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85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5, pp. 371-404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Mar 2022
Received 25 Feb 2022 Revised 10 Mar 2022 Accepted 10 Mar 2022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2.03.85.371

식민지 말 이중 언어 상황과 주체의 분열 : 김사량의 「천마」를 중심으로
오태영**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웹문예학과 조교수

The Bilingual Situation and the Division of the Subject at the End of the Colonial Period
Oh, Tae-Young**

초록

이 글에서는 김사량의 「천마」를 대상으로 하여 이중 언어 상황과 일본문단에 통합되어가는 조선문단의 재편 과정 속에서 식민지 조선인 문학자의 존재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식민지 말 전시총동원 체제기 전쟁 수행을 위한 동화 이데올로기의 확산은 식민지인들로 하여금 제한적·폐쇄적 위상을 극복하고 새로운 자기를 구축할 수 있는 욕망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제국-식민지 사이의 위계화된 차별적 구조는 지속되고 있었다. 이는 국민문학으로서 조선문학의 역할과 책무를 강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선문학의 일본문학으로의 복속을 말하는 식민지 문학장 내부에서도 반복되고 있었다. 김사량은 조선어 폐지와 일본어 전용이 주창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조선어와 일본어, 두 개의 언어에 의한 창작의 필요성을 피력한다. 그런데 일본어와 조선어의 이중 언어 창작은 결국 제국-식민지 체제의 위계화된 차별적 구조를 재생산할 뿐이었다. 따라서 보다 주목해야 할 것은 체제의 질서와 문법을 초과하는 인간의 존재 방식에 있다. 「천마」의 현룡처럼 광기에 사로잡혀 분열하는 주체의 흔적들을 통해 체제를 비판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지점이 바로 여기에 있다.

Abstract

In this article, by targeting Kim, Sa-ryang’s “Cheonma”, I looked into the way of existence of colonial Joseon litterateur in the process of reorganization of the Joseon literature that is being integrated into the Japanese literature and the bilingual situation. The spread of the assimilation ideology for warfare during the period of total mobilization at the end of the colonial period aroused the desire of the colonists to overcome the restricted and closed status and build a new self. However, the hierarchical and discriminatory structure between the empire and the colony persisted. Despite the emphasis on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Joseon literature as a national literature, this was repeated even within the colonial Joseon literature center, which spoke of the subordination of Joseon literature to Japanese literature. Kim, Sa-ryang emphasizes the need for creation in two languages, Korean and Japanese, in a situation where the abolition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use of the Japanese language are advocated. However, the bilingual creation of Japanese and Korean only reproduced the hierarchical and discriminatory structure of the imperial-colonial regime. Therefore, it is worth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way of human existence that exceeds the order and grammar of the regime. This is the point where we can critically think about the regime through the traces of the subject who is seized by madness and is divided like Hyeon-ryong in “Cheonma”.


Keywords: wartime mobilization system, literary field, bilingual, subject, division
키워드: 전시총동원 체제, 문학장, 이중 언어, 주체, 분열

Acknowledgments

이 글은 2022년 1월 13일 개최된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미주연구소 & 인문대학 독어독문학과 공동주최 국내학술대회 <언어와 경계지: 이주와 식민의 스펙트럼>에서 발표한 「식민지 말 조선문학의 이중언어 상황과 분열하는 주체」를 수정·보완한 것이다. 토론을 통해 유익한 논평을 해주신 일본학술진흥회 다카하시 아즈사 선생님께 감사드린다.


참고문헌 1. 기본자료
1. 『國民文學』 『春秋』
2. 金史良, 「天馬」, 『光の中に』, 小山書店, 1940.
3. 金史良, 「지기미」, 『三千里』, 1941.4.
4. 金史良, 『金史良全集』 Ⅳ, 河出書房新社, 1973
5. 玄永燮, 『朝鮮人の進むべき道』, 綠旗聯盟, 1938.

2. 단행본
6. 권명아, 「내선일체 이념의 균열로서 ‘언어’ : 전시동원체체하 국책의 ‘이념’과 현실 언어공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임형택·한기형·류준필·이혜령 엮음, 『흔들리는 언어들―언어의 근대와 국민국가』,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8.
7. 곽형덕, 『김사량과 일제 말 식민지문학』, 소명출판, 2017.
8. 오태영, 『오이디푸스의 눈―식민지 조선문학과 동아시아의 지리적 상상』, 소명출판, 2016.
9. 윤대석, 『식민지 국민문학론』, 역락, 2006.
10. 차승기, 『비상시의 문/법―식민지/제국 체제의 삶, 문학, 정치』, 그린비, 2016.
11. 황호덕, 『벌레와 제국―식민지 말 문학의 언어, 생명정치, 테크놀로지』, 새물결, 2011.
12. 松本武祝, 「戰時期朝鮮における朝鮮人地方行政職員の「對日協力」」, 『岩波講座 アジア·太平洋戰爭 7: 支配と暴力』, 岩波書店, 2006.

3. 논문
13. 김수영, 「‘동화(同化)’ 이데올로기‘―그 이상과 현실의 변주」, 『한민족문화연구』 제22집, 한만족문화학회, 2007, 155-180면.
14. 김재용, 「내선일체의 우회적 비판으로서의 김사량의 「천마」」, 『어문론총』 제40호, 한국문학언어학회, 2004, 133-152면.
15. 김현생, 「김사량 문학세계에 나타난 토포스와 서사적 의미-「천마」, 「무궁일가」, 「향수」를 중심으로-」, 『韓國思想과 文化』 제78집,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49-77면.
16. 나병철, 「탈식민주의와 환상―김사량의 「천마」와 「천사」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제39집, 현대문학이론학회, 2009, 187-205면.
17. 방민호, 「1940년 경성, 제국의 황혼, 저항의 데카당스」, 『춘원연구학보』 제3호, 춘원연구학회, 2010, 187-231면.
18. 양정임, 「김사량의 「天馬」에 나타난 폭력성 연구-벌거벗은 자에 대한 공동체의 시선-」, 『동남어문논집』 제35집, 동남어문학회, 2013, 181-205면.
19. 이재봉, 「식민지 말기 ‘경성’과 ‘조선’이라는 지방 : 김사량의 「천마」가 제기하는 물음」, 『코기토』 제73호,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456-489면.
20. 최광석, 「金史良의 『天馬』에 나타난 탈식민주의 연구」, 『日語敎育』 제42집,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07, 175-19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