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67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67, pp. 5-30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17
Received 14 Jul 2017 Reviewed 08 Sep 2017 Accepted 09 Sep 2017 Revised 18 Sep 2017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7.09.67.5

문학이란 무엇인가 : 춘원의 삶과 문학을 중심으로
송현호*
*아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What is literature : focusing on the life and literature of Chunwon
Song, Hyun-Ho*

Copyright Ⓒ 2017

초록

본고는 춘원이 평화를 얻기 위해 어떻게 글쓰기를 했으며, 그에게 민족이나 문학은 무엇이었는지를 그의 삶과 연계시켜 살펴본 글이다. 문학이 무엇인가를 끊임없이 고민하고 천착했던 흔적은 그의 삶과 글에 잘 나타나 있으며, 그가 「文學이란 何오」에서 던진 ‘문학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은 문학의 위기가 끊임없이 논의되고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도 유효하다.

춘원은 제1차 일본 유학 중에 일본인들로부터 조선인이라는 이유로 억압받고 차별받고 멸시받으면서 자신과 조선인에 대해 되돌아보면서 글쓰기에 전념했다. 이 시기의 글 가운데 「혈누 - 희랍인 스팔타쿠스의 연설」, 「옥중호걸」, 「사랑인가」는 춘원의 당시의 행적과 생각을 읽을 수 있는 좋은 자료들이다. 이들에서 춘원은 자신과 철창에 갇힌 호랑이 그리고 로마의 검투사를 동일시하면서 자유롭고 평등하고 사랑받으려는 욕망을 글쓰기를 통해 표출하고 있다. 춘원은 자신의 상처받은 마음을 치유하기 위한 방편으로 글쓰기를 했을 가능성이 크다.

춘원은 오산학교 교사로 근무하면서 남강의 고향인 용동의 모범촌 건설에 헌신했다. 학교를 그만두고 블라디보스토크와 치타에 머물던 춘원은 억압당하고 불평등한 삶을 살고 있는 조선인 이주노동자들을 보고 농촌계몽운동이 필요함을 절감하며, 조선인의 해외 유출을 막을 수 있는 모범촌을 조성할 기획을 한다. 이 시기에 문학이란 무엇인가를 가장 고민하면서 쓴 글로는 「文學이란 何오」와 「무정」이 있다. 「文學이란 何오」에서 민족문학을 후대에 남기기 위해 글쓰기에 전념한 사실을 밝히고 있다. 춘원은 도산의 사상을 수용하여 「무정」을 발표하면서 제국주의와 맞서 싸울 수 있는 민족적 역량을 키우기 위해 애썼다.

1921년 4월 조선으로 귀환한 춘원은 글쓰기에 전념하여 수많은 글들을 신문과 잡지에 게재하였다. 춘원이 글쓰기에 전념한 이유는 ‘읽을 것을 가지지 못한’ 조선의 젊은이들을 염두에 두고 ‘조선인에게 읽혀지어 이익을 주려’ 하는 것이고, 자신이 소설을 쓰는 근본 동기가 ‘민족의식, 민족애의 고조, 민족운동의 기록, 검열관이 許하는 한도의 민족운동의 찬미’라고 밝히고 있다. 1938년 이전까지는 검열을 의식하여 자신의 민족의식을 애써 감추기도 하고 검열을 의식하고 집필했지만 연재가 중단되거나 출판 불허 판정을 받기도 하면서 민족담론의 글쓰기를 계속한다. 그런데 이 시기의 글에서는 민족담론은 발견할 수 있어도 국가담론을 발견하기는 어렵다. 임시 정부를 염두에 두고 국권 회복이나 독립에 대해 언급을 피했을 가능성도 있으나 조선에 정주하면서 검열을 의식하여 그렇게 했을 가능성도 있다.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how Chunwon wrote to be in peace and what the nation and literature meant to him, by associating those aspects with his life. Traces of his endless agony and pursuit are shown in his life and work; His question in What is Literature is relevant even today when crisis of literature is continuously discussed.

While he experienced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as a Korean during his first stay in Japan for his study, he focused on writing reflecting on himself and his identity as a Korean. During this time he wrote Tear of Blood: Speech of Spartacus, the Greek, Okjunghogeol and Is This Love?, through which one can take a glimpse of his life and thoughts at the time. In his works, Chunwon empathized himself with a tiger behind bars and a Roman gladiator to express his desire for freedom, equality and love. It is likely that Chunwon wrote to heal his broken heart.

As he worked as a teacher at Osan School, Chunwon was dedicated to building a model village in his hometown, Yong-dong. After he left the school, he stayed in Vladivostok and Chita, where he saw Korean immigrant workers who were oppressed and forced to continue unfair living. Chunwon realized dire need for enlightenment movement for rural communities and developed a plan to build a model village to prevent Korean labor force from leaving the country to make a living. What is Literature and Mujeong were written during this time when he seriously contemplated the significance of literature. In What is Literature, he speaks about his reason for writing, which is to bequeath the national literature to the next generation. Chunwon adopted Dosan's visions and published Mujeong. He committed himself to growing national competence to fight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In April, 1921, he returned to Korea, focused on writing again and published his works on newspapers and magazines. Chunwon focused on writing because he thought of young Koreans ‘who did not have things to read’ and wanted to ‘provide Korean with benefit through reading’. He said the reason why he wrote novels was to promote national consciousness, patriotism, recording of the national movement, praise on the national movement, but only to the extent that was allowed, and if he could, instigation. He said it was not only his past but also throughout his whole life. Until 1938, he was much concerned for the censorship so that he tried to hide his national consciousness in his work, yet he had to stop publish serial stories or some of his works was not allowed for publishing. But he continued to write the discourse on nation. While the discourse on nation was found in his writing at the time, the discourse on country was not easily found. It is possible that he intentionally avoided comment on recovery of the national sovereignty or independence consider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he was conscious of censorship during his stay in Korea.


Keywords: peace, immigration, independence, national consciousness, writing
키워드: 평화, 이주, 독립, 민족의식, 글쓰기

Reference

1. 자료
1. 「사랑인가」, 『문학사상』, 1981.2, 445면.
2. 『이광수 전집』 1-10, 우신사, 1979.
3. 『이광수 전집』 별권, 우신사, 1979.

2. 단행본
4. 김용직, 『시각과 해석-한국현대시 이렇게 본다』, 2014.
5. 김원모, 『영마루의 구름』, 단국대출판부, 2009.
6. 김원모, 『자유꽃이 피리라』, 철학과현실사, 2015.
7. 김윤식, 『이광수와 그의 시대』 ①, 한길사, 1986.
8. 김윤식, 『이광수와 그의 시대』 ②, 한길사, 1986.
9. 김윤식, 『이광수와 그의 시대』 ③, 한길사, 1986.
10. 류보선, 『한국문학의 유령들』, 문학동네, 2012.
11. 마샬 맥루언, 박정규 역, 『미디어의 이해』, 박영률출판사, 1997.
12. 송현호, 『한국현대문학의 이주담론 연구』, 태학사, 2017.
13. 이재선, 『한국현대소설사』, 홍성사, 1984.
14. 하타노 세츠코, 『이광수, 일본을 만나다』, 최주한 역, 푸른역사, 2016.
15. 한계전 박호영 송현호, 『문학의 이해』, 민지사, 1987.
16. Jacques-Marie-Émile Lacan, Livre XXIII: Le sinthome 1975-1976. Paris:Seuil, 2005.

3. 논문
17. 방민호, 「무정 독해의 국면들과 무정·유정의 사상」, 『춘원연구학보』 10, 2017.6, 43-68면.
18. 서영채, 「한국 근대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양상과 의미에 관한 연구」, 서울대박사학위논문, 2002.
19. 서은혜, 「이광수의 상해 시베리아행과 유정의 자서전적 텍스트성」, 『춘원연구학보』 9, 2016.12, 223-256면.
20. 서은혜, 「이광수 소설의 ‘암시된 저자’ 연구」, 서울대박사학위논문, 224면.
21. 송현호, 「「무정」의 이주담론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현대소설연구』 65, 2017, 111면.
22. 송현호, 「「삼봉이네 집」에 나타난 이주담론의 인문학적 연구」, 『춘원연구학보 』 9, 2016.12, 165-188면.
23. 송현호, 「영상매체의 발전과 소설의 변화」, 『현대소설연구』 11, 1999, 27-42면.
24. 송현호, 「춘원의 「사랑인가」에 나타난 이주담론의 인문학적 연구」, 『한국학보 』, 2017.2, 3-29면.
25. 송현호, 「춘원의 이주담론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 『한중인문학연구』 51, 2016.6, 23-42면.
26. 송현호, 「한국근대소설론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89.1.
27. 송현호, 「한국현대문학에 나타난 이주담론의 인문학적 연구」, 『제4회 세계인문.
28. 학포럼 희망의 인문학 프로그램북』, 2016.10, 726-735면.
29. 윤홍로, 「「흙」과 민족갱생력」, 『춘원연구학보』 2, 2009, 53-55면.
30. 윤홍로, 「춘원의 용동체험과 글짓기 과정」, 『춘원연구학보』 3, 2010, 9-69면.
31. 윤흥로, 「이광수의 치따에서의 체험과 그의 작품배경」, 『어문연구』 105,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0. 3, 219-235면.
32. 이언홍, 「「유정」에 나타난 이주와 ‘정(情)의 연구」, 『춘원연구학보』 8, 2015, 109-134면.
33. 이재선, 「이광수 문학론의 원천과 형성」, 『춘원연구학보』 4호, 2011, 12-24면.
34. 장미영, 「소설과 미디어콘텐츠의 상호매체성」, 『국어문학』 52, 2012, 266면.
35. 최선호, 「「무정」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의식」, 『춘원연구학보』 8, 2015, 83-10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