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88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8, pp. 81-109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Dec 2022
Received 25 Nov 2022 Revised 16 Dec 2022 Accepted 16 Dec 2022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2.12.88.81

한국여성소설에 나타난 ‘수치’와 주체 양상 : 강신재·박완서·오정희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세나**
**군산대학교 기초교양학부 초빙교수

A Study on the Aspect of ‘Shame’ and Subject Shown in Korean Women Novels
Kim, se-na**
Funding Information ▼

초록

이 연구는 한국 여성 소설에 나타난 ‘수치’를 분석하여, 한국 문학에서 주체의 의미를 확장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 전쟁 전후로 유·성년기를 보낸 여성 작가들은 공통적으로 수치심이 발현되는 상황 속에서 자신의 주체적 자리를 확인하는 인물들의 자의식에 주목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전쟁이 주체성의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통상적인 해석을 넘어 텍스트를 보다 섬세하게 바라보면서 수치심의 발현과 그에 따른 다양한 양상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둔다.

전쟁 이후 서양을 타자로 한 한국 사회는 주체의 결핍 혹은 열등감을 형성하는데 이때 발현되는 수치심의 양상들은 주체 구성에 내면화되는 요소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근대성으로 명명할 수 있는 서양이라는 타자와의 연속성 내지 단절을 반복적으로 겪으며, 주체는 무의식적으로 수치심의 감정을 내면화하게 된다. 수치심의 발현을 부정적으로만 보지 않고 오히려 한정된 자기를 극복할 수 있는 계기로 접근하면서, 전회와 승화의 가능성을 지닌 개념임을 확인하였다.

강신재, 박완서, 오정희의 작품에 나타난 주체의 수치심은 사회적이며 타자 의존적인 감정이자, 정서적 소통의 맥락 속에 위치한 자기 통제의 대상으로 이해된다. 생존의 문제와 직결된 삶의 지속 가운데 자신의 정체성에 끊임없는 의문을 품게 되고, 이때 수치심이 주요한 계기로 작용하는 것이다. 이들은 타자를 동경하거나 거부하고자 하는 분열적 태도를 보이거나, 자신이 느끼는 수치심을 감당하기 어려워 공포와 불안으로 전이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위장된 태도로 수치심을 드러내지 않기 위해 가면을 쓴 것처럼 행동하기도 하는데 이를 통해서도 주체성 형성과 수치심의 상관관계를 살펴 볼 수 있는 것이다. 종합하자면 수치심은 개인의 내밀한 감정에 한정할 수 있는 감정이 아니며, 사회 문화적, 역사적 환경 속에서 집단적으로 도출될 수 있는 감정이라 할 수 있다. 전쟁 이후의 근대화 과정은 무엇보다도 서양, 미국이라는 타자로부터 파생된 타자화 과정이 의식적·무의식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때 수치심의 감정은 주체의 구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meaning of subject in Korean literature by analyzing ‘shame’ shown in Korean women novels.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at the self-consciousness of female authors who spent their childhood and adulthood in the Korean War was composing subjecthood commonly based on shame. This study aims to more delicately examine the general background in which the Korean War is closel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subjecthood, and also to examine the expression of shame and its various aspects.

After the war, the Korean society regarding the West as others created the deficiency of subject or a sense of inferiority, and the aspects of shame expressed at that time were working as an internalized element in the composition of subject. Repetitively experiencing the continuity or severance with others of the West that could be called modernity, a subject is unconsciously internalizing the feeling of shame. The expression of shame could be approached as an opportunity to overcome such limited self without simply viewing it negatively, and it could be even understood as a concept with the possibility of transformation and sublimation.

The subject’s shame shown in the works by Kang Shin-Jae, Park Wan-Seo, and Oh Jeong-Hee is not only a social and others-dependent feeling, but also understood as an object of self-control located in the context of emotional communication. The female characters in the postwar period are continuously questioning about their own identity in the middle of life directly connected to the issue of survival, and the shame is working as a major chance at that them. They sometimes show the disruptive attitude like longing for or rejecting others, or they cannot handle their own shame, so it is transferred to fear and anxiety. Also, the female character acting like wearing a mask not to show shame with disguised attitude, shows the correlation between formation of subjecthood and shame. In summary, the shame is not an emotion that could be limited to individual’s innermost feeling, but an object that could be collectively drawn in sociocultural and historical environment.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after the war, the othernization process derived from others such as the West and America was proceeded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and at that time, a feeling of shame had huge effects on the composition of subject.


Keywords: Shame, the Korean War, Subject, Identity, see, gaze, Fear and Anxiety
키워드: 수치심, 한국전쟁, 주체, 정체성, 시선, 응시, 공포와 불안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S1A5B5A07088847).


참고문헌 1. 기본 자료
1. 강신재, 「해방촌 가는 길」, 김은하 엮음, 『강신재 소설 선집』, 현대문학, 2013.
2. 박완서, 『나목』, 세계사, 2012.
3. 오정희, 「유년의 뜰」, 『유년의 뜰』, 문학과 지성사, 1981.

2. 논문 및 단행본
4. 김미정, 「수치(shame)와 근대」, 『사회와 이론』 통권 제21-1집, 한국이론사회학회, 2012, 141-189면.
5. 김민옥, 「누스바움의 감정철학으로 바라본 오정희의 「유년의 뜰」」, 『영주어문학회지』 40권, 영주어문학회, 2018, 199-232면.
6. 김윤식·김우종 외 34인,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1989.
7. 김윤식·정호웅, 『한국소설사』, 문학동네. 2000.
8. 김윤정, 「박완서의 소설에 나타난 여성 혐오 연구-『살아 있는 날의 시작』과 「친절한 복희씨」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 제82집,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9, 235-261면.
9. 나보령, 「허물어진 ‘문 안’: 박완서의 『나목』을 통해 본 한국전쟁과 서울의 공간적 재편」, 『인문과학연구논총』 제39권4호,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85-113면.
10. 박제철, 「상품화된 이미지와 이미지적 세계 ‘사이’에서-압바스 키아로스타미의 <바람이 우리를 데려다 주리라>」, 『비교문학』 제69집, 한국비교문학회, 2016, 105-138면.
11. 서영채, 「이청준의 소설에 나타난 가난과 부끄러움의 윤리성-단편 「키 작은 자유인」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 62권, 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255-284면.
12. 신수정, 「박완서 소설과 전시 여성 가장의 미군 PX 경험」, 『인문과학연구논총』 제37집2호,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51-81면.
13. 우찬제 외, 『오정희 깊이 읽기』, 문학과 지성사, 2007.
14. 우현주, 「박완서 전쟁 체험 소설의 반복과 차이」, 『여성문학연구』 제45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184-224면.
15. 임홍빈, 『수치심과 죄책감-감정론의 한 시도』, 바다출판사, 2013.
16. 정락길, 「수치심과 시선-라캉의 수치심에 대한 고찰」, 『인문과학연구』 48,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357-382면.
17. 다리안 리더, 박소현 역, 『모나리자 훔치기』, 새물결, 2010.
18. R.M.릴케, 구기성 옮김, 『릴케 시선』, 을유문화사, 1995.
19. 자크 라캉, 자크 알랭 밀레 편, 맹정현·이수련 옮김, 『자크 라캉 세미나11-정신분석의 네 가지 근본개념』, 새물결, 2008.
20. 장 클로드 볼로뉴, 전혜정 옮김, 『수치심의 역사』, 에디터, 2008.
21. 조운 콥젝, 김소연 외 옮김, 『여자가 없다고 상상해봐-윤리와 승화』, 도서출판b, 2015.
22. 지그문트 프로이트, 윤희기 역, 『무의식에 관하여』, 열린책들, 1997.
23. 한스 페터 뒤르, 차경아 옮김, 『나체와 수치의 역사』, 까치글방,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