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65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 No. 65, pp. 5-38
Abbreviation: JKFR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Mar 2017
Received 31 Jan 2017 Reviewed 27 Feb 2017 Accepted 04 Mar 2017 Revised 10 Mar 2016
DOI: https://doi.org/10.20483/JKFR.2017.03.65.5

이광수의 지리적 상상력과 세계인식 : 이광수의 초기 장편 4편을 대상으로
권은**
**한국교통대학교 한국어문학과 조교수

Lee Gwang-soo’s geographical imaginary and Weltanschauung
Kwon, Eun**
Funding Information ▼

초록

본 논문은 이광수의 초기 장편 4편인 『무정』, 『재생』, 『흙』, 『유정』을 중심으로, 그의 문학세계에서 나타나는 공간지평과 지리적 상상력의 양상을 살피고, 이를 통해 드러나는 작가의 역사인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해당 텍스트에서 공간지표를 추출한 후 언급횟수가 높은 장소들을 지도에 표시한 후에 각 공간 간의 역학 관계를 서사와의 관련 속에서 분석하였다.

이광수의 소설은 하나의 고정된 장소에서 전개되지 않으며, 역사적 시기와 작가가 처한 상황 그리고 작품의 주제의식에 따라 작품 속 공간의 성격은 마치 살아있는 유기체처럼 변화무쌍하게 변모한다. 이는 춘원의 지리적 체험이 동시대 다른 작가들과는 근본적으로 차별화되었기 때문이다. 그는 동경 유학과 대륙 방랑, 북경ㆍ상해 체류 등을 통해 동아시아 일대를 몸소 체험하고 그것을 자신의 문학세계에 반영하였다.

『무정』은 ‘평양-경성-동경-(미국)’의 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간적 역학의 관점에서 보면, 『무정』은 경성에 있던 인물들이 과거지향의 평양과 미래지향의 동경(그리고 미국) 중에서 어디로 향해 나아가야 할 것인가라는 질문의 답을 찾아가는 여정이라 할 수 있다. 특이한 것은 해외유학을 떠나려는 형식 일행을 가로막는 것이 ‘삼랑진의 수해’라는 것이다. 그들이 해외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현해탄 등의 ‘외부경계’는 거의 드러나지 않으며, 삼랑진의 수해가 일종의 ‘내부경계’로서 기능하고 있다.

『재생』에서는 ‘감옥’과 같은 폐쇄된 공간이 야기하는 긴장감이 두드러진다. 상해는 ‘3ㆍ1운동’ 이후 식민지 조선이 타락하게 된 가장 근원적인 원인으로 제시된다. 상해의 모습이 직접 언급되거나 중심인물들이 이동하지는 않지만, 『재생』에서는 가장 중요한 서사적 역할을 담당한다.

『흙』은 표면적으로는 ‘서울/살여울’의 식민지 내의 대립관계를 보여주지만, 심층적으로는 ‘동경-서울-살여울-검불랑’ 등의 점층적인 관계망을 보여주며, 일본 제국의 승인을 받은 식민지 엘리트인 허숭은 이러한 제국-식민지의 공간적 위계를 확인하고 그 간극을 줄이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유정』에서의 공간지평은 광범위하고 언급되는 지명도 다채롭다. 경성, 동경, 시베리아, 바이칼, 하얼빈, 이르쿠츠크 순으로 언급된다. 기존의 작품들에서 특정 장소가 집중적으로 언급되었던 것과는 달리, 『유정』에서는 여러 지명들이 골고루 언급된다. 이는 마치 조선, 일본, 만주, 중국까지가 하나의 통합된 공간으로 연결된 듯한 느낌을 준다. 『유정』은 제국 일본에 의해 일본-조선-만주가 하나의 공간으로 통합되면서 현실화될 수 있었던 작품이었다.

Abstract

This thesis centers on four early novels of Lee Gwang-soo - Heartlessness, Regeneration, Soil, and Heartedness. The thesis studies the aspects of the geographical imagination of the author’s literacy world and examines his revealed historical perception and transforming process of worldview.

For this examination, the study extracted the place names from the texts and analyzed narrative in relevant to the relation of dynamics between each space after marking the place of high frequency on the map and determined the size of circle depending on the frequency. The geographical concept of internal/external border, real space, projected space and etc. were used for analysis.

Lee Gwang-soo’s novel does not develop in a fixed place, and the character of space in work varies according to the historical period, the situation, and subject consciousness of work because his geographical experience wa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other contemporary authors since he personally experienced East Asia region through studying aboard in Tokyo, traveling to china, and stay in Beijing and Shanghai, and reflected it in his literacy world.

Heartlessness is composed of the axis of ‘Pyoungyang- Kyungsung – Tokyo –(USA)’ From the perspective of spatial dynamics, Heartlessness is a journey to find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where the characters in Kyungsung should go from past-oriented Pyongyang and future-oriented Tokyo (and USA). What is unique about this work is that it is the flood at Samrangjin that blocks people who are going to go aboard. In this work, the ‘external boarder’ is hardly exposed, and the flood of Samrangjin functions as a kind of ‘internal border’.

In Regeneration, There is a noticeable tension caused by a closed space like ‘prison’. Shanghai is presented as the most fundamental cause of fallen of the colonial Joseon after 3ㆍ1 Movement. Shanghai is not directly mentioned, or the central figures do not move, but plays the most important narrative role in Regeneration.

Soil shows the opposition within the colony of Seoul/Salyeol on the surface, but in the depths it shows a gradated relationship of Tokyo, Seoul, Salyeol, and Gumbulang etc. The colonial elite who was approved by the Japanese Empire such as Hurong etc. played a role in reducing the spatial gap and helping Japan and Korea to become one unified space.

The space horizons in Heartedness are diverse and variously mentioned. It is mentioned in the order of Seoul, Tokyo, Siberia, Baikal, Harbin, and Irkutsk, Contrary to the fact that specific places were mentioned intensively in existing works, several names are mentioned evenly in Heartedness which it gives the impression that Joseon, Japan, Manchuria, and the China are linked together into a unified place. Heartedness can be understood as a narrative to confirm the extent to which it can reach the continent centering on Tokyo.


Keywords: geocriticism, mapping, distant reading, internal border, external border, imaginative geography
키워드: 지리비평, 지도그리기, 멀리서 읽기, 내부경계, 외부경계, 심상지리

Acknowledgments

* 2016년 한국교통대학교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음.


Reference

1. 1차 문헌
1. 이광수, 『춘원이광수전집』, 삼중당, 1962〜3.

2. 단행본 및 논문
2. 김윤식, 『이광수와 그의 시대』 3, 한길사, 1986, 817-8면 참조.
3. 박태원, 『약산과 의열단』, 깊은샘, 2000, 184-6면.
4. 베네딕트 앤더슨/윤형숙 역, 『상상의 공동체』, 나남, 2002, 55면.
5. 빌 애쉬크로프트/이석호 역, 『포스트 콜로니얼 문학이론』, 민음사, 1996, 17면.
6. 사에구사 도시카쓰/심원섭 역, 『사에구사 교수의 한국문학 연구』, 베틀북, 2000, 152면.
7. 서영채, 『아첨의 영웅주의: 최남선과 이광수』, 소명출판, 2011.
8. 와다 토모미, 『이광수 장편소설 연구』, 예옥, 2014, 34면.
9. 최주한, 『제국 권력에의 야망과 반감 사이에서』, 소명출판, 2005, 23면, 46면.
10. 프랑코 모레티/성은애 역, 『세상의 이치』, 문학동네, 2005, 45면.
11. 하타노 세츠코/최주한 역, 『무정을 읽는다』, 소명출판, 2008, 260면.
12. 김백영ㆍ조정우, 「제국 일본의 선만(鮮滿) 공식 관광루트와 관광안내서」, 『일본역사연구』 제39권, 2014, 42면.
13. 김병구, 「이광수의 “무정”론-식민지적 정신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24집, 2004, 285면.
14. 서은혜, 「이광수의 상해·시베리아행과 ‘유정’의 자서전적 텍스트성」, 『춘원연구학보』 제9호, 2016, 247면.
15. 우미영, 「동도(東度)의 욕망과 동경(東京)이라는 장소」, 『정신문화연구』 30권 4호, 2007, 108면.
16. 윤홍로, 「춘원 이광수와 ‘유정’의 세계」, 『춘원연구학보』 제1호, 2008, 164면.
17. 이선영, 「“흙”의 서사와 그 의미」, 『춘원 이광수 문학연구』, 국학자료원, 1994, 64면.
18. 이철호, 「황홀과 비하, 한국 교양소설의 두 가지 표정」, 『센티멘탈 이광수』, 소명출판, 2013, 208면.
19. 임보람, 「‘유정’에 드러난 사랑과 욕망의 문제 연구」, 『우리말글』 제69집, 2016, 246면.
20. 정옥경, 「시베리아ㆍ일본 관계 연구」, 한국시베리아연구 1호, 1996, 159-160면 참조.
21. 정종현, 「한국 근대소설과 ‘평양’이라는 로컬리티」, 『사이』 4권, 2008, 102면.
22. 정주아, 「심상지리의 외부, ‘불확실성의 심연’ 과 문학적 공간」, 『어문연구』 41권 2호, 2003, 270면.
23. 정주아, 『한국 근대 서북문인의 로컬리티와 보편지향성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논문, 2012, 50면.
24. 정혜영, 「과학과 엽기, 그 사이에서-탐정소설 <염마>와 <수평선 너머로>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72권, 2010, 413면.
25. 한승옥, 「이광수 소설 공간에 투영된 작가의식 연구」, 『한중인문학연구』 12권, 2004, 14면.
26. 홍혜원, 「“재생”에 나타난 멜로드라마적 양식」, 『한국근대문학연구』 제5권 제2호, 2004, 67면.

3. 외국 원서
27. Jockers, Matthew L., Macroanalysis: Digital Methods and Literary History,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13, p.23.
28. Moretti, Franco, Atlas of the European Novel 1800-1900, Verso, 1998, p.70.
29. Robert T. Tally Jr. Spatiality, Routledge, 2013, p.91.
30. Westphal, Bertrand/Tally, Robert T., Jr.(TRN), Geocriticism-Real and Fictional Spaces, Palgrave Macmillan, 2015, p.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