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91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91, pp. 535-567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3
Received 14 Aug 2023 Revised 08 Sep 2023 Accepted 08 Sep 2023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3.09.91.535

최정희의 해방기 소설에 나타난 ‘독립/해방’의 의미
차진화*
*서울시립대 국어국문학과 박사 수료

The meaning of 'independence/liberation' in Choi Jung-hee's liberation novel
Cha, Jin-hwa*

초록

이 글은 최정희의 해방기 소설에 나타난 독립/해방의 의미가 민족 광복에 국한된 것이 아닌 광복 주체의 서로 다른 기대와 사상 경사의 표지로 작용하는 점을 살펴보고자 했다. 독립/해방의 나란한 배치는 최정희의 표현에 따른 것으로, 두 개념이 양산하는 담론은 서로 다르지만, 해방기를 일제식민지기와의 연장선에서 파악할 때 광복 주체들이 겪는 일상의 고초를 구조적 문제로 파악할 수 있다. 최정희의 독립/해방에 대한 관심은 학창 시절의 영향 관계에서 비롯하여 등단 초기부터 꾸준히 초점화되었던 것으로 단순한 포즈라고 말할 수 없다. 해방기 소설은 지배 권력과 이에 맞서는 주체의 대립적 구도라기보다 지배 권력에 의해 해방기에 걸었던 기대가 좌절되는 주체들을 재현하면서 일말의 기대에 대한 가능성을 해방공간이 갖는 가능성으로서의 상징 속에 배치하고 있는 것과 같다. 이는 사상적 경사를 넘어 구체적 삶 한가운데에 있는 독립/해방의 의미를 찾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Abstract

This article attempted to examine the fact that the meaning of independence/liberation in Choi Jung-hee's liberation period novel is not limited to national liberation, but acts as a cover for the different expectations and ideological inclinations of the liberation subject. The parallel arrangement of independence/liberation is based on Choi Jung-hee's expression, and although the discourse produced by the two concepts is different, the daily struggles experienced by the liberation subjects can be identified as structural problems when grasping the liberation period as an extension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hoi Jung-hee's interest in independence/liberation has been steadily focused since the beginning of her debut, including the influence of her school days, and it cannot be said to be a simple pose. The novel of the liberation period is like placing the possibility of a certain expectation in the symbol of the liberation space, recreating the subjects whose expectations were put on the liberation period by the dominant power rather than the confrontational structure of the dominant power and the subject against it. This can be evaluated as looking for the meaning of independence/liberation in the middle of a concrete life beyond the ideological slope.


Keywords: Choi Jeong-hee, liberation period novel, independence/liberation, land reform act, Establishment of South Korea's Independent Government
키워드: 최정희, 해방기 소설, 독립/해방, 삼분병작제, 남한단독정부수립

참고문헌 1. 기본자료
1. 최정희, 「朝鮮女性運動의 發展過程」, 『만국부인』, 삼천리사, 1931.11.
2. 최정희, 「暴風에 쏠니는 나의 故鄕」, 『삼천리』, 삼천리사, 1931.12.
3. 최정희, 「남포燈」, 『문학타임즈』, 1933.2.
4. 최정희, 「人脈」, 『문장』, 문장사, 1940.4.
5. 최정희, 「봉수와 그 家族」, 『민성』 3권 5~6호, 고려문화사, 1947.7.
6. 최정희, 「占禮」, 『문화』, 1947.7.
7. 최정희, 「風流잽히는 마을」, 『백민』, 백민문화사, 1947.8~9.
8. 최정희, 「꽃 피는 季節」, 『새한민보』, 1947.11. 상순호.
9. 최정희, 「淸涼里역 근처」, 『백민』, 백민문화사, 1948.1.
10. 최정희, 「우물치는 風景」, 『신세대』, 신세대사, 1948.2~5.
11. 최정희, 「靑塔이 서 있는 洞里」, 『부인』, 부인사, 1949.1, 3, 4, 7월호.
12. 최정희, 「비탈길」, 『문예』, 문예사, 1949.8~9.
13. 최정희, 『風流잡히는 마을』, 아문각, 1949.7.
14. 최정희, 「나의 문학 소녀시절」, 『동아일보』, 1958.7.2.
15. 최정희, 「처음 밝히는 나의 과거」, 『한국문학가 수기전집』, 평화문화사, 1971.

2. 단행본
16. 강준만, 『한국현대사 산책 1940년대 편 2권』, 인물과 사상사, 2005.
17. 김복순, 『나는 여자다-방법으로서의 젠더』, 소명출판, 2012.
18. 김윤식, 「인형의식의 파멸」, 『한국문학사 논고』, 법문사, 1973.
19. 김재철, 「各地에 닐어나는 傾向劇」, 『조선연극사』, 학예사, 1970.
20. 이혜숙, 『미군정기 지배구조와 한국사회』, 선인, 2008.
21. 정병준,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 광복 직전 독립운동세력의 동향』, 한국독립운동사 편찬 위원회, 2008.
22. 조병무, 「최정희론」, 『탑돌이』, 범우사, 1974.
23. 최정희, 편집부 엮음, 「가난과 눈물의 시대를 이겨내고」, 『이야기여성사 2』, 여성신문사, 2000.
24. 가야트리 차크라보르티 스피박 외(태혜숙 역), 로절린드 C.모리스 엮음, 『서발턴은 말 할 수 있는가』, 그린비, 2019.

3. 논문 및 평문
25. 강혜경, 「숙명여고보 맹휴사건으로 본 식민지 여성교육」, 『한국독립운동사연구』 37,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0, 265~305면.
26. 곽종원, 「최정희론」, 『문예』 1, 문예사, 1949.8.
27. 김기훈, 「한국민족주의운동의 이념적 분화」,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28. 김민수, 「해방전후의 역사적 전환과 문학적 인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22.
29. 김연숙, 「사회주의 사상의 수용과 여성작가의 정체성」, 『어문연구』 33권 4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 333~356면.
30. 김옥엽, 「연애결혼비화」, 『신여성』 7, 1933.1.1. 100~102면.
31. 류진희, 「해방기(1945~1948) 감정의 전환과 젠더 동학-여성작가의 소설을 중심으로」, 『구보학보』 28, 구보학회, 2021, 431~459면.
32. 박정애, 「최정희 소설에 나타난 여성적 글쓰기의 특성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33. 박죽심, 「최정희 문학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
34. 방민호, 「1930년대 후반 최정희 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의미」, 『한국현대소설연구』 30, 한국현대소설학회, 2006, 61~92면.
35. 배상미,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넘어서려는 연합적 정치들: 해방기 최정희 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49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20, 63~90면.
36. 백철, 「여류문학의 현상, 최근 작품을 중심하야」, 『중앙신문』, 1947.9.28.
37. 백철, 「현상은 타개될 것인가(6)」, 『경향신문』, 1949.1.12.
38. 백철, 「분산 경향과 세부의 과잉」, 『민성』 5(통권 38), 1949.9.
39. 신영희, 「식민지 조선에서의 징병제와 군국 모성; 최정희의 1940~1945 작품을 매개로」, 『대동문화연구』 59,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07, 403~441면.
40. 심진경, 「최정희 문학의 여성성-여성작가로 산다는 것」, 『한국근대문학연구』 13, 한국근대문학회, 2006, 93~120면.
41. 유수춘, 「조선현대문예사조론」, 『조선일보』, 1933.1.3~5.
42. 이동복, 「815는 아직 ‘광복’의 날이 아니다-‘통일’까지는 ‘해방’과 ‘독립기념일’로 기념하자!」, 『월간군사』 8, 월간군사저널, 2021, 8~10면.
43. 이미리, 「최정희론」,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0.
44. 이민영, 「해방기 소설과 수난의 서사」, 『한국현대문학연구』 45호, 한국현대문학회, 2015, 123~151면.
45. 이병순, 「현실추수와 낭만적 서정의 세계」, 『현대소설 연구』 26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05, 131~149면.
46. 이송희, 「부산지역 신지식층 여성들의 등장과 단체활동 - 1920년대 여자청년회 활동을 중심으로」, 『여성과 역사』 3, 2005, 77~114면.
47. 이양숙, 「해방 직후 한국문학의 서발턴과 듣기의 윤리」, 『한국현대문학연구』 67, 한국현대문학학회, 2022, 129~144면.
48. 이은희, 「농지개혁의 의미와 한계」, 『법학연구』 21,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165~205면.
49. 일기자, 「批判의 批判 朝鮮女性運動의 發展過程을 읽고 : 崔貞熙氏의 蒙을 啓함」, 『비평』 제1권 8호, 비평사, 1931.12. 63~65면.
50. 임긍재, 「칠월소설평(一) 허구와 진실」, 『조선일보』, 1949.8.13.
51. 장세진, 「치안과 정치 사이에서-해방기 빈곤 대중의 존재론」, 『현대문학의 연구』 56,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257~297면.
52. 장원아, 「근우회와 조선여성해방통일전선」, 『역사문제연구』 23, 역사문제연구소, 2019, 391~431면.
53. 최경희, 「친일 문학의 또 다른 층위-젠더와 <야국초>」, 『해방전후사의 재인식 1』, 책세상, 2006, 387~433면.
54. 홍구, 「여류작가군상」, 『삼천리』 5권 제3호, 삼천리사, 1933.3.

4. 신문 기사
55. 「숙명여고보생 총동맹휴교단행」, 『조선일보』, 1927.5.27.
56. 「단천여청회발기 창립대회는 8월 8일에」, 『동아일보』, 1927.8.3.
57. 「경찰부 전후 검거 정재달 외 십사명」, 『조선일보』, 1928.10.21.
58. 「지방인사」, 『조선일보』, 1929.4.17.
59. 「함안청맹집행」, 『조선일보』, 1929.5.29.
60. 「근우회 대회에 행동강령과 의안」, 『조선일보』, 1929.7.25.
61. 「근우회의 중앙간부선거」, 『조선일보』, 1929.7.31.
62. 「각 학교가 계속 휴학을 선언」, 『동아일보』, 1929.12.28.
63. 「광주사건의 의의」, 『동아일보』, 1929.12.29.
64. 「사건일지(2)」, 『동아일보』, 1929.12.29.
65. 「단천근우대회」, 『조선일보』, 1930.5.29.
66. 「경관과 지주협력 50여 촌민 검거」, 『조선일보』, 1932.1.3.
67. 「친모 살해한 양 자매, 공소 공판 금일 개정」, 『동아일보』, 1932.11.15.
68. 「문화인 동정」, 『경향신문』, 194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