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91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91, pp. 493-534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3
Received 14 Aug 2023 Revised 08 Sep 2023 Accepted 08 Sep 2023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3.09.91.493

김동리 정치 소재 소설 인물의 초월성 연구 : ‘성 바보’ 모티프 변용 양상을 중심으로
전계성*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BK21 교육연구단 박사후연구원

A Study on the Transcendence of Characters in Kim Dong-li's Political Novels : Focusing on the Transformation Aspect of the ‘Fool Saint’ Motif
Jeon, Gye-seong*

초록

김동리의 「해방」(1949.9~1950.2)은 정치적 현실을 추수하여 노골적으로 우익 편향성을 드러낸 작품이다. 그런데 「윤회설」(1946.6)과 「형제」(1949.3)에서 드러나는 기독교 인유의 흔적과 「해방」의 이장우에게 덧씌워지는 십자가 희생의 이미지를 함께 고려하고, 김동리의 제3기 휴머니즘론을 일제강점기에서 해방기까지의 연속적인 움직임으로 볼 경우 「해방」은 새로운 인간관의 한 모형인 인신(人神)을 구축하기 위한 과정으로서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인신은 「술」(1936.8)에서 도스토예프스키 『악령』의 키릴로프를 인용하며 간접적으로 제시된 바 있는데, 실질적으로는 「무녀도」의 모화에 해당하며 김동리는 이를 신을 내포한 인간이라고 규정했다. 같은 시기에 발표된 「산화」와 「바위」 또한 신을 내포한 인간을 묘사한 작품이다. 하지만 김동리가 창조한 초기 소설의 인물들은 전근대적 분위기와 현실과의 괴리감 때문에 제3기 휴머니즘론의 현실성을 떨어뜨린다. 이에 김동리는 해방기 정치 소재 소설을 창작함으로써 현실 속에서 상정 가능한 인신의 유형을 제시하게 된다.

「윤회설」에서는 순결을 지향하는 가치관과 자유에 대한 갈망이 결합된 종우의 성 바보적인 측면이 드러나고, 「형제」에서는 좌익을 박해하는 자에서 좌익 인사의 자녀를 용인하고 도리어 우익에 핍박당하는 자로 전환되는 비합리적 장면을 통해 인봉의 성 바보적 측면이 제시된다. 「해방」에서는 예수의 십자가 희생에 견줄 수 있는 이장우의 희생을 통해 현실적으로 가능한 인신의 성격이 더욱 심화된다. 이는 「무녀도」나 「사반의 십자가」에서 기독교 대항성을 토대로 김동리가 내세우고자 하는 여신적(與神的) 인간의 가치를 부상시킨 전략과도 유사하다.

Abstract

Kim Dong-li's "Liberation"(1949.9~1950.2) is a work that pursued the political reality and openly showed right-wing bias. Considering the traces of Christian allusion revealed in "Reincarnation Theory"(1946.6) and "Brothers"(1949.3) and the image of the sacrifice of the cross over Lee Jang-woo in "Liberation, Kim Dong-li's 3rd humanism theory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liberation period If it is a continuous movement up to, "Liberation" can have a meaning as a process to build a divine human, a model of a new human view. The human god was suggested indirectly by citing Dostoyevsky's Evil Spirit in "Sul"(1936.8), but in reality it corresponds to the mother of "Munyeodo", and Kim Dong-li defined it as a human being with a god. "Forest Fire" and "Rock", which were published at the same time, are also works depicting humans with God. However, the characters in the early novels created by Kim Dong-li reduce the reality of the theory of humanism in the 3rd period due to the pre-modern atmosphere and the sense of distance from reality. In response, Kim Dong-li presented the types of human gods that can be assumed in reality by creating political novel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In "Reincarnation Theory", Jong-woo's stupid saintly side, which combines values o r i e nted toward purity and a longing for freedom, was revealed. In "Brothers", Inbong's foolish saint is revealed through an irrational scene in which a persecutor of the leftist turns into a person who embraces the child of a leftist figure and is persecuted by the rightist. In "Liberation", through Lee Jang-woo's sacrifice, comparable to Jesus' sacrifice on the cross, the character of a realistically possible human god reached the advanced stage. This is similar to the strategy that raised the value of divine human beings, that Kim Dong-li wanted to put forward based on the anti-Christianity in "Munyeodo" or "Cross of Shaban".


Keywords: Kim Dong-li, liberation period, third period humanism, foolish saint, Christian allusion, a human god
키워드: 김동리, 해방기, 제3기 휴머니즘, 성 바보, 기독교 인유, 인신(人神)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1. 김동리, 「형제」, 『백민』, 1949.3.
2. 김동리, 「해방」, 『탄생100주년 기념 김동리 문학전집6;해방』, 계간문예, 2013.
3. 김동리, 「윤회설」, 『탄생100주년 기념 김동리 문학전집14;만자동경』, 계간문예, 2013.

2. 참고 자료
4. 김동리, 「백씨 범부 선생 이야기」, 『탄생100주년 기념 김동리 문학전집 26; 수필로 엮은 자서전』, 계간문예, 2013.
5. 김동리, 「신과 인간과 민족」, 『탄생100주년 기념 김동리 문학전집 29:수필-밥과 사랑과 그리고 영원』, 계간문예, 2013.
6. 김동리, 「본격문학과 제3세계관의 전망 – 특히 김병규(金秉逵) 씨의 항의에 관하여」, 『탄생100주년 기념 김동리 문학전집32;평론』, 계간문예, 2013.
7. 김동리, 「문학하는 것에 대한 사고(私考) - 나의 문학 정신의 지향에 대하여」, 『탄생100주년 기념 김동리 문학전집 32;평론』, 계간문예, 2013.
8. 김주현, 『김동리 소설 연구』, 박문사, 2013.
9. 김채희, 「구로사와 아키라의 휴머니즘에 관한 재고찰: 전제된 질문(données d’une question)과 바보성자(Юродивый) 개념을 중심으로」, 『영화연구』 94, 한국영화학회, 2022, 207-236면.
10. 강경화, 「해방기 김동리 문학에 나타난 정치성 연구」, 『현대소설연구』 18, 한국현대소설학회 2003, 243-265면.
11. 대한성서공회 편, 『개역개정 굿모닝 성경』, 아가페출판사, 2008.
12. 루돌프 옷토, 『성스러움의 의미』, 분도출판사, 1987.
13. 문석우, 「러시아 문학에 나타난 ‘聖바보’에 대한 연구」,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16, 한국러시아문학회, 2004, 87-111면.
14. 박영순, 「김동리 <解放> 연구」, 『국어국문학』 99, 국어국문학회, 1988, 167-84면.
15. 박은태, 「김동리의 『해방』 연구」, 『한국문예비평연구』 20,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06, 277-96면.
16. 박종홍, 「김동리 소설 연구 : 해방기 작품을 대상으로」. 『국어국문학』 115, 국어국문학회, 1995, 283-305면.
17. 박헌호, 「김동리의 《해방》에 나타난 이념과 통속성의 관계」, 『현대소설연구』 17, 한국현대소설학회, 2002, 251-70면.
18. 이 찬, 「해방기 김동리 문학 연구 : 담론의 지향성과 정치성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비평문학』 39, 한국비평문학회, 2011, 290-322면.
19. 이혜진, 「해방정국 청년세대의 연대와 적대의 아포리아 ―김동리의 『해방』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62, 우리문학회, 2019, 81-106면.
20. 전계성, 「與神的 인간의 탈근대성과 그 기원 - 김동리 초기소설(1935~36)을 중심으로 -」, 『영남학』 84, 영남문화연구원, 2023, 41-76면.
21. 홍주영, 「김동리 문학 연구 : 순수문학의 정치성과 모성의 변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