kohyang represents the former by comparing a male intellectual who submits to the feudal family system without any critical perspective, whereas women laborers find new identities while working in the factory. Ingan munjae portrays the latter by contrasting a male intellectual and worker who understand class and class conflict abstractly, with a female worker who perceives class struggle as a way of recovering her dignity within the spaces of both everyday life and the working place stratified by class. Both novels describe how various contradictions overlap following the differences between laborers. Therefore, I propose that a gender perspective can be a productive methodology to newly articulate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proletarian novels in Korean literary history


Keywords: Gender, Korean Literature History, Kohyang, Inganmuge, Woman Worker, Family, Sexaul Harassment
키워드: 젠더, 한국문학사, 고향, 인간문제, 여성 노동자, 가족, 성폭력

참고문헌

1. 자료
1. 강경애, 최원식 편집, 『안간문제』, 문학과지성사, 2006.
2. 이기영, 이상경 편집, 『고향』, 문학과지성사, 2005.

2. 논문
3. 소영현, 「문학사의 젠더」, 『민족문학사연구』 56, 2014, 77-105면.
4. 장성규, 「한국 문학 “외부” 텍스트의 장르사회학: 서발턴 문학사 서술을 위한 시론적 문제제기」, 『현대문학이론연구』 64, 2016, 245-264면.
5. 장성규, 「식민지 시대 소설과 비문해자들의 문학사」, 『한국현대소설학회』 56, 2014, 497-522면.

3. 단행본
6. 강이수, 『한국 근현대 여성노동: 변화와 정체성』, 문화과학사, 2011.
7. 김경일, 『일제하 노동운동사』, 창작과비평사, 1992.
8. 김윤식·정호웅 편, 『한국 근대 리얼리즘 작가 연구』, 문학과지성사 1988.
9. 민족문학사연구소 엮음, 『새 민족문학사 강좌』 2, 창비, 2009.
10. 서울대학교 여성연구소 엮음, 『경계의 여성들: 한국 근대 여성사』, 한울, 2013.
11. 이상경, 『한국근대여성문학사론』 소명출판, 2002.
12. 이상경, 『강경애: 문학에서의 성과 계급』,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7.
13. 레오뽈디나 포르뚜나띠, 윤수종 옮김, 『재생산의 비밀』, 박종철출판사, 1997.
14. 루이스 A. 틸리·조앤 W. 스콧, 김영·박기남·장경선 옮김, 『여성, 노동, 가족』, 후마니타스, 2008.
15. E.P.톰슨, 나종일 외 옮김, 『영국 노동계급의 형성』 상·하, 창작과비평, 2000.
16. 주디스 버틀러, 조현준 옮김, 『젠더 트러블』, 문학동네, 2009.
17. 조르쥬 비가렐로, 이상해 옮김, 『강간의 역사』, 당대, 2001.
18. 칼 맑스·프리드리히 엥겔스, 최인호 역, 김세균 감수, 『칼 맑스/ 프리드리히엥겔스 저작 선집』 1권, 박종철출판사, 1991.
19. 캐롤 페이트만, 이충훈·유영근 옮김, 『남과 여, 은폐된 성적 계약』, 이후, 2001.
20. Judith Butler & Joan W. Scott ed., Feminists Theorize the Political, Routledge,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