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91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91, pp. 381-413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3
Received 21 Aug 2023 Revised 08 Sep 2023 Accepted 08 Sep 2023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3.09.91.381

재건의 타자, 마약중독자 : 정비석 소설에 나타난 폭력적 배제와 반공적 동정의 문화정치
선민서*
*고려대학교 교양교육원 강사

The Other of Reconstruction, Drug Addicts : Cultural Politics of Violent Exclusion and Anti-communist Compassion in Jeong Bi-Seok's Novels
Seon, Minseo*

초록

본 연구는 전후의 재건(再建, Reconstruction) 담론에 의해 수행되는 마약중독자들을 타자화하는 배제와 동정의 문화정치를 규명한다. 타자화 된 아편중독자의 고유한 목소리를 복원하고 해방의 정치를 실천하기 위한 상상력은 요원했다.

정비석의 「女罪囚의 手記」(1957)에 등장하는 소설가는 아편중독자를 살해한 아내의 수기를 읽고 사랑의 정신을 구현한다는 찬사를 그녀에게 보낸다. 서술자는 살인을 당한 마약중독자의 고통보다 그를 죽인 자의 억울함에 동조하며 폭력적 배제를 승인한다. 마약중독자를 재건 공동체로부터 축출하려는 (무)의식이 작동한 결과, 살인행위가 서사 내에서 정당화되고 마약중독자는 공감의 영역에서 배척된다.

『人間失格』(1962)에서 마약중독자는 6·25 전쟁의 상흔을 극복하지 못해 아편중독에 탐닉하다 죽음을 맞이하는 전상자(戰傷者)로 재현된다. 이 소설에서 정비석은 아편중독자 전체를 공산화된 적으로 간주하는 당대의 반공주의 담론과는 거리를 둔다. 그러나 아편중독자를 상이군인으로 재현하고 이들에 대한 반공적 동정의 감정을 조장함으로써 그는 다시금 반공이데올로기로 유인된다. 반공적 배제와 동정 속에서 마약중독자들은 균일한 네이션 형성을 방해하는 대한민국 재건의 타자로 간주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ultural politics of exclusion and compassion for drug addicts carried out by the post-war reconstruction discourse. In Jeong Bi-Seok's novel "The Handicraft of a Female Prisoner", the narrator sympathizes with the injustice of the person who killed him rather than the suffering of the drug addict who was murdered. In "No Longer Human", drug addicts are represented as war-wounded individuals who die while indulging in opium addiction because they cannot overcome the scars of the Korean War. In the anti-communist exclusion and compassion, drug addicts were regarded as the other by the discourse of reconstruction.


Keywords: Post Korean War, Discourse of Reconstruction, Violent Exclusion, Anti-communist Compassion, Cultural Politics, Drug Addicts, Jeong Bi-Seok, “The Handicraft of a Female Prisoner”, No Longer Human
키워드: 6·25 전후, 재건 담론, 폭력적 배제, 반공적 동정, 문화정치, 마약중독자, 아편중독자, 정비석, 「女罪囚의 手記」, 『人間失格』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1. 김동리 외 4명 편, 『韓國代表短篇文學全集 18 : 現役作家篇』, 正韓出版社, 1975.
2. 김성필, 『生一 없는 少年 : 어느 孤兒의 手記』, 女苑社, 1958.
3. 정비석, 『鄭飛石‧短篇集 : 사랑하는 사람들』, 女苑社, 1957.
4. 정비석, 『人間失格』, 正音社, 1962.
5. 정비석 저, 김현주 편, 『정비석 문학 선집 1-3 : 단편소설』, 소명출판, 2013.
6. 정비석 저, 추선진 편, 『자유부인』, 지식을만드는지식, 2013.
7. 韓國펜클럽 편, 『사랑 그 眞實과 孤獨』, 韓振出版社, 1978.
8. 『경향신문』, 『동아일보』, 『부산일보』, 『世代』, 『조선일보』

2. 단행본
9. 권명아, 『무한히 정치적인 외로움』, 갈무리, 2012.
10. 문학사와비평연구회 편, 『1950년대 문학연구』, 예하, 1991.
11. 손유경, 『고통과 동정 : 한국 근대소설과 감정의 발견』, 역사비평사, 2012
12. 이명호 외 8명, 『감정의 지도 그리기 : 근대/후기 근대의 문학과 감정 읽기』, 소명출판, 2015.
13. 이하나, 『‘대한민국’, 재건의 시대(1948~1968)』, 푸른역사, 2013.
14. 이하나, 『국가와 영화 : 1950~60년대 ‘대한민국’의 문화재건과 영화』, 혜안, 2013.
15. 한국문학평론가협회, 『인문학용어대사전』, 국학자료원, 2018.
16. 레이먼드 윌리엄스 저, 박만준 역, 『마르크스주의와 문학』, 지식을만드는지식, 2012.
17. 르네 지라르 저, 김진식 역, 『희생양』, 민음사, 1998.
18. 미셸 푸코 저, 오트르망 역, 『정신의학의 권력』, 난장, 2014.
19. 안토니오 그람시 저, 이상훈 역, 『그람시의 옥중수고Ⅱ』, 거름, 1993.
20. Boddice, Rob., The science of sympathy : morality, evolution, and Victorian civilization, Urbana :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16.
21. Edgeworth, F. Y., Mathematical Psychics, London : Kegan Paul, 1881.
22. Higgins, John, Raymond Williams : Literature, Marxism and Cultural materialism, London : Routledge, 1999.
23. Schliesser, Eric, Sympathy : A History, ed. by Eric Schliesser., Oxford·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24. Ngai, Sianne, Ugly Feelings, Cambridge, Massachusetts·London, England : Harvard University Press, 2005.
25. Peart, Sandra J., and David M. Levy, The “Vanity of the Philosopher” : From Equality to Hierarchy in Post-Classical Economics, Ann Arbor :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5.
26. Williams, Raymond, Maxism and Literature,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77.
27. Williams, Raymond, Politics and Letters : Interviews with New Left Review, London : New Left Books, 1979.

3. 논문
28. 김주리, 「일제강점기 소설 속 하층민 아편중독자 표상 연구 - 모성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39, 한국여성문학학회, 2016, 187-216면.
29. 김주리, 「아편굴의 조선인 - 일제강점기 소설 속 아편 밀매업자 표상 연구」, 『구보학보』 15, 구보학회, 2016, 151-179면.
30. 김주리, 「주의자와 중독자 - 일제강점기 소설 속 지식인 중독자의 표상」, 『인문학논총』 43,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31-60면.
31. 김주리, 「1950년대 혐오의 서사와 헤테로토피아의 기획 - 정비석의 『민주어족』 고찰」, 『人文論叢』 78(1),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293-327면.
32. 金昌銑, 「韓國痲藥中毒者의 史的考察」, 『신경정신의학』 2(1),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63, 70-75면.
33. 김학균, 「『사랑과 죄』에 나타난 아편중독자 표상 연구」, 『국제어문』 54, 국제어문학회, 2012, 365-387면.
34. 徐卨丙·林漢鍾, 「서울市內 麻藥中毒者間에 流行하는 熱帶熱 및 四日熱」, 『서울대학교 論文集』 8, 서울대학교, 1959, 213-220면.
35. 이경훈, 「아편의 시대, 아편쟁이의 시대 - 현경준의 「유맹」에 대한 몇 가지 고찰」, 『사이(SAI)』 4,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08, 263-289면.
36. 이시은, 「전후 국가재건 윤리와 자유의 문제 - 정비석의 〈자유부인〉을 중심으로 -」, 『현대문학의 연구』 26, 한국문학연구학회, 2005, 139-165면.
37. 이춘애, 「매독을 합병한 마약중독자 - 증상, 치료, 간호 -」, 『대한간호』 3(2), 대한간호협회, 1964, 66-74면.
38. 임경석, 「마르쿠제의 유토피아적 인간해방」, 『시민인문학』 28,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190-223면.
39. 임지연, 「1960-70년대 한국 정신의학 담론 연구 - 정신위생학에서 현대 정신의학으로 -」, 『의사학』 56, 대한의사학회, 2017, 181-214면.
40. 장은영, 「전쟁문학론의 전개와 폭력의 내면화 - 식민지 말과 한국전쟁기 문학론을 중심으로 -」, 『우리文學硏究』 66, 우리문학회, 2020, 367-406면.
41. 조석연, 「해방 이후의 마약문제와 사회적 인식 - 해방과 정부수립 초기를 중심으로」, 『사학연구』 108, 한국사학회, 2012, 301-342면.
42. Wiggins, Ellwood, "Cold War Compassion : The Politics of Pity in Tom Stoppard’s Neutral Ground and Heiner Müller’s Philoktet," Literatur für Leser, 4-15, 2015, pp.255-269.

4. 디지털 자료
43. 제3대 국회 제24회 제10차, 「국회본회의 회의록」, 1957.4.2.
44. 제6대 국회 제40회 제11차, 「국회 보건사회위원회 상임위원회 회의록」, 1964.2.22.
45. 제6대 국회 제53회 제9차, 「국회 보건사회위원회 상임위원회 회의록」, 1965.11.19.
46. 제6대 국회 제54회 제6차, 「국회 보건사회위원회 상임위원회 회의록」, 1966.2.7.
47. 「국내 마약류의 역사」,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http://antidrug.drugfree.or.kr/page/?mIdx=185>, 최종접속일 : 2023.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