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87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7, pp. 479-514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2
Received 21 Aug 2022 Revised 14 Sep 2022 Accepted 14 Sep 2022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2.09.87.479

적치하 서울과 염상섭 : 1950년대 초 염상섭의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이만영*
*고려대 강사

Seoul in occupation period and Yeom Sang-seop : Focusing on Yeom Sang-seop's short story in early 1950s
Lee, Man-young*

초록

본 논문에서는 적치하 서울을 배경으로 한 염상섭의 단편소설을 분석하고자 한다. 염상섭은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하고 동년 9월 28일 서울이 수복될 때까지 약 3개월간 서울에 머물렀다. 그는 이러한 자전적 경험을 바탕으로 「해방의 아침」, 「탐내는 하꼬방」, 「짹나이프」, 「자전거(自轉車)」, 「가택수색」, 『홍염』, 『취우』 등 다수의 작품을 남긴 바 있다. 이 가운데 적치하 서울을 다룬 염상섭의 단편소설은 그간의 연구에서 배제되어왔다. 그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해방의 아침」, 「짹나이프」, 「탐내는 하꼬방」, 「자전거」 네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염상섭이 해방기 내내 고수해왔던 중도적 입장이 어떠한 균열을 일으키는지, 그리고 좌익 이데올로기에 대한 그의 관점이 작품 속에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밝혀보고자 한다.

먼저, 「해방의 아침」과 「짹나이프」는 9 · 28 서울 수복 이후 민족 재건의 방향성을 모색한 작품이다. 「해방의 아침」은 서울 수복 후 부역자 선별 및 처벌에 대해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염상섭은 부역자로 내몰리지 않기 위해 자기 신원을 증명해야 하는 잔류민들의 곤경을 그려내고, 이들을 손쉽게 축출하고 배제하려는 정치사회적 움직임에 의문을 제기한다. 「짹나이프」는 좌익 세력의 폭력성을 고발하면서도, 이들을 포섭하여 통일된 민족국가를 구성하고자 하는 작가적 욕망을 드러낸 작품이다. 이 두 작품은 분열보다는 통합을, 배제보다는 포함을 지향하는 염상섭 나름의 정치적 신념을 구현해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탐내는 하꼬방」과 「자전거」는 적치하 기간 중 잔류민이 겪었던 고통에 초점을 맞춘 작품이다. 「탐내는 하꼬방」은 적치하 서울에서 좌익 세력에 의해 소유권이 무단으로 박탈당하는 잔류민의 비애를 그려낸 작품으로, 서울 수복 직후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던 ‘역산(逆産)’을 전면화한 문제작이다. 한편 「자전거」는 적치하의 서울 인근 지역을 배경으로 삼은 작품으로, 부역자 가족인 삼룡-차득 부자(父子)에 의해 자율적인 사랑과 자립적 생존이 어려운 현실을 재현해내고 있다. 이 작품은 좌익 세력에 의해 소유권을 모두 빼앗겨 신음을 반복했던 「탐내는 하꼬방」의 필준네와는 달리, 적치하 기간에 내밀하게 사랑을 나누고 최소한의 삶을 유지하며 ‘해방’을 꿈꾸는 능동적인 존재를 그려내고 있다. 적치하 서울을 다룬 그의 단편소설은 그가 중도적 입장과 반공적 입장 사이의 어느 지점에 위태롭게 서 있었음을 예증한다. 이는 이들 작품에서 좌익이 형상화되는 양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 이 글에서는 염상섭이 해방기부터 고수해왔던 중도적 입장이 어떠한 균열 · 변화를 겪었는지를 네 편의 단편소설을 통해 규명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Yeom Sang-seop's short story, which is set in Seoul in occupation period Yeom Sang-seop stayed in Seoul for nearly three months between the start of the Korean War on June 25, 1950, and Seoul's restoration on September 28, 1950. Based on this autobiographical experience, he produced numerous works, including “Morning of Liberation,” “Coveted Hakobang,” “The Jackknife,” “The Bicycle,” “House search,” “Red Flame” and “A Shower.” One of these, short stories by Yeom Sang-seop about Seoul in occupation period, has not been included in earlier research. Accordingly, this study would like to reveals what kind of cracks caused by the centrist position that Yeom Sang-seop maintained throughout the liberation period and how his views on left-wing ideology were embodied in his work through the analysis of four works, “Morning of Liberation,” “Coveted Hakobang,” “The Jackknife” and “The Bicycle.” First, “Morning of Liberation” and “The Jackknife” are works that explore the direction of national reconstruction after the restoration of Seoul (9/8). The selection and punishment of collaborators during Seoul's restoration are major issues raised by “Morning of Liberation.” Yeom Sang-seop criticizes the political and social processes that make it so simple to expel and exclude remnants by illustrating the hardship of the them, who must demonstrate their identity in order to avoid being forced into collaboration. In “The Jackknife,” is a work that reveals the artist's desire to form a unified nation-state by including them while accusing the left-wing forces of violence. These two works represent Yeom Sang-seop's personal political ideals, which aim for inclusiveness over exclusion and unity over divide. The next two works, “Coveted Hakobang,” and “The Bicycle,” are concerned with the pain endured by the survivors throughout the post-residence period. In the work “Coveted Hakobang,” the plight of the remaining people is depicted as they are forcibly taken from their property by left-wing troops in Seoul in occupation period. It is a problematic work that fully addresses the issue of 'property of collaborators or rebels,' which emerged as a social problem right after the restoration of Seoul. The piece “The Bicycle,” which is situated in the area of Seoul in occupation period, reproduces the reality of difficult love and independent survival by Sam-ryong and Cha-deuk, a family of collaborators. Unlike family of Pil-Jun in “Coveted Hakobang,” that their all ownership was taken away by the left-wing troops and they were constant groans, this work shows an active human who dreams of “freedom” while covertly making love and leading a simple life in Seoul in occupation period. His short story about Seoul in occupation period serves as an example of how perilously he straddled the anti-communist and centrist viewpoints. This is supported by the left wing's appearance in these works, and via the four short stories in this piece, the middle ground that Yeom Sang-seop has maintained since the liberation era has seen fissures and shifts.


Keywords: Yeom Sang-Seop, Seoul occupation period, Seoul Restoration, communism, leftist, integration, division, exclusion, inclusion
키워드: 염상섭, 적치하 서울, 서울 수복, 좌익, 부역(자), 분열, 배제, 통합, 포함

참고문헌 1. 기본자료
1. 염상섭, 「해방의 아침」, 『신천지』, 1951년 1월호(전시판),
2. 염상섭, 「짹나이프」, 『국제신보』, 1951.11.21.~28.
3. 염상섭, 「탐내는 하꼬방」, 『염상섭전집 10』, 민음사, 1987.
4. 염상섭, 「자전거(自轉車)」, 『협동』 36호, 대한금융조합연합회, 1952.9.1.
5. 염상섭, 한기형 · 이혜령 편, 『염상섭 문장 전집 Ⅰ~Ⅲ』, 소명출판, 2013~2014.
6. 염상섭, 권영민 편, 『염상섭 전집 1~10』, 민음사, 1987.
7. 염상섭, 『홍염 · 사선』, 글누림, 2018.
8. 『현대문학』, 『예술원보』, 『전선문학』, 『동아일보』, 『조선일보』, 『신천지』, 『부산일보』, 『국제신보』, 『한겨레 21』, 『협동』 등

2. 논저
9. 공종구, 「염상섭의 『취우』에 나타난 한국전쟁」, 『현대문학이론연구』 78, 현대문학이론학회, 2019.
10. 김경수, 『염상섭과 현대소설의 형성』, 일조각, 2008.
11. 김양선, 「염상섭의 『취우』론 – 욕망의 한시성과 텍스트의 탈이념적 성격을 중심으로」, 『서강어문』 14, 서강어문학회, 1998.
12. 김영경, 「적치하 ‘서울’의 소설적 형상화 – 염상섭의 『취우』 연구」, 『어문연구』 45-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7.
13. 김윤식, 『염상섭 연구』, 서울대 출판부, 1987.
14. 김종균, 『염상섭 연구』, 고려대 출판부, 1974.
15. 김종욱, 「염상섭의 『취우』에 나타난 일상성에 관한 연구」, 『관악어문연구』 17,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1992.
16. 나보령, 「전후 한국문학에 나타난 난민의식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21.
17. 박성태, 「해방 이후(1945~1948) 염상섭 소설의 중도적 정치성 연구」, 『구보학보』 23, 구보학회, 2019.
18. 신영덕, 「『취우』에 나타난 현실인식의 성격」, 『한국현대문학연구』 1, 한국현대문학회, 1991.
19. 신영덕, 「전쟁기 염상섭의 해군 체험과 문학활동」, 『한국학보』 18-2, 일지사, 1992.
20. 신은경, 「1950년대 전시소설 연구 – 전시의 민족정체성을 중심으로」,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2021.
21. 신은경, 「염상섭의 1950년대 전시소설에 나타난 ‘민족문학’ 연구」, 『현대소설연구』 81, 현대소설학회, 2021.
22. 유승환, 「잔류파와 도강파의 내적 논리와 ‘공모의 공간’으로서의 고백적 글쓰기」, 『우리어문연구』 71, 우리어문학회, 2021.
23. 이민영, 「전시의 서울과 피난의 (불)가능성」, 『현대소설연구』 71, 한국현대소설학회, 2018.
24. 이보영, 『염상섭 문학론』, 금문서적, 2003.
25. 이선영 ‧ 김병민 ‧ 김재용 편, 『현대문학비평자료집 2(이북편/1950~1953)』, 태학사, 1993.
26. 이종호, 「해방기 염상섭과 『경향신문』」, 『구보학보』 21, 구보학회, 2019.
27. 이철호, 「반복과 예외, 혹은 불가능한 공동체 - 『취우』(1953)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82,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13.
28. 전훈지, 「‘미국화’ 수용에 따른 작중 인물의 태도 연구 – 해방 이후의 염상섭 소설을 중심으로」, 『춘원연구학보』 10, 춘원연구학회, 2017.
29. 조연현, 『내가 살아온 한국문단』, 현대문학사, 19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