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87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7, pp. 175-202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2
Received 21 Aug 2022 Revised 14 Sep 2022 Accepted 14 Sep 2022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2.09.87.175

페미니스트 작가의 계급적 감정 : 박완서의 남성 지식인 비판과 자기서사
장영은*
*성균관대학교 비교문화연계전공 초빙교수

The Class Feeling of Feminist Writer : Park Wan-seo's Criticism of Male Intellectuals and Self-Narratives
Jang, Young Eun*

초록

이 글에서는 스스로를 진보적인 작가이자 페미니스트 소설가로 인식했던 박완서의 1990년대 정치적 글쓰기의 특징을 「티타임의 모녀(1993)」를 중심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문민정부가 출범한 1993년에 박완서는 평등과 해방을 꿈꾸며 노동운동에 투신했던 엘리트 남성 지식인을 작품에 등장시켜 명문대 졸업생이 전위적인 운동가가 되기 어려운 현실을 날카롭게 분석했다. 「티타임의 모녀」에서 1980년대 과감하게 기득권을 버렸던 남성 엘리트 지식인은 동구권이 몰락하고 1991년에 소련이 해체된 후 정치적 방향 감각을 상실하고 만다. 그는 돈을 벌어 공부를 하려던 찰나에 아들의 낙상 사고를 겪으며 자연스럽게 부르주아 가문으로 귀가하게 된다. 박완서는 사회 변혁 운동에 참여했던 남성 지식인들이 가졌던 혁명적 열망 즉 ‘계급적 감정’이 신분 상속 질서를 지탱시키는 ‘친족적 충실성’과의 경쟁구도에서 밀려난 것이 1990년대 ‘운동권’이 위기에 봉착하게 된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티타임의 모녀」에서 1990년대 초반 진보 진영의 엘리트 남성 지식인들이 이 두 상반된 ‘감정’ 사이에서 분열하는 존재로 재현된 반면, 여공 출신인 감일순은 학력 자본을 위시한 지식의 위계를 부정하면서도 자본주의와 가부장제에 관한 무식과 착각을 철저하게 경계했다. 이러한 면모는 마치 1990년대에 페미니즘과의 거리를 더욱 좁히면서 여성주의 관점으로 적극적인 발화를 시작했던 박완서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Abstract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writing practiced in the 1990s by Park Wan-seo, who recognized herself as a progressive writer and feminist novelist, focusing on 「Mother and Daughter at Tea Time (1993)」. In 1993, when the civilian government was inaugurated, Park Wan-seo sharply analyzed the reality that elite male intellectuals who jumped into the labor movement dreaming of equality and liberation are unlikely to become avant-garde activists. In 「 The Mother and Daughter of Tea Time」, male elite intellectuals who boldly abandoned their vested interests in the 1980s lost their sense of political direction after the collapse of the Eastern Bloc and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in 1991. As soon as he tried to earn money to study, he naturally returned to the bourgeois family after experiencing his son's fall accident. Park Wan-seo pointed out that the revolutionary aspirations, or class feelings, of male intellectuals who participated in the social transformation movement were pushed out of the paternal-centered competition provided by families and relatives. On the other hand, Gam Il-soon, the main character of 「The Mother and Daughter of Tea Time」, denied the hierarchy of knowledge, including educational capital, but was thoroughly wary of ignorance and illusion of capitalism and patriarchy, reminiscent of Park Wan-seo's active speech from a feminist perspective in the 1990s.


Keywords: Park Wan-seo, 「The Mother and Daughter of Tea Time(1993)」, Feminism, Class Feeling, Kin Loyalty, Habitus, Class Inheritance, Self-Narratives
키워드: 박완서, 「티타임의 모녀(1993)」, 페미니즘, 계급적 감정, 친족적 충실성, 아비투스, 신분 상속, 자기서사

참고문헌 1. 기본자료
1. 『박완서 단편소설전집5』, 『지렁이 울음소리』, 『박완서의 말-소박한 개인주의자의 인터뷰』, 『박완서 산문집 1, 6, 7』, 『예술사 구술 총서 <예술인·生> 5』, 『한겨레』

2. 단행본
2. 강준만, 『한국 현대사 산책 1990년대편 1-3당합당에서 스타벅스까지』, 인물과사상사, 2006, 16-348면.
3. 김동춘, 『시험능력주의 - 한국형 능력주의는 어떻게 불평등을 강화하는가』, 창비, 2022.
4. 김윤식, 『내가 읽은 박완서』, 문학동네, 2013, 136면.
5. 김정한, 『비혁명의 시대-1991년 5월 이후 사회운동과 정치철학』, 빨간소금, 2020, 13-105면.
6. 김정한, 『대중과 폭력-1991년 5월의 기억』, 후마니타스, 2021, 8면.
7. 김현경, 『사람, 장소, 환대』, 문학과지성사, 2015, 127-148면.
8. 배하은, 『문학의 혁명, 혁명의 문학』, 소명출판, 2021, 9-102면.
9. 손유경, 『삼투하는 문장들-한국문학의 젠더지도』, 소명출판, 2021, 271-307면.
10. 이상길, 『아틀라스의 발-포스트식민 상황에서 부르디외 읽기』 문학과지성사, 2018, 41면.
11. 오혜진, 『원본 없는 판타지-페미니스트 시각으로 읽는 한국 현대문화사』, 후마니타스, 2020, 211-249면.
12. 조한혜정, 『탈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글 읽기와 삶 읽기1-바로 여기 교실에서』, 또하나의문화, 1992, 197-254면.
13. 최시현, 『부동산은 어떻게 여성의 일이 되었나』, 창비, 2021, 25-178면.
14. 한완상, 『한반도는 아프다-적대적 공생의 비극』, 한울, 2013, 18-490면.
15. 황호덕, 『독학의 진격자들-스스로 배움을 찾아 나선 사람들의 이야기』, 푸른역사, 2019, 98-107면.

3. 번역서
16. 자크 랑시에르, 『공산주의라는 이념』, 그린비, 2021, 310면.
17. 레닌, 최호정 옮김, 『한 걸음 앞으로 두 걸음 뒤로-우리 당내의 위기』, 박종철출판사, 2016, 173면.
18. 마쯔모토 세이쪼, 김병걸 옮김, 『북의 시인 임화』, 1987, 미래사, 129면.
19. 마쓰모토 세이초, 김경남 옮김, 『아직 늦지 않았다-마쓰모토 세이초, 반생의 기록』, 모비딕, 2019, 16-155면.
20. 미셸 바렛·메리 맥킨토시, 김혜경·배은경 옮김, 『반사회적 가족』, 나름북스, 2019, 7-117면.
21. 낸시 에이벨만, 강신표·박찬희 옮김, 『사회이동과 계급, 그 멜로드라마 - 미국 인류학자가 만난 한국 여성들의 이야기』, 일조각, 2014, 38-81면.
22. 로버트 단턴, 주명철 옮김, 『책과 혁명-프랑스 혁명 이전의 금서 베스트셀러』, 알마, 2014, 153-365면.
23. 로버트 풀러, 안종설 옮김, 『신분의 종말-특별한 자와 아무 것도 아닌 자의 경계를 넘어서』, 열대림, 2004, 23-298면.
24. 피에르 부르디외, 신미경 옮김, 『사회학의 문제들』, 동문선, 2004, 125면.
25. 피에르 부르디외,장 클로드 파세롱, 이상호 옮김, 『재생산-교육체계 이론을 위한 요소들』, 동문선, 2000, 143-276면.
26. 피에르 부르디외, 최종철 옮김, 『구별짓기』 상·하, 새물결, 2005, 130-685면.
27. 피에르 부르디외, 김현경 옮김, 『언어와 상징권력』, 나남, 2014, 58면.
28. 이남희, 유리·이경희 옮김, 『민중만들기-한국의 민주화운동과 재현의 정치학』, 후마니타스, 2015, 451면.
29. 어빙 케네스 졸라, 신수열 옮김, 『전문가들의 사회』, 사월의 책, 2015, 55-92면 참조.
30. 왕후이, 송인재 옮김, 『단기 20세기 - 중국 혁명과 정치의 논리』 글항아리, 2021, 13-412면.
31. 자크 랑시에르, 『무지한 스승-지적 해방에 대한 다섯 가지 교훈』, 궁리, 2008, 9-258면.
32. 장 폴 뒤부아, 함유선 옮김, 『프랑스적인 삶』, 밝은 세상, 2005, 19-373면.
33. 한나 아렌트, 이진우 옮김, 『인간의 조건』, 한길사, 2017, 275면.

4. 원서
34. Deniz Kandiyoti, Gendering the Middle East: Emerging Perspectives, Syracuse Univ Press, 1996, pp. 33-60.
35. Haiyan Lee, Class Feeling, ed., Christian Sorace., Afterlives of Chinese Communism : Political Concepts from Mao to XI, ANU Press; Verso, 2019, pp. 23-28.

5. 논문
36. 김양선, 「증언의 양식, 생존ㆍ성장의 서사 -박완서의 전쟁 재현 소설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5, 2002, 144-165면.
37. 김은하, 「여성들의 정치 혁명과 페미니스트 팸플릿으로서 글쓰기: 박완서의 1980년대 여성해방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45, 2018, 7-36면.
38. 김은하, 「아파트 공화국과 시기심의 민주주의-박완서의 개발독재기 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39호, 2016, 40-62면.
39. 김종엽, 「한국 사회의 교육 불평등」, 『경제와사회』 59, 2003, 55-77면.
40. 신샛별, 「정치적 텍스트로서의 박완서 소설」, 『동악어문학』 72, 2017, 205-232면.
41. 이혜령, 「박완서와 함께 왼쪽으로 한 걸음」, 『문학동네』 106, 2021, 172-176면.
42. 이혜령, 「박완서의 1980년대-빨갱이, 운동권, 사회주의(자)의 절합」, 『국제어문』 79집, 2018, 357-383면.
43. 이상경, 「박완서와 근대문학사-서사의 힘으로 1990년대에 맞선 작가」, 『여성문학연구』 25, 2011, 7-24면.
44. 이선미, 세계화와 탈냉전에 대응하는 소설의 형식:기억으로 발언하기, 상허학보 12. 2004, 403-432면.
45. 이영아, 「박완서 단편 소설의 ‘학생운동’에 관한 시선」, 『여성문학연구』 28, 2012, 609-639면.
46. 오자은,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중산층의 정체성 형상화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256면.
47. 조연정, 「‘문학주의’ 시대의 ‘포스트모더니즘’-1990년대 비평이 ‘포스트모더니즘’과 접속하는 방식」, 『대중서사연구』 24(4), 2018, 329-374면.
48. 한경희, 『박완서 작가 연구-대중·민중·여성문학장에서 ‘주부’의 발화 위치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