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The Society Of Korean Fiction

학회 회칙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No. 85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 Vol. 0, No. 85, pp. 335-370
ISSN: 1229-3830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Mar 2022
Received 21 Feb 2022 Revised 10 Mar 2022 Accepted 10 Mar 2022
DOI: https://doi.org/10.20483/JKFR.2022.03.85.335

“제2의 성”이라는 명제의 서사화 : 박완서의 1980년대 여성 해방 소설을 중심으로
문화**
**서울대 인문대학 강사

The Narrating of “The Second Sex” : Focusing on Park Wan-seo’s 1980s Women’s Liberation Novel
Moon, Hwa**
Funding Information ▼

초록

본 논문은 박완서의 『서 있는 여자』(1985)가 시몬 드 보부아르의 “제2의 성(The Second Sex)”이라는 당대의 유력한 여성 해방 명제를 공유하면서도 해방이 단순히 이론을 통한 각성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음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한층 발전된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고 보았다. 여성에 대한 “이중구속(Double bind)”이 심각했던 1980년대 한국 사회를 배경으로 하는 『서 있는 여자』에서 시도되고 있는 “평등한 결혼”은 여성 억압을 자연이 아닌 사회 제도의 문제로 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기획된 것으로, 당대의 이상적 규범이기도 한 중산층 핵가족 모델을 비판했다는 점에서 보부아르의 사상과 공명하는 대목이 있다. 나아가 『서 있는 여자』는 “평등한 결혼”이 좌초하는 서사를 통해 진정한 해방을 위해서는 육체를 단순히 극복해야 할 것으로 볼 것이 아니라, 육체의 “취약성(주디스 버틀러, Vulnerability)”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어머니를 비롯한 다른 몸과 연대하는 시도가 필요하다는 지점을 보여줬다는 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보부아르의 “제2의 성”이라는 명제와의 비교를 통해 『서 있는 여자』가 당대의 여성주의 이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도 이론과 현실 사이의 갈등을 가시화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Abstract

This study noted that the thesis of “The Second Sex” by Simone de Beauvoir, one of the major Western feminist theories, has been widely accepted in Korean society since 1975, and influenced Park Wan-seo’s creation of women’s liberation novels published in the 1980s. In addition, this paper attempted to reveal that Park Wan-seo’s novel presents a more advanced perspective in that it attempted to find a specific direction of practice beyond the gap between theory and reality through a narrative in which the “equal marriage” plan fails. The “equal marriage” attempted against the background of Korean society in the 1980s, when there was a “double bind” against women, was designed to overcome the social system, the origin of women’s oppression. In addition, this “equal marriage” model resonates with Beauvoir’s idea in that it criticized the middle-class nuclear family model, which was also the ideal norm of the time. Furthermore, the narrative of the failure of “equal marriage” was considered important in that it suggested the need to actively accept physical vulnerabilities and attempt to unite with other bodies, including mothers. This paper considered it meaningful in that “Standing Woman” actively accepted the feminist theory of the time while visualizing the conflict between theory and reality through comparison with Beauvoir’s proposition of “The Second Sex”.


Keywords: Park Wan-seo, The Standing Woman, the women’s movement in the 1980s, Simone de Beauvoir, The Second Sex, double bind, vulnerability of bodies
키워드: 박완서, 서 있는 여자, 여성 해방, 시몬 드 보부아르, 제2의 성, 이중구속, 육체의 취약성

Acknowledgments

이 논문 또는 저서는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과제번호)(NRF-2020S1A5B5A17090993)


참고문헌 1. 기본자료
1. 박완서, 『나의 아름다운 이웃』, 문학동네, 2015.
2. 박완서, 『사라져가는 것에 대한 애수』, 문학동네, 2015.
3. 박완서, 『우리를 두렵게 하는 것들』, 문학동네, 2015.
4. 박완서, 『서 있는 여자』, 세계사, 2012.
5. 박완서, 『서 있는 여자』, 학원사, 1985.
6. 박완서, 「떠도는 결혼」, 『주부생활』, 학원사, 1982.4~1983.11.
7. 보부아르, 시몬 드. 이정순 역, 『제2의 성』, 을유문화사, 2021.
8. 보부아르, 시몬 드. 조홍식 역, 『제2의 성』 상·하, 을유문화사, 1995.

2. 단행본
9. 루빈, 게일. 신혜수 외 역, 「여성 거래」, 『일탈』, 현실문화, 2015.
10. 버틀러, 주디스. 윤조원 역, 『위태로운 삶』, 필로소픽, 2018.
11. 버틀러, 주디스. 조현준 역, 『젠더 트러블』, 문학동네, 2008.
12. 변광배, 『제2의 성: 여성학 백과사전』, 살림, 2007.
13. 보부아르, 시몬 드. 이혜윤 역, 『처녀시절·여자 한 창 때』, 동서문화사, 2010.
14. 보브와르, 시몬 드. 김인구 역, 『아름다운 影像』, 을유문화사, 1973.
15. 보브와르, 시몬 드. 오증자 역, 『아름다운 影像』, 정우사, 1976.
16. 보브와르, 시몬 드. 오증자 역, 『危機의 여자』, 정우사, 1975.
17. 암스트롱, 낸시. 오봉희·이명호 역, 「2장 가정 여성의 등장」, 『소설의 정치사』, 그린비, 2020, 121-194면.
18. 여성문학 편집위원회, 『여성문학』 창간호, 전예원, 1984년 1월.
19. 커크패트릭, 케이트. 이세진 역, 『보부아르 여성의 탄생』, 교양인, 2021.
20. 프리드먼, 제인. 이박혜경 역, 「1장 평등인가 차이인가」, 『페미니즘』, 이후, 2002.
21. 해러웨이, 도나. 민경숙 역, 「제7장 마르크시즘 사전 속의 ‘젠더’: 한 단어의 성정치학」, 『유인원 사이보그 그리고 여자』, 동문선, 2002.
22. 하미나, 『미쳐있고 괴상하며 오만하고 똑똑한 여자들』, 동아시아, 2021.

3. 논문
23. 강초롱, 「시몬 드 보부아르의 육체에 대한 윤리적 성찰: 『제2의 성』을 향한 비판에 대한 재고찰」, 『불어불문학연구』, 0(102), 2015, 5-42면.
24. 권영자, 「여성의 인간화」, 『창작과 비평』 1977년 여름, 통권 44호, 693-698면.
25. 김경연·전승희·김영혜·정영훈, 「여성해방의 시각에서 본 박완서의 작품세계」, 『여성』 2, 창작과 비평, 1988.
26. 김문정, 「서 있는 여자에 나타난 계약으로서의 결혼과 ‘여성적 글쓰기’」, 『한국문학연구』 60, 2019, 231-254면.
27. 김보명, 「미국 제2물결 페미니즘에 대한 역사적 평가들에 대한 소고, 한국서양사학회, 『서양사론』 138권, 2018, 11-37면.
28. 김애령, 「‘여자 되기’에서 ‘젠더 하기’로: 버틀러의 보부아르 읽기」, 『한국여성철학』 13(-), 2010, 23-51면.
29. 김양선, 「박완서 소설의 대중성 연구: 1980년대 여성문제 소설 다시 읽기」, 『한국문학 이론과 비평』 54, 2012, 215-234면.
30. 김영선, 「1970년대 페미니즘 이론의 번역/실천과 여성학」, 『여성문학연구』 37, 2016, 39-62면.
31. 김은하, 「여성들의 정치 혁명과 페미니스트 팸플릿으로서 글쓰기: 박완서의 1980년대 여성해방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45, 2018, 7-36면.
32. 김정은, 「또 하나의 집회: 여성주의 문화운동 ‘또 하나의 문화’가 지닌 ‘제3의 장소성’」, 『구보학보』 27, 2021, 213-70면
33. 문성훈, 「다시 보부아르로!: 실존주의적 페미니즘의 논쟁적 재평가」, 『가톨릭철학』 25, 2015, 185-213면.
34. 박미선, 「젠더」, 『여/성이론』(1), 도서출판 여이연, 1999.4, 317-327면
35. 박완서 외, 「페미니즘 문학과 여성운동 좌담」, 『또 하나의 문화』 제3호, 1987.
36. 박지영, 「‘위기’의 여자들: 보부아르 「위기의 여자」 번역과 1970년대 젠더/섹슈얼리티」, 『여성문학연구』 39, 2016, 337-373면.
37. 배상미, 「여성들의 노동과 계급: 박완서의 『살아있는 날의 시작』과 『서 있는 여자』를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45), 2018, 73-117면.
38. 신샛별, 「박완서 장편소설 『서있는 여자』 의 페미니즘 정치학적 의미: 결혼이라는 ‘계약’을 통해 본 시민성의 젠더 구조」, 『여성문학연구』 45, 2018, 37-71면.
39. 안지영, 「여성주의 리얼리즘’의 문화정치학: 『또하나의 문화』의 발간 주체와 실천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63, 2021, 365-404면.
40. 오자은, 「중산층 가정의 ‘기획’과 80년대 ‘워킹맘’의 경계: 『살아있는 날의 시작』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no.54, 2021, 46-76면.
41. 오자은, 「중산층 가정의 욕망과 존재방식」, 『국어국문학』 no.164, 2013, 489-518면.
42. 이미영, 「강석경의 텍스트와 여성-성장-서사의 재맥락화」, 『구보학보』 25(1), 2020, 127-170면.
43. 이선미, 「‘여성’의 사회적 해석과 1976년의 박완서 소설: 《휘청거리는 오후》의 대중성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51), 2013, 571-612면.
44. 이선미, 「작품해설: 서 있기를 ‘선택’하는 여자의 절망과 용기」, 『서 있는 여자』, 세계사, 2012, 466-487면.
45. 이선옥, 「1980년대 여성운동 잡지와 문학논쟁의 의미: 『또하나의 문화』, 『여성』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43(-), 2018, 7-36면.
46. 이한나, 「1980년대 가족법 개정 투쟁과 박완서의 소설: 박완서,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논총』, 38(4), 2017, 13-41면.
47. 이혜령, 「빛나는 성좌들: 1980년대, 여성해방문학의 탄생」, 『상허학보』 47, 2016, 409-454면.
48. 장미경, 「1960~70년대 가정주부(아내)의 형성과 젠더정치: 『여원』, 『주부생활』 잡지담론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15, no.1, 2007, 142-182면.
49. 정미숙, 「박완서 소설 『서있는 여자』의 젠더 지리학과 정체성 탐색」, 『인문사회과학연구』, 17(1), 2016, 23-48면.
50. 정순진, 「‘천의무봉’과 작위적 상황 설정」, 『비평문학』(8), 1994, 588-606면.
51. 정우경,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에 나타난 돌봄 주체 양상」, 『한국현대문학연구』 63, 2021, 85-112면.
52. 조은, 「문학 텍스트 밖에서 박완서 읽기」, 『문학동네』 2021년 봄호 통권 106호, 122-135면.
53. 조혜란, 「『제2의 성 Le deuxieme sexe』의 초기 한국어 번역과 수용:이용호의 1955년, 1964년 번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54. 한경희, 「자본주의를 비판하며 자본주의와 교섭하기」, 『페미니즘 연구』 16, no. 2, 2016, 267-315면.
55. 허윤, 「1980년대 여성해방운동과 번역의 역설」, 『여성문학연구』 28호, 2012, 239-264면.

4. 신문&잡지 기사
56. 무어헤드, 캐럴라인· 시몬 드 보봐르 「『第二의性』 以後」, 『世代』 제12권, 통권132호, 1974.7, 316-325면.
57. 새가정 편집부, 「결혼한 남녀가 어떻게 평등할 수 있나: 박완서의 「서 있는 여자」」, 『새가정』, 1990, 82-83면.
58. 경향신문, 매일경제, 동아일보, 조선일보