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67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67, pp. 421-445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17
Received 05 Aug 2017 Reviewed 08 Sep 2017 Accepted 09 Sep 2017 Revised 18 Sep 2017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7.09.67.421

여성 인물의 운명과 소설 공간의 위계 : 「심문」과 「무진기행」의 비교 분석
최성윤*
*상지대학교 조교수

The Destiny of Female Characters and the Space Hierarchy in Korean Modern Novels : A Comparative Study of Sim-mun and Mujingihaeng
Choi, Sung-Yun*

Copyright Ⓒ 2017

초록

본 논문은 최명익의 1939년 작 「심문」과 김승옥의 1964년 작 「무진기행」을 비교하면서, 각 작품에 나타난 서술자의 성격, 여성 인물의 운명, 소설 공간의 위계적 특성을 살펴본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위와 관련된 공통점들을 기준으로 두 작품이 형성하는 텍스트의 계보적 질서를 밝히려 했다.

두 작품은 경계인적 성격의 소극적 남성 서술자를 내세웠다. 양쪽의 공간을 객관적으로 비교하고, 비극적 운명에 개입하는 대신 전락과 좌절의 과정을 냉정하게 관찰하는 역할을 부여하기 위해서이다.

서술자의 관찰을 통해 드러나는 것은 여성 인물이 지닌 욕망의 허구성이다. 여옥과 인숙은 명일과 희중을 통해 조선과 서울을 욕망한다. 그러나 남성 인물은 물론 대안적 공간 또한 모두 ‘지금과는 다른 삶’이라는 궁극적인 욕망의 대상을 매개하는 존재일 뿐이라는 점에서 “나비부인”을 방불케 하는 비극은 필연적인 숙명이다.

「무진기행」이 보여 주는 인숙의 절망은 당대 우리 국민의 집단무의식에 가까운 서울 지향의 욕망에 대해 재고하고 성찰하는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그에 비하면 「심문」의 여옥이 받아들여야 했던 비극적 숙명은 동북아 질서의 일부분에 불과한 만주와 조선의 이항대립적 인식이 좁은 시야에서 비롯된 것임을 깨닫게 한다. 식민 본국인 일본을 포함하여 거시적인 안목에서 보면 만주와 조선의 비대칭적 위계는 무의미해 보이는 것이다.

Abstract

This thesis compares Sim-mun(1939) by Choi, Myeong-Ik with Mujingihaeng(1964) by Kim, Seung-Ok. By comparison, I tried to examine the personality of narrators, the destiny of female characters and the space hierarchy in Korean modern novels.More specifically, I tried to make clear genealogy of two texts on the basis of common elements.

These two works put up a passive man with marginal personality as a narrator in order to compare two spaces objectively and to observe the process of downfall and frustration coolly instead of intervening in female character's tragic fate.

Such a narrator reveal the falsehood of female character's desire. Yeo-Ok and In-Sook desire Chosun and Seoul through Myeong-Il and Hee-Joong. But not only male character but also alternative space serve as a medium of the final desire, new life. That is the why Sim-mun and Mujingihaeng are destined to be tragedies reminiscent of Madame Butterfly.

Despair of In-Sook in Mujingihaeng makes readers reconsider and reflect on our Seoul-oriented desire similar to collective unconscious. On the other hand, tragic destiny of Yeo-Ok in Sim-mun makes readers realize that such a binary relativistic perception originate from narrow view, because Manchuria and Chosun are only one part of Northeast Asian Order. In terms of macroscopic view, involving Japan, asymmetric hierarchy of Manchuria and Chosun seems to be insignificant.


Keywords: Choi, Myeong-Ik, Kim, Seung-Ok, Sim-mun, Mujingihaeng, Madame Butterfly, Space hierarchy, Genealogy of Text
키워드: 최명익, 김승옥, 「심문」, 「무진기행」, ‘나비부인’, 공간의 위계, 텍스트의 계보

Reference
1. 김현, 「구원의 문학과 개인주의」, 『현대 한국문학의 이론/사회와 윤리』, 문학과지성사, 1991, 383-402면.
2. 명형대, 「무진기행의 환상적 공간구조」, 『한국문학논총』 3, 1980, 221-243면.
3. 박산향, 「「무진기행」의 체험공간과 장소정체성」, 『한어문교육』 32, 2015, 139-158면.
4. 신형철, 「여성을 여행하(지 않)는 문학 - 「무진기행」의 정신분석적 읽기」, 『한국근대문학연구』 5-2, 2004, 199-238면.
5. 오윤호, 「『심문』과 『무진기행』에 나타난 ‘남성 인물의 내적독백’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 15, 2002, 276-303면.
6. 이경분, 「일제시기 서양음악문화와 일본인의 영향」, 『음악논단』 25, 2011, 159-186면.
7. 이상만, 「한국음악백년 일화로 엮어 본 이면사(40) 첫 오페라 무대 ‘나비부인’」, 『경향신문』, 1986.8.7.
8. 정종현, 「근대문학에 나타난 ‘만주’ 표상 - ‘만주국’ 건국 이후의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 28, 2005, 229-259면.
9. 정호웅, 「한국 현대소설과 만주공간」, 『문학교육학』 7, 2001, 171-196면.
10. 최성윤, 「소설 교육과 텍스트의 계보 - 「패배자의 무덤」과 「별사」 함께 읽기」, 『현대문학이론연구』 54, 2013, 353-373면.
11. 최성윤, 「최명익, 「심문」의 인물 형상화와 만주 인식의 상관성 고찰」, 『현대소설연구』 55, 2014, 153-176면.
12. 황국명, 「여로형소설의 지형학적 논리와 「무진기행」」, 『한국현대소설과 서사전략』, 세종출판사, 2004, 152-17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