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87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7, pp. 399-430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2
Received 15 Aug 2022 Revised 14 Sep 2022 Accepted 14 Sep 2022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2.09.87.399

우울증적 주체로서의 6·25 석방포로 : 김광주의 『석방인』, 김송의 「저항하는 자세」, 손창섭의 「생활적」을 중심으로
선민서*
*고려대 교양교육원 강사

Released Prisoners of the Korean War as Depressive Subjects : Focusing on Kim Gwang-Joo's 『The Releaser』, Kim Song's 「Position of Resistance」 and Son Chang-Seop's 「Living」
Seon, Minseo*

초록

1953년 6월 18일에 일어난 반공포로 석방 사건 이후에 김광주, 김송, 손창섭은 6·25 석방포로를 우울증적 주체로 다룬 일련의 소설을 발표했다. 김광주의 『석방인』(1953.7.10-12.31), 김송의 「저항하는 자세」(1954.9), 손창섭의 「생활적」(1954.11)에는 석방반공포로의 우울한 내면 풍경이 나타난다. 『석방인』에서 박철은 사상검증을 하려는 사람들로 인해 존재증명에 대한 강박을 느낀다. 빨갱이가 아니라는 자기증명을 위해 반공주의에 매몰되는 석방포로의 모습을 김광주는 재현한다. 「저항하는 자세」에서 상규는 포로수용소에서 탈출한 이후에도 환각으로 철조망을 본다. 북진통일론을 주창하며 대미 전략에 골몰하는 정부와 휴전회담 반대 시위에 몰두하는 대중은 그를 방치한다. 김송은 삶의 진로를 잃어버린 석방포로의 상태를 포착한다. 「생활적」에서 동주는 수상한 사람으로 의심을 받은 끝에 정신이 무너진다. 피난민의 이북 출신의 난민들로부터 그는 소외된다. 손창섭은 자기를 불신하는 처지로 전락한 석방포로의 불행한 내면을 형상화한다.

남한 정부는 미국의 정전협정 시도에 반발하며 반공포로들을 석방했다. 반미 민족주의에 이들을 이용하기도 했다. 1953년 10월 1일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이후 사용가치가 떨어지자 이들을 방치했다. 정부가 안정적인 주거와 일자리를 보장하지 않은 탓에 석방포로들은 생활 불가능자로 전락했다. 일부는 도민증이나 시민증을 발급받지 못했다. 강제로 징집되거나 불완전한 전향자로 간주돼 군입대를 금지 당하기도 했다. 일괄적으로 농촌으로 보내지거나 상경 금지 조처를 듣는 석방포로도 있었다. 이들은 시민으로서의 자유를 박탈당했다. 남한사회에서 석방포로는 반공적 주체가 되지 않는 이상 생존하기 어려웠다. 반공애국청년 담론은 부자유한 처지에 있었던 이들의 목소리를 은폐한다. 그러나 당대 소설은 6·25 석방포로들의 우울한 내면을 가시화했다.

Abstract

Kim Gwang-Joo's 『The Releaser』, Kim Song's 「Position of Resistance」, and Son Chang-Seop's 「Living」 show the gloomy inner landscape of released POW. In 『The Releaser』, Park Chul feels compulsion to prove his existence because of the people who are trying to verify his ideology. Kim Gwang-Joo reproduces the figure of a freed prisoner who is engulfed in anti-communism to prove himself that he is not a reds. In 「Position of Resistance」, Sang-Gyu sees the barbed wire as a hallucination even after escaping from the camp. The government advocates the theory of North Korean unification and focused on its strategy toward the US. The public sympathizes with the government's policy and is engrossed in protests against the armistice talks. Kim Song captures the state of a released prisoners who has lost his course in life. In 「Living」, Dong-Joo loses his mind after being suspected of being a suspicious person. He is alienated from refugees from the north in the refugee camp. Son Chang-seop embodies the unfortunate inside of a released POW who has fallen into a position of distrusting himself.


Keywords: Korean War, Released Prisoners of Korean War, Depressive Subjects, Sigmund Freud, 「Sad and Depression」, Kim Gwang-Joo, 『The Releaser』, Kim Song, 「Position of Resistance」, Son Chang-Seop, 「Living」
키워드: 6‧25전쟁, 6·25 석방포로, 우울증적 주체, 지그문트 프로이트, 「슬픔과 우울증」, 김광주, 『석방인』, 김송, 「저항하는 자세」, 손창섭, 「생활적」

참고문헌 1. 기본자료
1. 김광주, 「석방인」, 『한국현대문학전집11』, 삼성출판사, 1978(1981).
2. 김  송, 「생활하는 자세」, 『현대소설선』, 수도문화사, 1954.
3. 손창섭 저, 김종년 편, 『손창섭 단편 전집1』, 가람기획, 2005.
4. 『경향신문』, 『동아일보』, 『북한』, 『조선일보』

2. 단행본
5. 김학재 외, 『한국현대 생활문화사 1950년대』, 창비, 2016.
6. 송관호, 『전쟁포로-송관호 6·25전쟁 수기』, 눈빛출판사, 2015.
7. 이기훈, 『청년아 청년아 우리 청년아』, 돌베개, 2014.
8. 석 보, 『피묻은 철조망-반공애국포로석방비사』, 연합신문사, 1954.
9. 송효순, 『대석방-실록반공포로석방』, 신현실사, 1973.
10. 조성훈, 『한국전쟁과 포로』, 선인, 2010.
11. 케포이북스 편집부, 『한국전쟁기 문학‧수기‧제도 자료집』, 케포이북스, 1954.
12. 황세준, 『신생의 날-6·18반공애국청년석방기록』, 공우사, 1954.
13. 지그문트 프로이트 저, 윤희기‧박찬부 역,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열린책들, 1997(2020).

3. 논문
14. 박재홍, 「퍼트넘의 양면게임이론에 근거한 이승만의 반공포로 석방에 관한 재조명-협상전략과 윈셋의 변화를 중심으로-」, 『군사』 123,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2, 173-217면.
15. 이동헌, 「한국전쟁 후 ‘반공포로’에 대한 기억과 기념」, 『韓國史學輯』 40,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 2006, 195-221면.
16. 이민영, 「한국소설에 나타난 애국포로의 서사와 반공국가의 불안」, 『한국현대문학연구』 55, 한국현대문학회, 2018, 247-284면.
17. 장세진, 「은유로서의 포로: 수용소의 삶과 ‘적/ 동지’의 구별 정치- 한국전쟁 포로들의 UN군 관리 수용소 체험을 중심으로-」, 『상허학보』 46, 상허학회, 2016, 9-61면.
18. 전지니, 「1950년대 초반 종합지 『희망』의 반공청년 표상 연구」, 『어문론총』 68, 한국문학언어학회, 2016, 369-400면.
19. 정병준, 「한국전쟁 휴전회담과 전후체제의 성립」, 『한국문화연구』 36,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9, 245-288면.
20. 조명기, 「손창섭의 「生活的」에 나타난 전후의식」, 『어문학』 87, 한국어문학회, 2005, 667-688면.
21. 최미진, 「반공포로의 석방과 국민형성의 딜레마-김광주의 『석방인(釋放人)』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 41,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33-65면.
22. 홍원경, 「손창섭 소설의 미의식과 정신병리 양상 고찰」, 『우리文學硏究』 33, 우리문학회, 2011, 403-433면.

4. 디지털 자료
23. 광주군청, 「귀순자 및 반공포로 석방된 자에 대한 징집 및 입영 연기 처리 잠정 규정」(관리번호 BA0172372), 경기도성남시고등동, 1962.4.17.,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301013315&dsid=000000000006&gubun=search>, 최종검색일: 2022.9.24.
24. 양영조, 「반공포로 석방」,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https://www.archives.go.kr/next/search/listSubjectDescription.do?id=006352&pageFlag=&sitePage=>, 최종검색일: 2022.9.24.
25. 케포이북스 편집부, 『한국전쟁기 문학‧수기‧제도 자료집』, 케포이북스, 2013, <https://www.krpia.co.kr/viewer?plctId=PLCT00005230&tabNodeId=NODE03761734>, 최종검색일: 2022.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