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66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 No. 66, pp. 337-382
Abbreviation: JKFR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7
Received 25 May 2017 Reviewed 08 Jun 2017 Accepted 10 Jun 2017 Revised 19 Jun 2017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7.06.66.337

강경애 문학의 국제주의의 원천으로서의 만주 체험: 북만 해림 체험을 중심으로
이상경*
*KAIST 인문사회과학부 교수, 한국문학

Kang Kyeong-ae’s Experience in Manchuria : The source of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Lee, Sang-Kyung*

초록

강경애의 문학 수업 기간 중 1920년대 후반의 습작기, 즉 간도 용정으로 이주하기 이전의 강경애의 만주 체험 여부, 그리고 그 체험의 내용과 성격 여하는 강경애의 독특한 작가의식 형성 과정의 경로를 밝히는 데 중요할 뿐 아니라 강경애가 김좌진 장군 암살 사건에 연관된 김봉환(金奉煥/金鳳煥, 1897?〜1930)이란 인물과 관계가 있었다는 한국사학계 일부의 회고와 그에 바탕한 기록의 오류를 밝히는 데도 필요한 일이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강경애가 작가로 등단하기 이전의 수업 기간인 1926년 9월〜1929년 5월의 행적에 대한 논란을 정리하고 그 행적의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1920년대 후반의 습작기에 강경애가 만주에 있으면서 1930년 발생한 김좌진 장군 암살 사건에 연관되어 있었다는 논란이 있는데 강경애의 소설 수필 등의 작품과 당시의 신문, 잡지의 기사, 후대인의 회고와 최근 발굴한 『여성조선』(1933.1)의 기사 「여성사전」을 함께 분석해 보니 강경애는 1927〜1928년 2년간 북만 지역인 중국 길림성 해림시에서 교원 노릇을 하고 1929년에 장연으로 돌아와 1931년 6월까지 장연에 있었다. 또한 강경애가 ‘『신민보』 사건’을 포함하여 ‘암살 사건’에 연루되었다고 하는 주장은 한족총련 관련자들, 특히 이강훈의 착종된 기억과 회고가 특정 의도에 의해 윤색된 상태에서 ‘독립운동사’로 기록됨으로써 ‘역사적 사실’로 되고 그렇게 만들어진 사실을 바탕으로 다시 기억이 재구성되고 있었다.

강경애가 교원으로 2년간 머물렀던 시기의 북만 해림은 조선공산당 만주총국이 세력을 넓히면서 신민부 중심의 민족주의자들과 대립하고 있던 곳으로, 이곳에서 강경애는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를 인식하고 이후 작품 활동에서 그러한 인식을 지속적으로 내보이게 되었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controversy surrounding Kang Kyeong-ae’s whereabouts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1926 to May 1929, when she was preparing her debut as a writer, and uncover the actual facts. The question of whether Kang Kyeong-ae had any experience of life in Manchuria before she moved to Longjing, Jiandao after her marriage in June 1931, as well as the content and nature of her experiences, is intrinsically connected to the process by which her unique identity as a writer was formed. Moreover, these facts are necessary to reveal the falsehood in the claim made by some historians that she was implicated in the assassination of General Kim Chwa-chin, which occurred on January 24th,1930.

The controversy surrounding Kang Kyeong-ae’s experiences in Manchuria arose in 2005 when she was selected as a ‘Cultural Figure of the Month’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This led to criticism of her selection, based on the memoir of independence activist Lee Gang-hun, which alleged that she was connected to the assassination of General Kim Chwa-chin in January 1930.

Regarding this controversy, this study analyzes the novels and essays of Kang Kyeong-ae, newspaper and magazine articles from the era, recollections from later generations, and the recently uncovered article “Yeoseong Sajeon” (Women’s Dictionary) in Yeoseong Joseon (Jan. 1933), to prove that Kang Kyeong-ae worked as a teacher in Hailin Shi, Jilin Sheng, Northern China from 1927 to 1928 and returned to Jangyeon in 1929, where she remained until June 1931. These whereabouts of Kang Kyeong-ae have been compared against historical records regarding the assassination of General Kim Chwa-chin, including records of the Shinminbo incident, to make it clear that Kang Kyeong-ae could not have had any connection to the assassination of General Kim Chwa-chin.

Kang Kyeong-ae’s experiences in Hailin in northern China became the source of the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inherent in her literature.


Keywords: Kang Kyeong-ae, Experience in Manchuria, Experience in Hailin,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the assassination of General Kim Chwa-chin, Shinminbo, Lee Gang-hun, Kim Bong-Hwan
키워드: 만주 체험, 해림(海林) 체험,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김좌진(金佐鎭) 암살 사건, 『신민보』, 이강훈(李康勳), 김봉환(金奉煥)

Reference

1. 자료
1. 「흥풍회 경영 남녀야학 성황 그 중에도 여자부」, 『동아일보』 1925.10.30.
2. 「흥풍회 경영 남녀야학 성황 그 중에도 여자부」, 『동아일보』 1925.10.30.
3. 「하얼빈 일본영사관 신민부원 다수 검거」, 동아일보 1927.3.10.
4. 「장연 근우지회 야유」, 『동아일보』 1929.6.17.
5. 「신민부의 수령 김좌진 피살설」, 『중외일보』 1930.2.9.
6. 「흉보를 확전(確傳)하는 백야 김좌진 부음」, 『동아일보』 1930.2.13.
7. 「위성(威成),진공목(陳公木)이 북만 14개현을 조사한 후 정리한 보고, 1930년 5월 18일」, 동북지역조선인항일력사사료집 편찬위원회 편, 『동북지역조선인항일력사사료집 (제1권)』, 木丹江: 흑룡강 조선민족출판사, 2004.
8. 「북만주를 진동케 한 산시 김좌진 씨 사건 (자유연합신문에서)」, 『신한민보』 1930.7.24.
9. 김경재, 「최근의 북만 정세, 동란의 간도에서(속)」, 『삼천리』, 1932.7.1.
10. 「여인사전」, 『여성조선』 제29호, 1933.1.
11. 최정희, 「여류작가 군상」, 『예술조선』 2, 1948.1.
12. 「不穩新聞 「新民報」 記事に 關 スル件」, 『朝保秘 第463号』 1926.6.23.
13. 「新民府 幹部 崔昌益 取調 狀況に 關 スル件」, 『京鍾警高秘 第12939号ノ1』 1925.11.10.
14. 「新民府機關紙「新民報」ノ記事ニ關スル件」, 『哈派 第193號』, 1926.9.7.
15. 「韓族總聯合會ノ現狀及同會規約, 保安條例幷ニ地方農務協規定ニ關スル件」, 『 外務城 - 滿洲ノ部』 SP. 205-4, 12885〜12886, 1930.2.8.
16. 「不逞鮮人刊行物 「奪還」 金左鎭に關する 記事 - 『奪還』 1930年 4月 20日 發行 第9号 譯文」, 『外務城 警察史 - 滿洲の 部』 SP. 205-4, 12977.
17. 신민부원 생존자 일동, <신민부의 약사>(1954년 4월 기록), 최홍규, 「발굴사료소개3 - 20년대 북만주 항일독립운동의 증언」, 『자유공론』 1982.7.
18. 양환준, 「20년대 후기 재만 조선공산당인들의 활동」, 정협 연변조선족자치주위원회 연변문사자료위원회 편, 『연변문사자료 4』, 1986.
19. 이강훈, 「김좌진 장군의 생애」, 『나라사랑』 41, 1981.12.
20. 이강훈, 『항일독립운동사』, 정음사, 1977.
21. 이강훈, 「공산당에 암살 당한 김좌진 장군의 최후」, 『북한』 1984.6.
22. 이강훈, 「내가 밝혀야 할 두 악한」, 『광복지(光復誌)』, 1992.
23. 이강훈, 『민족해방운동과 나』, 제삼기획, 1994.
24. 이을규, 『시야 김종진 선생 전』, 한흥인쇄소, 1963.5.
25. 이이녕, 『민족반세기사 - 일제하 36년 독립운동실록 17 - 최후의 광란』,동도문화사, 1984.
26. 이이녕, 『실록 소설, 암살지령 <장쭤린과 김좌진 장군 암살 사건> 배신과 음모, 추악한 일본인들』, 대한교육문화원, 2016.
27. 이정식 면담 김학준 해설, 『혁명가들의 항일회상』, 민음사, 1988.
28. 임강, <북만신민부 - 1925년 3월〜1928년 8월> (1945년 12월 기록). 최홍규, 「발굴사료 소개 2- 20년대 북만주 항일독립운동의 증언」, 『자유공론』 1982.6.

2. 연구 논문
29. 김헌순, 「강경애론」, 조선작가동맹 편, 『현대작가론』 1, 조선작가동맹출판사, 1961. 291〜340면.
30. 신규수, 「구영필의 독립 활동과 친일 논란」, 『역사와 사회』 37, 2007, 31〜56면.
31. 오동룡, 「<의혹 추적> 문화부는 왜 ‘이 달의 문화인물’에 프로문학가 강경애를 선정했나 = “소설가 강경애는 김좌진 장군 암살 교사범의 동거녀”(전 광복회장 이강훈 옹의 회고)」, 『월간 조선』 2005. 2.
32. 오동룡, 「일본 외무성 외교사료관 문서 입수 - 최종 확인 - 김좌진 암살범은 고려공산청년회 김신준(金信俊) = ‘하얼빈 일본총영사관의 배후 조종설’은 확인 안 돼」, 『월간조선』 2007. 10.
33. 유문선, 「카프 작가와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민족문학사연구』 24, 2004, 331〜356면.
34. 임순득, 「≪인간문제≫를 읽고–간단한 약력 소개를 겸하여」, 『문학예술』 1949.8.
35. 최유학, 「강경애 문학에 나타난 초민족적 계급연대의식 연구」, Journal of Korean Culture 35, 2016.11, 183〜210면.

3. 연구 논저
36. 박환, 『만주벌의 영웅 김좌진』, 도서출판 선인, 2016.
37. 이규희, 『강경애 연구 - 빛과 어둠의 절규』, 이화여대 대학원, 1974.
38. 이성호, 『영고탑(寧古塔) 가는 길』, 동천문학사, 2015.
39. 이상경 엮음, 『수정 증보 강경애전집』, 소명출판, 2002.
40. 이상경, 『3월의 문화 인물 강경애』, 문화관광부, 2005.
41. 채훈, 『일제강점기 재만 한국문학연구』, 깊은 샘, 1990.
42. 최학송, 『‘만주’ 체험과 강경애 문학』, 인하대하교 국어국문학과 석사 논문, 20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